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마을도서관 운동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story of School and Community Libraries Movement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7 no.2, 2016년, pp.151 - 170  

변현주 ((사)작은도서관만드는사람들 사무국) ,  조미아 (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교마을도서관의 태동, 성장, 발전, 확산을 통한 성과요인을 분석하고 현 단계 학교마을도서관 운동의 과제는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학교마을도서관 운동과 관련된 관계자와 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문헌자료를 수집하였다. 학교마을도서관 운동의 추진과정을 태동기, 성장기, 발전기, 확산기, 전환기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학교마을도서관의 역사에 나타난 학교마을도서관의 운영 성과와 의미를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마을도서관은 문화소외지역 중심으로 개설되어 공공도서관의 부족과 작은도서관의 편중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였다. 둘째, 농 산 어촌 지역의 소규모 초등학교에 부족한 장서를 제공함으로써 학교도서관의 운영이 활성화되었다. 셋째, 학교도서관의 운영인력과 장서, 공간을 활용하여 지역주민에게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도서관 서비스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었다. 넷째, 학교마을도서관이 지역 커뮤니티 거점 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공동체 의식이 강화되고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erformance factors of the school and community libraries in its beginning, growth, development, and expansion to identify the assignment of the movement at the present stage. In this study, we performed interviews with those concerned with the school communi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도서관이 가지는 사회적 책무는? 공공도서관이 정보접근의 평등성과 공유성을 실현하는 정보사회의 기반시설이며 정보사회의 선도자라는 사회적 책무를 가지는 것에 비해 오늘날 우리 사회의 공공도서관은 그 기능과 사회 인식의 측면에서 열악함을 면치 못하고 있다(이연옥 2001). 특히 인구밀도가 낮은 농․산․어촌등 벽지에 위치한 지역은 많은 자본과 운영비가 요구되는 공공도서관의 개관은 힘들며, 자발적인 참여로 작은도서관을 운영할 인적 자원을 활용하기에도 어려운 형편이다.
오늘날 우리 사회의 공공도서관이 특히 문제인 곳은? 공공도서관이 정보접근의 평등성과 공유성을 실현하는 정보사회의 기반시설이며 정보사회의 선도자라는 사회적 책무를 가지는 것에 비해 오늘날 우리 사회의 공공도서관은 그 기능과 사회 인식의 측면에서 열악함을 면치 못하고 있다(이연옥 2001). 특히 인구밀도가 낮은 농․산․어촌등 벽지에 위치한 지역은 많은 자본과 운영비가 요구되는 공공도서관의 개관은 힘들며, 자발적인 참여로 작은도서관을 운영할 인적 자원을 활용하기에도 어려운 형편이다. 따라서 이런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대다수는 도서관이 제공 하는 독서문화의 수혜에서 소외되고 있다.
학교마을도서관의 설립배경은? 공공도서관 수의 부족과 작은도서관 운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학교마을도서관이 설립되었다. 학교마을도서관은 문화적 혜택을 받기 어려운 시골지역의 학교도서관의 공간을 활용하여 학생 뿐 아니라 마을 주민 전체가 이용할 수 있도록 조성된 도서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수연. 2008. 내 생애 단 한 번의 약속. 서울: 문이당. Kim, Su Yeon. 2008. Only One Promise in My Life. Seoul: Munyidang. 

  2. 김순덕. 2012. 농촌지역 학교도서관활성화 방안연구 - 경상남도 초등 학교마을도서관 운영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Kim, Soon Deok. 2012. A Study of How to Boost School Libraries: On the Basis of the Management of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Kyungnam Province. M.A.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 김종성. 2000. 한국 학교도서관 운동사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Kim, Jong-Sung. 2000. A Study o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Development Stages of the School Library Movement in Korea. Ph.D. diss., Pusan National University. 

