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살시도자의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연계 형태에 따른 동반질병 심각도의 차이
Severity of Comorbidities among Suicidal Attempters Classified by the Forms of Psychiatric Follow-up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4 no.1, 2016년, pp.74 - 82  

이혁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오승택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민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의학행동과학연구소) ,  이선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석정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의학행동과학연구소) ,  최원정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병욱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자살시도자는 일반적인 경우에 비해 의사결정 능력이 떨어지며, 다시 자살을 시도할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재시도 전에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로 연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신체적 질병이 있는 사람은 자살시도를 할 확률이 높고, 사망률 역시 높아진다. 이 연구는 자살시도자의 특성을 조사하고, 자살시도 후 응급실에 방문하여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를 받기로 결정하는 데 신체적 질병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방 법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경기도의 일 종합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132명의 자살시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해 인구통계학적, 임상적 요인을 조사하였고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연계여부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 과 입원과 외래 상관 없이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를 받는 것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정신건강의학과 진단 유무, 직업 유무,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과거력, 자살시도 과거력이었다.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형태를 입원과 외래로 나누어 동반된 의학적 질병의 심각도(Charlson comorbidity index)를 비교했을 때, 입원을 통해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를 받은 자살시도자와 치료 자체를 거부한 자살시도자는 외래에서 치료를 받은 자살시도자보다 동반된 의학적 질병의 심각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 론 이 연구 결과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에게 동반된 의학적 질병의 심각도(Charlson comorbidity index)가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형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는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에 대해 의학적 동반질병의 여부 및 심각도를 평가하여 동반된 의학적 질병이 상대적으로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자의퇴원을 진행하려고 하는 자살시도자에게 좀 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Suicide attempters have impaired decision making and are at high risk of reattemp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fer them to psychiatric treatment. Especially, People with medical comorbidity are at higher risk of suicidal attempt and mortal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런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신체적 질병이 있는 자살시도자의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연계에 대한 조사나 분석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에 방문한 자살시도자의 자살 위험 요인과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연계 여부를 조사하고, 동반된 신체적 질병이 있을 때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연계에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살시도자의 사회인구학적, 임상적 특성 및 동반질병과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연계 여부를 조사했다. 자살시도 후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가 정신건강의학과 진단이 있는 경우, 직업이 없는 상태,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과거력이나 자살시도 과거력이 있는 경우 정신건강의학과 치료에 더 많이 연계되는 결과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의 정의는 무엇인가? 2004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보고서에 의하면 자살은 치명적인 결과를 내는 행위로, 죽음에 대한 의지를 보여 주는 자기 위해 행위로 정의할 수 있다.1) 자살은 전 세계 매년 1백만명 이상의 인구의 목숨을 앗아가며, 20명의 자살시도자 중 한 명이 자살에 성공한다.
자살시도의 예측 요인은 무엇인가? 5) 자살시도자는 다시 자살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았고, 주로 치명적이고 과격한 방법으로 시도했다.6,7) 자살시도 과거력 외 자살시도의 예측 요인을 살펴 보면 고령, 남성, 신체 기능의 저하, 통증, 외상, 의학적 질병 등의 신체적 요인과 가족 내 갈등, 자살의 가족력과 부모의 정신질환 병력, 저소득 계층, 독거 등의 환경적 요인 및 기존의 정신 질환, 완벽주의적 성격, 충동적이고 공격적인 성격 등의 심리적 요인 등과 같이 다양한 원인이 있다.8-11) 자살시도자를 처음 접한 치료진은 자살을 다시 시도할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 안전한 정신건강의학과 시설에 입원하여 치료하도록 권고해야 한다.
음주 상태에서 자살이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연계율이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 16) 음주 상태에서 자살을 시도한 경우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연계율이 낮았고, 과거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및 외래 치료 경험이 있는 경우 치료에 더 잘 연계되었다.11) 이는 음주 상태에서의 자살시도가 충동적이고 일시적인 것이라고 판단하여 정신건강의학과 치료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였을 수 있고,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과거력이나 병식이 있을 경우 정신건강의학과 치료의 진입장벽이 낮아지는 역할을 했기 때문일 수 있다.11) 심리적 문제로 방문한 환자의 증상을 내과적 문제로 오인하거나, 바쁜 응급실 상황에서 환자의 심리상태를 평가하는 시간이 부족해 치료 연계율이 낮아진다는 주장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Organization WH. WHO report. Geneva 27, Switzerland; 2004. 

  2. Bohanna I. Suicide "contagion": what we know and what we need to find out. CMAJ: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2013;185:861-862. 

  3. Development Of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ealth Statistics 2014. Paris;2014. 

  4. 통계청. 2014년 사망원인통계. 통계청;2014. p.5-16. 

  5. Sakinofsky I. Repetition of suicidal behaviour.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suicide and attempted suicid;2000. p.385-404. 

  6. Beautrais AL. Subsequent mortality in medically serious suicide attempts: a 5 year follow-up.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2003;37:595-599. 

  7. Kuo C, Gunnell D, Chen C, Yip PS, Chen Y. Suicide and non-suicide mortality after self-harm in Taipei City, Taiwan.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12;200:405-411. 

  8. 서울시정신건강증진센터. 자살위기개입핸드북;2011. p.1-55. 

