$\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터 그로피우스의 작품에 반영된 독일 근대 주거의 계획쟁점
Issues in German Modern Housing Design Reflected on Walter Gropius' Works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7 no.3, 2016년, pp.11 - 22  

전남일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소비자.주거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Germany, during the modern architectural movements diverse experiments for the propagation of modern housing solutions were conducted that succeeded to the spirit of Bauhaus. Therefore, the study traced how Walter Gropius adopted the trends of architectural style and aesthetic, the concept of pr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거건축은 무엇을 반영하는 분야인가? 주거건축은 사회의 변혁과 시대의 요구를 매우 첨예하게 반영하는 분야이며, 거장 건축가들이 이러한 시대의 요구를 읽어내고 그것을 창의적으로 주도하는 사례를 많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주거 디자인이 보다 탁월한 계획개념을 동반하고 그 수준을 높여왔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바우하우스 이념에 따라 어떤 건축양식이 창출되었는가? 특히 독일의 경우, 산업혁명으로 인한 도시화와 1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새로운 건축에 대한 요구가 있었고, 이는 근대건축운동으로 확산되었다. 이때 발터 그로피우스(이하 그로피우스)와 미스 반 데어 로에가 참여한 독일공작연맹 및 바우하우스의 이념에 기반하여 국제주의 건축양식(International Style)과 기능주의(Functionalism) 건축양식이 창출되었다. 또한 이때 대중적 주거건축의 보급과 주택의 대량생산에 대한 다양한 실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대중들의 건축이 건축가의 주목의 대상으로 떠올랐다.
바우하우스 이념에 의해 등장한 건축양식은 한국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또한 이때 대중적 주거건축의 보급과 주택의 대량생산에 대한 다양한 실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대중들의 건축이 건축가의 주목의 대상으로 떠올랐다. 이것의 전 세계적인 파급효과는 매우 강력했고, 특히 여러 경로를 통해서 한국 근현대 집합주택과 아파트의 원류가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rchitekten und Ingenieur Verein Berlin (Ed.) (2002). Berlin und seine Bauten, Teil IV, Reihenhauser [Berlin and the architecture, Vol. IV, Row houses]. Berlin: Ernst & Sohn. 

  2. Behr, S. (2003). Expressionism. Paju: Yulwhadang. 

  3. Berning, M. (2003). Berliner Wohnquatiere [Berlins' housing quarters]. Berlin: Dietrich Reimer Verlag. 

  4. Biermann, V. (2003). Architektur Theorie von der Renaissance bis Gegenwart [Architecture theory from Renaissance to today]. Koln: Taschen. 

  5. Curtis, j. r. W. (2005). Modern architecture since 1900. New York: Phaidon. 

  6. Deutscher Werkbund (Ed.) (1992). Bau und Wohnung [Architecture and housing]. Stuttgart: Karl Kramer Verlag. 

  7. Droste, M. (1990). Bauhaus. Koln: Taschen. 

  8. Fitch, J. M. (1962). Walter Gropius. Ravensburg: Otto Maier. 

  9. Flagge, I. (Ed.) (1999). Geschichte des Wohnens [History of housing], Vol. 5. Stuttgart: DVA. 

  10. Gidion, S. (1954). Walter Gropius, Mensch und Werk [Walter Gropius, human and works]. Teufen: Arthur Niggli. 

  11. Gympel, J. (1996). The story of architecture. Koln: Konemann. 

  12. Jung, S. H. (200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dern Housing Types through the "Bauausstellu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6(10), 3-18. 

  13. Hays, K. M. (2010). Architecture theory since 1968. Seoul: Spacetime. 

  14. Hiroyuki, S. (2003). History of modern western architecture from industrial revolution to today. Seoul: Spacetime 

  15. Jun, N. I. (2016). Modern and contemporary housing architecture in German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6. Kim, K. Y., & Kim, H. W. (2009). A Study on the Block Unit Concept and Housing of Walter Gropiu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1), 89-97. 

  17. Kahler, G. (Ed.) (1996). Geschichte des Wohnens [History of housing], Vol. 4. Stuttgart: DVA. 

  18. Khan, H. U. (2002). International style-Modernist architecture from 1925 to 1965. Koln: Taschen. 

  19. Lampugnani, V. M. (Ed.) (2000). Die Architektur, die Tradition und der Ort: Regionalismen in der europaischen Stadt [The architecture, the tradition and the place: Regionalism in the european city]. Stuttgart: Wustenrot Stiftung. 

  20. Lampugnani, V. M., & Nagel, W. (Ed.) (2000). Deutsche Architektur im 20. Jahrhundert [German architecture in 20. century]. Berlin: Jovis. 

  21. Lupfer, G., & Sigel, P. (2004). Gropius. Koln: Taschen. 

  22. Pahl, J. (1999). Architekturtheorie des 20. Jahrhunderts [Architecture theory of 20. century]. Koln: Prestel. 

  23. Risebero, B. (2008). Modern architecture and design: An alternative history. Paju: Yulwhadang. 

  24. Schneider, T., & Till, J. (2007) Flexible housing. Amsterdam: Architectural Press. 

  25. Thoner, W. (2002). Das Bauhaus Wohnt [The Bauhaus living]. Berlin: Bauhaus-Archive. 

  26. Ulmer, M., & Kurz, J. (2009). Die Wei ${\beta}$ enhofsiedlung-Geschichte und Gegenwart 1. [The Wei ${\beta}$ enhof Estate-History and present]. Stuttgart: Hampp Verlag. 

  27. Weston, R. (1996). Modernism. New York: Phaid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