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재난구호체계의 정부 간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내 재난구호 제도 및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in Disaster Relief System's Inter-Governmental Relations: Disaster Relief Institution and Case Analysi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2 no.2 = no.32, 2016년, pp.136 - 143  

Yoo, Soodong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Myongji) ,  Choi, Hyounsun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Myongji)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재난구호 관련 법령분석, 재난구호체계 분석, 주요 재난구호 사례분석을 통해 재난구호체계에서의 정부간 관계를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의 재난구호활동을 총괄 조정하며, 행정 및 재정상의 지원을 통해 관리감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난구호활동에 있어 지방정부에게 행정적 재정적인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난관련 법령 상 구호물자 전달에 대한 구호기관 및 구호지원기관 간 역할분담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구호물품 전달 상황에 대한 상호간 정보교류가 없어 중복지급으로 인한 비효율성 및 자원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alysis of disaster relief-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nalysis of disaster relief system, and investigate the inter-governmental relations in disaster relief system through analysis of major disaster relief ca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entral government has adjust and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으로 국내 주요 사회재난의 분석사례로 선정한 재난들은 재난의 원인과 발생한 장소가 서로 상이하지만, 많은 재산피해와 함께 재난관리를 바라보는 인식을 전환시켰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파급효과가 매우 컸다는 점이 동일하다. 따라서 국내 주요 재난으로 태풍 루사, 태안 기름유출사고,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 포항산불 사례를 중심으로 재난구호체계의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정부간 관계를 분석하여 재난구호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가조직은 규모가 커지고 고도화 될수록 시스템 의존도가 높아져 법령을 근거로 체계를 구축·운영하게 되므로 재난구호 제도와 체계의 연계성을 살펴본다.
  •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정부간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재난구호 제도 및 사례를 통해 재난구호체계의 정부간 관계를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부간 관계의 규명을 통한 재난구호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재난구호체계에서 지적되고 있는 복잡한 지휘체계, 협력체계의 미흡 등의 문제점을 정책집행 접근방법과 정부간 관계에 초점을 두고, 정책집행 상에서 비효율적인 재난구호활동이 이루어지는 원인을 규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재난구호 관련 제도 분석, 주요 재난구호 사례분석을 실시한다.
  • 이를 위해 재난구호 관련 제도 분석, 주요 재난구호 사례분석을 실시한다. 특히, 재난구호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난구호체계에서의 정부간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구호활동의 문제점들과 그에 대한 방안은? 재난구호와 관련된 국내 연구들을 살펴보면, 재난구호활동의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이 지적되고 있다. 첫째, 재난구호체계는 정보공유의 미흡으로 인한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 수준의 구호활동이 별개로 이루어지고 있다(이은애, 2006; 한동우, 2006). 정보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구호활동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게 되면 구호활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별적인 네트워크의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하여 재난구호체계가 총체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둘째, 재난에 대한 1차적인 책임이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강인호, 2008; 배재현 외, 2014). 현행 우리나라의 재난대응체계는 조직의 서열과 계급에 따라 위에서 아래로 지휘·명령체계로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배재현 외, 2014), 대부분의 재난은 지방자치단체의 영역 내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의 역량과 대응활동에 따라 재난상황이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재난구호활동은 지방자치단체의 역량 및 전문성, 재량권이 강화되어야 하며 중앙정부는 신속히 지방자치단체의 구호활동에 필요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해야 한다. 셋째, 재난구호활동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여 재난 현장을 중심으로 신속하고 효과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박동균, 2011; 이주호, 2010; 차세영 외, 2014). 재난구호를 비롯한 재난관리는 중앙정부, 지방정부 등 공공부문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전체적인 차원의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 효과적인 재난구호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참여와 협조를 통해 행위자들 간의 조정 및 통합이 이루어지는 수평적 관계가 요구된다. 넷째, 자원봉사단체를 총괄적으로 관리 및 연계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이은애, 2006; 한동우, 2006). 전국재해구호협회는 지역조직 없이 전국단위의 중앙조직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구호활동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조직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한동우, 2006: 44). 특히 다양한 자원봉사단체들의 구호 활동에 대한 조정이나 연계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재난현장에서 혼란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자원봉사나 구호물품이 한 곳으로 집중되면서 중복되거나 부족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재난구호활동에 참여하는 자원봉사단체들의 자원과 성격을 파악하여 이를 유기적으로 조직화할 수 있는 관리체계가 구축되어야 하며, 이렇게 형성된 관리체계 내에서 재난구호활동이 조정되고 연계되어야 한다.
Petak(1985)의 재난관리의 정의는? 재난관리를 표현하는 유사한 용어로는 재해관리, 위기관리, 비상관리, 위험관리, 재앙관리 등이 있으며 서로 혼용되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Petak(1985)은 재난관리를 각종 재난을 관리하는 것으로서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재난관리의 과정을 재난발생 시점이나 관리시기를 기준으로 재난의 완화와 예방(mitigation and prevention), 대비와 계획(preparedness and planning), 대응(response), 복구(recovery)의 4단계로 구분하고, 이 과정에 대한 정책의 개발과 집행과정을 총칭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Kasperson & Pijawka(1985)은 재난관리를 재난을 알고 재난에 대한 사항을 결정하며, 재난의 피해를 완화·통제 하기 위한 집행수단을 강구하는 의도적인 활동으로 정의하였다.
일반적인 재난구호활동은 무엇이 있는가? 일반적인 재난관리 시스템에서 재난의 발생 후 대응과정(대피·구호)의 진행 동안 복구활동이 거의 동시에 시작되는 경우가 많아 사실 구호활동 진행 중에는 응급복구활동들도 포함된다. 재난구호활동에는 일반적으로 급식이나 식품 등 생활필수품 제공, 의료서비스의 제공, 임시주거시설의 제공 등의 신속한 지원체계 구축과 주민생활안정을 위한 다양한 활동들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재난구호활동에는 물리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와 환경, 재난 피해 당사자들의 심리적 지원을 위한 활동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derson, W. (1960). Intergovernmental Relations in Review,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2. Dong-Kyun, Park. (2011). "The Disaster Relief System and Program in U. S. : The Characteristics and Its Implication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Vol. 3, No. 1, pp. 19-34. 