  9. Finkelstein Y, Macdonald EM, Hollands S, Sivilotti ML, Hutson JR, Mamdani MM, Koren G, Juurlink DN. Risk of suicide following deliberate self-poisoning. JAMA Psychiatry 2015;72:570. 

  10. Beghi M, Rosenbaum JF, Cerri C, Cornaggia CM. Risk factors for fatal and nonfatal repetition of suicide attempts: a literature review. Neuropsychiatric Disease and Treatment 2013; 9:1725. 

  11. Jin W, Choi WJ, Yoon JH, Cho HS, Kim SJ, Lee E, Kang JI, Kim KR, Seok JH. Associated factors of psychiatric follow-up after emergency care in suicide attempters. J of KorSoc for Dep and Bip Disorders 2013;11:143-150. 

  12. Brown GK, Beck AT, Steer RA, Grisham JR. Risk factors for suicide in psychiatric outpatients: a 20-year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000;68: 371. 

  13. Appleby L, Dennehy JA, Thomas CS, Faragher EB, Lewis G. Aftercar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who commit suicide: a case-control study. The Lancet 1999;353:1397-1400. 

  14. Kapur N, Cooper J, Hiroeh U, May C, Appleby L, House A. Emergency department management and outcome for self-poisoning: a cohort study. General Hospital Psychiatry 2004; 26:36-41. 

  15. Kim WJ, Song YJ, Namkoong K, Kim JM, Yoon HJ, Lee E. Does a copycat effect exist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y in Medicine 2013;45: 59-72. 

  16. Barr W, Leitner M, Thomas J. Psychosocial assessment of patients who attend an accident and emergency department with self-harm.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5;12:130-138. 

  17. Houry D. Suicidal patie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2004;43:731-732. 

  18. Bergen H, Hawton K, Waters K, Ness J, Cooper J, Steeg S, Kapur N. Premature death after self-harm: a multicentre cohort study. The Lancet 2012;380:1568-1574. 

  19. Karasouli E, Owens D, Abbott RL, Hurst KM, Dennis M. All-cause mortality after non-fatal self-poisoning: a cohort study.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2011;46:455-462. 

  20. MacKenzie TB, Popkin MK. Suicide in the medical patien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y in Medicine 1988;17: 3-22. 

  21. Druss RG. The psychology of illness: in sickness and in health: American Psychiatric Pub;1995. p.390. 

  22. Yoo S, Kim Y, Noh J, Oh K, Kim C, Namkoong K, Chae J, Lee G, Jeon S, Min K.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Anxiety Mood 2006; 2:50-55. 

  23. Charlson ME, Pompei P, Ales KL, MacKenzie CR. A new method of classifying prognostic comorbidity in longitudinal studi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Chronic Diseases 1987;40:373-383. 

  24. Sundararajan V, Henderson T, Perry C, Muggivan A, Quan H, Ghali WA. New ICD-10 version of the Charlson comorbidity index predicted in-hospital mortality.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2004;57:1288-1294. 

  25. Druss B, Pincus H.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in general medical illnesse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0; 160:1522-1526. 

  26. Needham DM, Scales DC, Laupacis A, Pronovost PJ. A systematic review of the Charlson comorbidity index using Canadian administrative databases: a perspective on risk adjustment in critical care research. Journal of Critical Care 2005; 20:12-19. 

  27. Jollant F, Bellivier F, Leboyer M, Astruc B, Torres S, Verdier R, Castelnau D, Malafosse A, Courtet P. Impaired decision making in suicide attempter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14;162:304-310. 

  28. Suominen K, Lonnqvist J. Determinants of psychiatric hospitalization after attempted suicide. General Hospital Psychiatry 2006;28:424-430. 

  29. Jung WY, Park JM, Kang CJ, Lee BD, Lee YM.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ompleted versus non-completed suicide and re-attempt rates in 2-4 year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9;48:488-495. 

  30. Mortensen PB, Agerbo E, Erikson T, Qin P, Westergaard-Nielsen N. Psychiatric illness and risk factors for suicide in Denmark. The Lancet 2000;355:9-12. 

  31. Park HN. Relationship characteristic in attempted suicide of the psychiatric care(dissertation). P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1. 

  32. Suominen KH, Isometsa ET, Lonnqvist JK. Attempted suicide and psychiatric consultation. European Psychiatry 2004; 19:140-145. 

  33. Hanson GD, Babigian HM. Reasons for hospitalization from a psychiatric emergency service. Psychiatric Quarterly 1974; 48:336-351. 

  34. Schmidtke A, Bille-Brahe U, DeLeo D, Kerkhof A, Bjerke T, Crepef P, Haring C, Hawton K, Lonnqvist J, Michel K. Attempted suicide in Europe: rates, trend. 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ers during the period 1989-1992. Results of the WHO/EURO Multicentre Study on Parasuicid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996;93:327-338. 

  35. Bennewith O, Gunnell D, Peters T, Hawton K, House A. Variations in the hospital management of self harm in adults in England: observational study. BMJ 2004;328:1108-1109. 

  36. Batki SL, Meszaros ZS, Strutynski K, Dimmock JA, Leontieva L, Ploutz-Snyder R, Canfield K, Drayer RA. Medical comorbidity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alcohol dependence. Schizophrenia Research 2009;107:139-1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