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병원 간호사가 인식한 환자안전문화와 소진이 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neral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Burnout on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2 no.3, 2016년, pp.239 - 250  

장현미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  박주영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  최영주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  박성원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  임한나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burnout on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ith a focus on clinical experience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Method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in C Province, and 107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상경험을 중심으로 환자안 전문화와 소진이 안전관리 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안전관리 활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업무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상경험을 중심으로 환자안 전문화와 소진이 안전관리 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안전관리 활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업무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상경험을 중심으로 환자안전문화와 소진이 안전관리 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안전관리 활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소진이 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 이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종합병원 간호사가 인식한 환자안전문화와 소진이 안전관리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안전관리 활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안전문화란? 환자안전문화란 조직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구성원의 헌신, 개인 또는 조직의 가치, 지각, 태도, 능력, 그리고 행동 양식의 산물이다[2]. 환자안전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병원환경을 조성하고 의료사고에 대한 개방적 논의를 허용함으로써 의료사고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령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문제는? 한편, 최근 고령화 사회의 도래에 따라 질병 발생률은 높아지고 이로 인해 병원 이용횟수도 증가하고 있다. 환자들의 병원 이용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간호인력 당 환자의 수적 부담이 커져 소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자를 간호하는 과정에서 위해한 사고들이 발생할 수 있다. 소진은 업무 스트레스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으로써 흔히 발생하는 부정적인 결과로 신체 에너지의 많은 소모나 정신적, 정서적 탈진 상태를 경험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 부정적 건강증후군이다[7].
환자안전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어떤것이 중요한가? 환자안전문화란 조직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구성원의 헌신, 개인 또는 조직의 가치, 지각, 태도, 능력, 그리고 행동 양식의 산물이다[2]. 환자안전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병원환경을 조성하고 의료사고에 대한 개방적 논의를 허용함으로써 의료사고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처럼 안전사고의 원인파악이 선행된다면 재발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환자안전을 위해 병원환경을 개선시키는데 필요한 근거자료를 마련해 줄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nistry of Education (KR). Safety consciousness index of students [Internet].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014. [cited 2014 April 4]. Available from: http://www.prism.go.kr/homepage/researchCommon/retrieveResearchDetailPopup.do?research_id1342000-201300056 

  2.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US).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Internet]. 2016 [cited 2015 December 20]. Available from: http://www.ahrq.gov/professionals/quality-patient-safety/patientsafetyculture/hospital/index.html. 

  3. Kim JY, Hwang EA. A study on improvement of consumer safety in medical services-based on patient safety. Seoul: Korea Consumer Agency; 2015. 

  4. Lee SI. Policy suggestions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Paper presented at: 2012 Spring SNUH's Hospital Medical Policy Symposium; 2012 May 22;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5.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US). AHRQ focus on research: Patient safety(Publication No. 02-M021) [Internet].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2. [cited August 18, 2003]. Available from: http://www.ahrq.gov/professionals/quality-patient-safety/index.html 

  6. Lee KS, Shin MK. Goals and assignments of healthcare accreditation progra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2;55(1):7-16. http://dx.doi.org/10.5124/jkma.2012.55.1.7 

  7. Kim YO. A study of factors predicting burnout in hospital staff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2;14(4):591-601. 

  8. Kim JU, Yang GA, Yun SH. Korean hospital environment associated with patient safety and communication process in recognition of a nurse.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2004;10:130-135. 

  9. Park SJ. A study o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master's thesis]. Busan: Donga University; 2009. 

  10. Kim JJ, Kim TJ, Seo SE, Jung YS, Shin CH, Kim IS. Fundamentals of nursing. Seoul: Jungdam Media; 2006. 

  11. Hospital Nurses Association. Clinical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fall prevention [Internet]. 2008 [cited 2015 December 20]. Available from: http://khna.or.kr/bbs/linkfile/resource/khna_Fcare.pdf 

  12. Lee YJ. Patient safety culture and management activities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Daejeon: Eulji University; 2011. 

  13. Lee KH, Lee YS, Park HK, Rhu JO, Byun IS. The influences of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1;17(2):204-214. 

  14. Lee JM, Hong SJ, Park MH.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among ICU nurses.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2013;9(11):273-290. 

  15. Nam MH, Lim JH. The influences of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nurse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Digital Convertgence. 2013;11(1):349-359. 

  16. Lee MJ. Effects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nurses in small to medium hospitals [master's thesis]. Busan: Donga University; 2015. 

  17. Jeong HJ. Safety culture awareness and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operating room nurse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13. 

  18. Joo JI. The effect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job exhaustion on the patient safety performance among operation room nurses [master's thesis]. Gimhae: Inje University; 2014. 

  19. Kizer KW. Large system change and a culture of safety (conference paper). In A. Scheffler and LA Zipperer, eds. Enhancing patient safety and reducing errors in health care: Chicago, IL: National Patient Safety Foundation; 1999. 

  20. Je WY. Hospital worker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a university hospital [master's thesis].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 2007. 

  21. Noh YN. Analysis of perception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hospital workforce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8. 

  22. Maslach C, Zimbardo PG. Burnout, the cost of car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2. 

  23. Maslach C, Jackson SE.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981;2(2):99-113. http://dx.doi.org/10.1002/job.4030020205 

  24. Choi HY. Perfectionism tendency,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counselors [master's thesis].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02. 

  25. Lee GO. The study on nurse manager leadership and patient safety-related nursing activities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9. 

  26. Shin EH.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nursing activity by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Wonju: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2014. 

  27. Han NJ. The awareness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 degree of safe nursing activity of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Daegu: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2012. 

  28. Gong HH, Son YJ. Impact of nurs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tertiary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2;19(4):453-4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