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사증후군 관리를 위한 직장기반 식생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a Worksite-based Dietary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3, 2016년, pp.237 - 246  

김혜진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인주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원경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아사노가나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홍정민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영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윤지현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worksite-based dietary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MS) among male employees. Methods: A dietary intervention program combining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approach was implemented targeting white-collar employees at a w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바람직한 식생활 실천에 가장 도움이 된 프로그램 구성요소가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실시한 개인 차원과 식환경 차원의 중재를 동반한 직장기반 식생활 중재 프로그램이 성인 남성의 대사증후군 관리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고위험군을 분류하여 개인 차원의 프로그램과 식환경 차원의 프로그램을 통합적으로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향후 대사증후군 관리를 위한 관련 연구 수행 및 중재 프로그램 실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10주간의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일본 선행연구에 따르면, 영양교육, 운동, 스트레스 관리를 포함한 중재 프로그램 후 자기평가로 구성된 추후 관리프로그램을 총 1년간 실시한 결과,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 중성지방 등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되었다고 보고되었다[26].
  • 본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 관리를 위한 직장기반 식생활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개인 차원의 중재로 소그룹 영양교육 및 1:1 영양상담과 직원식당과 매점을 포함한 식환경에 변화를 준 식생활 중재 프로그램을 10주간 실시하였으며 직장인 남성 총 37명(대사증후군 고위험군 17명, 저위험군 2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대상자의 식생활 변화단계를 파악하였다.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관련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한 선행연구에서는 생활습관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변화단계를 파악한 후대상자의 요구에 맞는 영양상담 등을 포함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24].
  • 이에 본 연구는 직장인 남성의 대사증후군을 관리하기 위한 직장기반 식생활 중재 프로그램을 개인 및 식환경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실시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장인이 만성질환의 발생위험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직장인은 과다한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와 음주를 동반한 잦은 회식, 운동 부족 등에 노출되어 만성질환의 발생 위험이 높다. 우리나라에서 30대 남성 직장인을 대상으로 3년간건강검진을 실시한 결과, 비대사증후군이었던 대상자의 15%가 대사증후군으로 이환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6].
만성적인 대사장애로 나타나는 질환은 무엇인가? 만성적인 대사장애로 인해 복부비만,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저HDL콜레스테롤혈증, 고혈당과 같은 여러 가지 질환이 함께 나타나는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1-3].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1998년에 약 25%였던 만 19세 이상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2007년에는 약 31%로 증가하였다[4].
대사증후군 관리를 위한 직장기반 식생활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1. 중재 프로그램 실시 전, 고위험군의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혈압 및 당화혈색소의 중앙값은 정상 범위를 벗어나 있었고, 중성지방과 HDL-콜레스테롤의 중앙값은 정상 범위에 있었다. 저위험군의 경우는 당화혈색소의 중앙값만 고위험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높았으며, 나머지 수치의 중앙값은 모두 정상 범위에 있었다. 2. 중재 프로그램 실시 후, 고위험군의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혈압, HDL-콜레스테롤, 당화혈색소가 모두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실시 후 고위험군의 대사증후군위험요인의 수의 중앙값이 3개에서 1개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3. 중재 프로그램 실시 전 10점 만점에 3.0점이었던 고위험군의 바람직한 식생활 실천점수의 중앙값은 프로그램 실시 후 7.0점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4.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고위험군은 프로그램이 전반적으로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으며(5점 만점에 평균 4.2점), 여러 중재 요소 중 1:1 영양상담이 가장 도움이 된 것으로 응답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ong AR, Lim 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and its comparison with other Asian countries. J Diabetes Invest 2015; 6(5): 508-515. 

  2. Mozumdar A, Liguori G. Persistent increase of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s: NHANES III to NHANES 1999-2006. Diabetes Care 2011; 34(1): 216-219. 

  3. Okafor CI. The metabolic syndrome in Africa: current trends. Indian J Endocrinol Metab 2012; 16(1): 56-66. 

  4. Lim S, Shin H, Song JH, Kwak SH, Kang SM, Yoon JW et al. Increasing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1998-2007. Diabetes Care 2011; 34(6): 1323-1328. 