  3. Dong-Woo, Han. (2006). "Disaster Relief System in Korea: Problems and Tasks."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Vol. 2, No. 2, pp. 36-51. 

  4. Eun-Ae, Lee. (2006). "A Study on the Disaster Relief Volunteer Activities: Focused on Case Analyses in Korea and Japan." Paper Presented at Conference on the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heory and Praxis. pp. 3-13. 

  5. Hyun-Ah, Kim. (2007). "Intergovernmental Financial Reestablish: Focusing on the Empirical and Theoretical Discussion." Paper Presented at Conference on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Finance, pp. 1-25. 

  6. Ik-Sup, Shim. (2010). "A Study of the Rational IGR(Inter-Governmental Relations) for German Local Authority." Zeitschrift der Koreanisch-Deutschen Gesellschaft fur Sozialwissenschaften, Vol. 20, No. 2, pp. 3-34. 

  7. Il-Hyoung, Cho. Seong-Yong, Jeong. Gi-Heon, Kwon. (2013). "A Study on Effect Factors of Intergovernmental Relation:Focus on Government Level Differences." Journal of Governmental Studies, Vol. 19, No. 3, pp. 245-283. 

  8. In-Ho, Kang. (2008). "Emergency Management System in U.S. Local Governments." Korean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Vol. 18, No. 3, pp. 1-16. 

  9. Jae-Eun, Lee. (2012). Crisis Management Study. Daeyoungmoonhwasa. 

  10. Jae-Hyun, Bae. Young-Won, Park. (2014). An Exploration study on redesign o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GRI Review, Vol. 16, No. 2, pp. 320-341. 

  11. Ji-Seong, Ryu. (2007). Policy. Daeyoungmoonhwasa. 

  12. Ju-Ho, Lee. (2010). "Currents status & Prospects of Disaster Relief Cooperative System." Paper Presented at Conference on the National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i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No. 1, pp. 35-57. 

  13. Kasperson & Roger and David Pijawka. (1985). Societal Response to Hazards and Major Hazard Events: Comparing Natural and Technological Hazard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5(Special Issue):7-18. 

  14. Kil-Soo, Choi. (2003). "A Study on IGR Model's Building of Educare Policy: Focused on Wright's IGR Model."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Vol. 15, No. 2, pp. 163-181. 

  15. Kum-Sook, We. Min-Ho, Baek. Gun-Ju, Kwon. Gi-Geun, Yang. (2009). Disaster Response System of Korea: Problems and Future Task. Daeyoungmoonhwasa. 

  16. Kyung-Wook, Kim. (2014). "Australia's disaster management system, Manual and leadership for disaster relief." Regional Information, No. 87, pp. 69-74. 

  17. Petak, William J. (1985). Emergency Management: A Challenge for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5(Special Issue, Jan.) 3-7. 

  18. Se-Yeong, Cha. To-bin, Im. (2014). "Study on Disaster Management System: Case Stud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on Hydrofluoric Acid Leakage Accident in Gumi, Korea."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Vol. 18, No. 1, pp. 727-754. 

  19. Tae-Hwan, Kim. Tae-Ho, Roh. Dae-Woo, Park. (2006). "A Study on Improvement of Relief System in Disaster." Paper Presented at Conference on th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No. 11, pp. 38-43. 

  20. Van Meter, D. & C. E. Van Horn. (1975).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a conceptual framework. Administration and Society. 6(4): 445-488. 

  21. Wright, Deil S. (1988). Understanding Intergovernmental Relations (3rd. Ed.), Pacifics Grove, CA: Brooks/Cole Publishing Co. 

  22. Yu-Seok, Moon. (2015).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Focused on Agricultural Administration."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Vol. 18, No. 4, pp. 393-4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