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형 저수지에서 호안 정비에 대한 식생의 반응
Response of Vegetation to Shoreline Alternation in a Large Reservoir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3 no.2, 2016년, pp.143 - 151  

추연수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  조현석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  조강현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호안 보강 (armoring)은 하천, 호수 및 저수지의 호안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공학적 기법이다. 호안 보강은 육역-수역 경계부를 변경하고, 호안 근처의 지형, 수문, 퇴적물 조성 및 수질을 변화시켜서 호안 식생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 저수지인 의암호의 육역-수역 경계부에서 인위 교란이 호안 식생의 군집 구조와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의암호의 호안선은 60% 이상이 콘크리트 옹벽, 사석, 돌망태로 보강되어 있었다. 탈경향대응 분석 (DCA)의 결과에 의하면 보강에 의하여 바뀌어진 호안의 식생 구조가 수생식물 우점 생태계에서 습생식물 우점 생태계로 변화하였다. 호안 보강은 육역-수역 경계부에서 점진적 연속성을 파괴하였고 외래식물의 생물침입을 초래하였다. 2010부터 2013년까지 호안 식생의 분포 면적은 수생식물은 감소하였고 습생식물은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의암호에서 보강, 도로 건설, 휴양 등과 같은 인간 교란은 호안 식생에서 육역화, 횡단 연속성의 상실, 생물침입을 초래하였다. 그러므로 호안 생태계의 특이성을 보전하기 위하여 호안 수생식물 식생대을 확대할 수 있도록 호안 보강 구조물을 철거하거나 재조성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horeline armoring is a globally used engineering strategy to prevent shoreline erosion along stream, lake and reservoir coastlines. Armoring alters the land-water interface and has the potential to affect shoreline vegetation by changing nearshore geomorphology, hydrology, sediment composition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특히 최근 보강 호안의 축조, 자전거 도로 건설, 수변부 공원 조성 등으로 호안 환경에 교란이 심하게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강 수계에 위치한 인공호인 의암호에서 수변 환경의 변화에 따른 호안 식생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1) 수변의 호안 유형을 구분하고 분포 특성을 조사하고, 2) 2006년, 2010년 및 2013년에 조사된 호안 식생의 구조와 분포의 변화 특성을 분석하여, 3) 수변부 교란에 따른 호안 식생구조의 변화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안 보강이 호안 식생에 영향을 미치는 원리는 무엇인가? 호안 보강 (armoring)은 하천, 호수 및 저수지의 호안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공학적 기법이다. 호안 보강은 육역-수역 경계부를 변경하고, 호안 근처의 지형, 수문, 퇴적물 조성 및 수질을 변화시켜서 호안 식생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 저수지인 의암호의 육역-수역 경계부에서 인위 교란이 호안 식생의 군집 구조와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호안 보강은 무엇인가? 호안 보강 (armoring)은 하천, 호수 및 저수지의 호안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공학적 기법이다. 호안 보강은 육역-수역 경계부를 변경하고, 호안 근처의 지형, 수문, 퇴적물 조성 및 수질을 변화시켜서 호안 식생에 영향을 미친다.
2010부터 2013년까지 호안 식생의 분포 면적은 수생식물은 감소하였고 습생식물은 증가한 배경은 무엇인가? 탈경향대응 분석 (DCA)의 결과에 의하면 보강에 의하여 바뀌어진 호안의 식생 구조가 수생식물 우점 생태계에서 습생식물 우점 생태계로 변화하였다. 호안 보강은 육역-수역 경계부에서 점진적 연속성을 파괴하였고 외래식물의 생물침입을 초래하였다. 2010부터 2013년까지 호안 식생의 분포 면적은 수생식물은 감소하였고 습생식물은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lahunta, J., Kanninen, A. and Vuori, K.M. 2012. Response of macrophyte communities and status metrics to natural gradients and land use in boreal lakes. Aquatic Botany 103: 106-114. 