  5. Korean Diabetes Associatio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Korean Diabetes Fact Sheet 2015 [Internet].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5 [cited 2015 Jan 10]. Available from: http://www.diabetes.or.kr. 

  6. Ryu S, Song J, Choi BY, Lee SJ, Kim WS, Chang YS et al. Incidence and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male workers, ages 30 to 39. Ann Epidemiol 2007; 17(4): 245-252. 

  7. Story M, Kaphingst KM, Robinson-O'Brien R, Glanz K. Creating healthy food and eating environments: policy and environmental approaches. Annu Rev Public Health 2008; 29: 253-272. 

  8. Kim YS. The employment effect of extended working hours limit [internet]. Korea Labor & Society Institute; 2015 [cited 2015 Nov 29]. Available from: http://klsi.org/. 

  9. Lee MS, Kang HJ, Oh HS, Paek YM, Choue RW, Park YK et al. Effects of worksite nutrition counseling for health promotion; twelve-weeks of nutrition counseling has positive effect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male workers.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1): 46-61. 

  10. Oh HS, Jang M, Hwang MO, Cho SW, Paek YM, Choi TI et al. Effect of 1 year e-mail nutrition education after face-to-face encounter at worksite: change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Korean J Nutr 2009; 42(6): 559-566. 

  11. Park SY, Yang YJ, Kim YR.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a ubiquitous healthcare (u-Health) service on metabolic syndrome in male workers. Korean J Nutr 2011; 44(3): 231-242. 

  12. Kushida O, Murayama N. Effects of environmental intervention in workplace cafeterias on vegetable consumption by male workers. J Nutr Educ Behav 2014; 46(5): 350-358. 

  13. Engbers LH, van Poppel MN, Paw MCA, van Mechelen W. The effects of a controlled worksite environmental intervention on determinants of dietary behavior and self-reported fruit, vegetable and fat intake. BMC Public Health 2006; 6(1): 253. 

  14. Steenhuis I, van Assema P, van Breukelen G, Glanz K, Kok G, de Vries H. The impact of educational and environmental interventions in Dutch worksite cafeterias. Health Promot Int 2004; 19(3): 335-343. 

  15. Sawada K, Takemi Y, Murayama N, Sasaki S, Ishida 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worksite-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tegrated with food environmental intervention apply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 Japanese J Health Educ Promot 2009; 17(2): 54-70. 

  16. Ishida H, Yoshita G, Murayama N. Study on employees' health promotion for the population and the high risk group utilizing foodservice. [In Japanese]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in Japan; 2009 Mar. 

  17. Grundy SM, Cleeman JI, Daniels SR, Donato KA, Eckel RH, Franklin BA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cientific statement. Circulation 2005; 112(17): 2735-2752. 

  18. Korean Diabetes Association. Treatment guideline for diabetes 2011.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1. p. 10. 

  19.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Treatment guideline for obesity 2012. Seou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2. p. 17. 

  20. Daubert H, Ferko-Adams D, Rheinheimer D, Brecht C. Metabolic risk factor reduction through a worksite health campaign: a case study design. Online J Public Health Inform 2012; 4(2): 1-13. 

  21. Wood PD, Stefanick ML, Williams PT, Haskell WL. The effects on plasma lipoproteins of a prudent weight-reducing diet, with or without exercise, in overweight men and women. N Engl J Med 1991; 325(7): 461-466. 

  22. Park JK, Kweon SH, Kim YH, Jang MJ, Oh KW.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5): 664-675. 

  23. Jang JH, Cho SH. Effectiveness of worksite nutrition counseling for hyperlipidemic employees in Kyung-buk area. J Korean Diet Assoc 1999; 5(1): 1-9. 

  24. Lee EH, Kim HK, Lee YH, Moon SY Kwon EJ, Ji SH. Effectiveness of lifestyle intervention on the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07; 24(3): 1-19. 

  25. Yoo SH, Kim HK. Program theory evaluation of a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10; 27(4): 165-175. 

  26. Muto T, Yamauchi K. Evaluation of a multicomponent workplace health promotion program conducted in Japan for improving employees'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Prev Med 2001; 33(6): 571-5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