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사건보고 및 안전간호활동: 일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tient Safety Culture, Incident Reporting and Safety Care Activities of Clinical Nurses in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6 no.1, 2019년, pp.35 - 45  

하수진 (동아대학교의료원 응급중환자실) ,  이민주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cident reporting, and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clinical nurses an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afety care activities. Methods: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155 nurses who we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들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탐색하여 안전간호활동의 영향요인을 파악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사건보고에 대한 태도 및 지식, 안전간호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여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환자안전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고, 안전간호활동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 정도와 사건보고에 대한 태도 및 지식, 안전간호활동 정도를 조사하고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사건보고에 대한 태도 및 지식, 안전간호활동 정도를 조사하고,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병원 간호사가 인식한 환자안전문화 정도, 사건 보고에 대한 태도 및 지식, 안전간호활동 정도를 조사하고,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탐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안전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에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환자안전에 대하여 면묀한 관심을 기울일 것과 환자안전에 필요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강화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한 바 있다(WHO, 2002). 환자안전이란 보건의료와 관련된 불필요한 위해의 위험을 수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WHO, 2009). 병원 내에서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위해사건이 발생하면 환자 및 보호자는 신체적.
병원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은 왜 중요한가? 그러므로 의료인들은 환자와 보호자 뿐만 아니라 타 직원 및 의료인 자신을 위해서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특히 24시간을 환자와 접촉하는 병원 간호사들은 환자 안전과 관련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처하는 전문가 집단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Park, Kang, & Lee, 2012). 따라서 병원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은 환자안전 증진의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사건보고를 함으로써 어떤 점이 기대되는가? 환자안전 사건보고는 위해가 발생한 경우는 물론 발생할 우려가 있는 사건이나 상황을 해당 기관의 절차에 따라 구두 및 서면으로 보고하는 것을 의미한다(Institute of Medicine [IOM], 2004). 사건보고를 하면 의료 서비스 과정 중 어떤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개선책을 마련할 수 있다(KSPS, 2016). 또한 보고를 통해 환자안전사건에 대한 의료인의 태도 변화 및 인식 강화, 지식 향상 등도 기대할 수 있다(Anderson, Kodate, Walters, & Dodds, 2013; Heavner & Siner, 2015; Koh & Kim, 2018; KSPS, 2016). 환자안전사건의 예방 및 재발방지를 위한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사건보고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4). Hospital survey on patient culture (NO. 04-001). AHRQ publication. (cited 2017 October 15). Available from: https://www.ahrq.gov/qual/patientsafetyculture/hospsurvindex.htm 

  2. Anderson, J. E., Kodate, N., Walters, R., & Dodds, A. (2013). Can incident reporting improve safety? Healthcare practitioners' views of the effectiveness of incident reporting.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5(2), 141-150. https://doi.org/10.1093/intqhc/mzs081 

  3. Cho, Y. J. (2012). A Study on Perception and Performance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4. Choi, J. H., Lee, K. M., & Lee, M. A. (2010).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safety care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2), 64-72. 

  5. Han, M. Y., & Jung, M. S. (2017). Effect of hospital nurse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health and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3(7), 127-138.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2.127 

  6. Heavner, J. J., & Siner, J. M. (2015). Adverse event reporting and quality improvement in the intensive care unit. Clinics in Chest Medicine, 36(3), 461-468. https://doi.org/10.1016/j.ccm.2015.05.005 

  7. Institute of Medicine. (2004). Patient safety: Achieving a new standard for car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8. Jang, H. E. (2013). Impact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ontrol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9. Kim, J. E., Kang, M. A., An, K. E., & Sung, Y. H. (2007). A survey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ed to hospital culture and reports of medical erro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3), 169-179. 

  10. Kim, K. J., & Oh, E. G. (2009).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incidence reporting according to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4), 581-592. 

  11. Kim, K. K., Song, M. S., Rhee, K. S., & Hur, H. K. (2006). Study on factors affecting nurses' experience of non-reporting inci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3), 454-463. 

  12. Kizer, K. W. (1999). Large system change and culture of safety: Enhancing patient safety and reducing errors in healthcare. Chicago, IL: National Patient Safety Foundation. 

  13. Koh, Y. M., & Kim, J. S. (2018). A convergence study of nurses' incident reporting and perceived safety climat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4), 443-452. https://doi.org/10.15207/JKCS.2018.9.4.443 

  14. Kohn, L. T., Corrigan, J. M., & Donaldson, M. S. (2000).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15. Lee, H. H., Doh, S. Y., & Hwang, I. S. (2017). Patient safety culture measure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16. Lee, K. O. (2009). (The) study on nurse manager leadership and patient safety-related nursing activ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7. Lee, M. H., & Kim, C. H. (2015). Effect of leadership WalkRounds convergence to establish a patient safety cultur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6), 185-195. https://doi.org/10.14400/JDC.2015.13.6.185 

  18. Lee, S. I. (2016). Significance and challenges of Patient Safety Act. Health and Social Welfare Forum, 240, 2-4. 

  19. Moon, S., & Lee, J. (2017). Correlates of patient safety performance among nurses from hospitals with less than 200 beds.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9(4), 393-405. https://doi.org/10.7475/kjan.2017.29.4.393 

  20. Nam, M. H., & Lim, J. H. (2013). The influences of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nurse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 349-359. 

  21.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7). "Nurses", in Health at a Glance 2017: OECD Indicator. Paris: OECD. https://doi.org/10.1787/health_glance-2017-56-en 

  22. Park, H. N. (2017, August 9). 'Controversy over proxy prescription' Partial recognition of Soonchunhyang University Cheonan Hospital "Structural problems". Sunday Times. Available from: https://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262876 

  23. Park, S. J., Kang, J. Y., & Lee, Y. O. (2012). A study o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5(1), 44-55. 

  24. Seo, J. H., Song, E. S., Choi, S. E., & Woo, K. S. (2016, December) Patient safety in Korea current status and policy issues. Research paper.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5. Seys, D., Wu, A. W., Van Gerven, E., Vleugels, A., Euwema, M., Panella, M., et al. (2013). Health care professionals as second victims after adverse event: a systematic review. Evaluation & the Health Professions, 36(2), 135-162. https://doi.org/10.1177/0163278712458918 

  26. Son, Y. S., Lee, Y. W., Kim, Y. S., Song, E. J., Lee, H. R., & Lee, J. H. (2018).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isk factors and performance level of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4(2), 190-200. https://doi.org/10.5977/jkasne.2018.24.2.190 

  27. The Korean Society for Patient Safety. (2016). Patient safety concept and application. Seoul: Parkyoungsa. 

  28. Wallace, L. (2010). Feedback from reporting patient safety incidents - Are NHS trusts learning lessons?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Policy, 15(1), 75-78. https://doi.org/10.1258/jhsrp.2009.09s113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Quality of Care: Patient Safety. Fifty-Fifth World Health Assembly WHA 55.18 Agenda item 13.9. (cited 2017 October 15). Available from: https://apps.who.int/gb/archive/pdf_files/WHA55/ewha5518.pdf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patient safety.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cited 2017 October 15).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patientsafety/e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