  4. 문화체육관광부. 2016. 2015년도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및 운영평가 결과보고서.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6. 2015 Results Report of Survey on the Status Operation and Evaluation of Small Library.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5. 박시영. 2015. 지역사회개방형 초등학교도서관 운영실태와 이용자 만족도 분석.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Park, Si-Young. 2015. Analysis of Operation of Elementary School Libraries that are Open to the Public in a Local Community and User Satisfaction. M.A.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6. 이미영. 2013. 지역사회 문화공동체로서 학교마을도서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대학원. Lee, Mi Young. 2013. A Study of School Community Libraries as a Local Cultural Community. Ph.D. diss., Chung-Ang University. 

  7. 이연옥. 2001. 한국 공공도서관 운동사- 지식과 정보의 공공성 확보 문제와 관련하여.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Lee, Yeon-Ok. 2001. A Study of the Public Library Movement in Korea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ublic Access to Knowledge and Information. Ph.D. diss., Pusan National University. 

  8. 이용남. 2000. 마을문고 운동의 초기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4(4): 27-47. Lee, Yong Nam. 2000. "A Study on the Early Development Process of Village Mini-Library Movement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4(4): 27-47. 

  9. 한국도서관협회. 2012. 우리학교마을도서관 중장기 발전 방안 구축.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2. The Strategics for Establishment of Mid-to Long-term Development of the School and Community Libraries.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0. 강원일보. 1991. 만나고 싶었습니다: 김수연(사)작은도서관만드는사람들대표. 7월 29일. 'I Wanted to Meet Kim Su Yeon, Representative for People Making Small Libraries.' 1991. Gangwonilbo, July 29. 

  11. 강원일보. 2007. 농촌교육희망찾기 학교마을도서관: (1)학교마을도서관이란?. 10월 1일. 'Rural Education Finding Hope in School and Community Libraries: (1) What is School and Community Libraries?.' 2007. Gangwonilbo, October 1. 

  12. 강원일보. 2007. 농촌교육희망찾기 학교마을도서관: 책속에 우리들의 미래가 있어요. 10월 27일. 'School and Community Libraries Searching a Hope for a Teaching of Rural Communities:There is Our Future Hope in Books.' 2007. Gangwonilbo, October 27. 

  13. 광주일보. 2008. 농어촌 업그레이드 학교마을도서관: 전남 학교마을도서관 연내 10곳 조성. 7월 25일. 'Upgrading Rural Village, School and Community Libraries: Chonnam Province will Add 10 School and Community Libraries in Town within This Year.' 2008. Kwangju ilbo, July 25. 

  14. 국민일보. 1991. 지리산마을에 도서관 개관. 7월 23일. 'Opening the Town Library in Mt. Jiri.' 1991. Kukminilbo, July 23. 

  15. 동아일보. 2008. 고향학교에 마을도서관을: 마을도서관 운영자 워크숍. 1월 24일. 'Small Community Libraries in Hometown Schools: Workshop Offered for Managers of These Libraries'. 2008. Dongailbo, January 24. 

  16. 오마이뉴스. 2003. 태안벽지학교에 43번째 '작은도서관' 문 연다. 11월 9일. 'The Secretary-General of People Making Small Libraries upon the Opening of the 43rd Small Library in Taean, an Isolated Area.' 2003. OhmyNews, March 20. 

  17. 작은도서관만드는사람들 소식지. 2005. 좋은책, 좋은삶, 좋은세상. 12월호. 'A Good Book, a Good Life, a Good World.' 2005. People Making Small Libraries Newsletter, December. 

  18. 좋은책읽기가족모임회보. 2001. 좋은책, 좋은삶, 좋은세상: 강원도 정선 화암마을에서 온 편지. 9월 25일. 'A Letter from Hwaam Jeongseon, Gangwon Province: A Good Book, a Good life, a Better World.' 2001. Family Gathering for Reading Good Books Newsletter, September 25. 

  19. 초등우리교육. 2003. 교육을 가꾸는 사람들: 학교와 마을을 살리는 생명수, 마을도서관. 9월호. 'People Cultivating Education: Lifeblood Save the School and Community library.' 2003. Our Primary Education, September. 

  20. 작은도서관만드는사람들 [online]. [cited 2015.12.1]. . People Making Small Libraries [online]. [cited 2015.12.1].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