  2. Boak, E.H. and Turner, I.L. 2005. Shoreline definition and detection: a review. Journal of Coastal Research 21: 688-703. 

  3. Brauns, M., Gucker, B., Wagner, C., Garcia, X.F., Walz, N. and Pusch, M.T. 2011. Human lakeshore development alters the structure and trophic basis of littoral food webs. Journal of Applied Ecology 48: 916-925. 

  4. Cho, H. and Cho, K.-H. 2013.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of geomorphology, hydrology, water quality and shoreline soil in reservoirs of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46: 343-359. (in Korean) 

  5. Choi, H.K. 2000. Aquatic Vascular Plant.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Daejeon, Korea. (in Korean) 

  6. Choung, Y.S., Lee, W.T., Cho, K.H., Joo, K.Y., Min, B.M., Hyun, J.O. and Lee, K.S. 2012. Categorizing Vascular Plant Species Occurring in Wetland Ecosystems of the Korean Peninsula. Center for Aquatic Ecosystem Restoration, Chuncheon, Korea. (in Korean) 

  7. Coles-Ritchie, M.C., Roberts, D.W., Kershner, J.L. and Henderson, R.C. 2007. Use of a wetland index to evaluate changes in riparian vegetation after livestock exclusion.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3: 731-743. 

  8. Corbacho, C., Sanchez, J.M. and Costillo, E. 2003. Patterns of structural complexity and human disturbance of riparian vegetation in agricultural landscapes of a Mediterranean area.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95: 495-507. 

  9. Decamps, H., Fortune, M., Gazelle, F. and Pautou, G. 1988. Historical influence of man on the riparian dynamics of a fluvial landscape. Landscape Ecology 1: 163-173. 

  10. Dodson, S.I. 2008. Biodiversity in southern Wisconsin strom/water retention ponds: correlations with watershed cover and productivity. Lake and Reservoir Management 24: 370-380. 

  11. Elias, J.E. and Meyer, M.W. 2003. Comparisons of undeveloped and developed shorelands, northern Wisconsin, and recommendations for restoration. Wetlands 23: 800-816. 

  12. HERC. 2007. Survey on the Environment and Ecosystem of Lakes in the Han River System. H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Yangpyeong, Korea. (in Korean) 

  13. HERC. 2011. Survey on the Environment and Ecosystem of Lakes in the Han River System. H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Yangpyeong, Korea. (in Korean) 

  14. HERC. 2014. Survey on the Environment and Ecosystem of Lakes in the Han River System. H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Yangpyeong, Korea. (in Korean) 

  15. Jennings, M.J., Emmons, E.E., Hatzenbeler, G.R., Edwards, C. and Bozek, M.A. 2003. Is littoral habitat affected by residential development and land use in watersheds of Wisconsin lakes? Lake and Reservoir Management 19: 272-279. 

  16. Jeppesen, E., Kronvang, B., Olesen, J.E., Audet, J., Sondergaard, M., Hoffmann, C.C., Andersen, H.E., Lauridsen, T.L., Liboriussen, L. and Larsen, S.E. 2011. Climate change effects on nitrogen loading from cultivated catchments in Europe: implications for nitrogen retention, ecological state of lakes and adaptation. Hydrobiologia 663: 1-21. 

  17. Lee, T.B. 199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 Publishing Co., Seoul, Korea. (in Korean) 

  18. Liddle, M.J. & Scorgie, H.R.A. 1980. The effect of recreation on freshwater plants and animals: a review. Conservation Biology 17: 183-206. 

  19. Luken, J.O. and Bezold, T.N. 2000. Plant communities associated with different shoreline elements at Cave Run Lake, Kentucky. Wetlands 20: 479-486. 

  20. Nilsson, C. and Berggren, K. 2000. Alterations of riparian ecosystems caused by river regulation. Bioscience 50: 783-7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