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패션제품 구매과정에서 소비자 망설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consumer hesitation in purchase decision process for fashion products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4 no.3, 2016년, pp.385 - 398  

김소희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  박인애 (인천대학교 경영학부) ,  박지선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 world where opportunities and chances are common, the phenomenon referred to as "generation maybe" describes people in their 20s and early 30s who are usually being indecisive. With the increase in breadth of information and choices,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hesitant in deciding whether to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젊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시장에서 구매 결정 단계에서 소비자들의 결정장애 행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소비시장에서 젊은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 시 선택을 쉽게 하지 못하고 망설이는 행동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의사결정에서 구매 전 소비자들의 망설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연구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소비시장에서 젊은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 시 선택을 쉽게 하지 못하고 망설이는 행동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의사결정에서 구매 전 소비자들의 망설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연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패션 제품 구매를 위한 소비자 의사결정과정에서 구매 결정에 대한 소비자들의 망설임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구매고민의 단계에서 망설임은 구매 유보 또는 타인에게 구매를 미루는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Greenleaf & Lehmann, 1995; Kim et al.
  • 그러나 구매상황에서 소비자들의 결정장애 행동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패션 제품 구매를 위한 의사결정과정에서 소비자들의 시각을 그 기준점으로 삼아 그들의 구매결정 망설임 자체에 대한 이해 및 망설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구매상황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던 Ko and Yeo(2015)의 연구에서 좀 더 나아가 소비자 개인 성향(자기결정성, 패션제품 의사결정성향)이 구매결정 망설임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패션 제품 구매를 위한 의사결정과정에서 소비자들의 시각을 그 기준점으로 삼아 그들의 구매결정 망설임 자체에 대한 이해 및 망설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구매상황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던 Ko and Yeo(2015)의 연구에서 좀 더 나아가 소비자 개인 성향(자기결정성, 패션제품 의사결정성향)이 구매결정 망설임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구매고민의 정도가 커질 경우, 구매결정을 유보하거나 포기하게 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 일반적으로 구매고민의 정도가 커질 경우, 구매결정을 유보하거나 포기하게 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구매결정 망설임 이후 궁극적으로 구매를 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구매 전 망설임의 정도가 구매 이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역시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1)”이라 정의하였다. 이 현상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매결정 망설임(consumer hesitation in deciding whether to purchase)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구매결정 망설임을 소비자가 의사결정과정에서 구매를 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결정하지 못하고 망설이며 선택을 어려워하는 정도라고 정의한다.
  • 하지만 구매결정에 대한 망설임 이후 ‘구매’로 이어지게 되었을 경우, 구매결정 고민 단계에서의 망설임 정도와 구매에 대한 소비자 만족은 어떤 관련이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한다.
  • 소비자 본인이 느끼기에 충분히 고민하고 망설인 이후 구매를 결정하였다고 느낄 경우, 구매 전 느꼈던 불확실성은 줄어들고, 자신의 구매 행동이 보다 합리적이었다고 느끼고 보다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구매결정에 대한 고민 과정에서 구매로 이어진 경우, 구매 전 결정에 대한 망설임의 정도는 구매 후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 소비자 의사결정에서 과거의 불쾌한 경험과 소비자 불확신은 소비자가 지각하는 위험요소로서 부정적 감정과 연관이 되며, 이를 회피하고자 하며, 결정지연에 영향을 줄 수 있다(Beatty & Smith, 1988; Greenleaf & Lehmann, 1995).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주관적 구매상황 요인이 구매결정 망설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유능성은 개인이 사회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개인의 능력이나 기술 및 재능을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경험한다고 지각하는 정도를 말한다(Deci & Ryan, 1985; Ryan & Deci, 2000). 유능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능력을 최고로 발휘하는 방법과 조건을 찾고, 그 행동을 통해 능력과 기술을 유지하고 발전시키고자 하게 한다. 유능감은 기술과 능력의 획득이라기보다는 그 행동을 통해서 본인 스스로 효율성과 자신감을 느끼는 것이다(Ryan & Deci, 2000).
  • 구매 결정 시 외부의 압박 또는 보상에 의한 것보다 자신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능력, 또는 그런 능력에 대한 믿음이 높을수록 의사결정과정에서 구매결정을 망설이기보다는 독립적인 선택을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을 이루는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 구매결정 망설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패션 제품 구매를 위한 의사결정과정에서 구매결정을 망설이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구매결정 망설임, 그리고 구매이후 만족도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연구문제 1: 주관적 구매상황적 요인(a: 제품 관여도, b: 주변 조언/동의 필요성, c: 정보 필요성, d: 사전지식, e: 소득대비 가격, f: 과거 불쾌한 경험, g: 구매 제품에 대한 확신)이 구매결정 망설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연구문제 2: 소비자 자기결정성향(a: 자율성, b: 유능감, c: 관계성)이 구매결정 망설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연구문제 3: 소비자 의사결정 성향(a: 합리성 지향, b: 가격 지향, c: 브랜드 지향, d: 유행 지향, e: 전문가 추천 지향)이 구매결정 망설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연구문제 4: 소비자 구매결정 망설임이 구매 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그로 인해 자신의 선택에 대해서 더 합리적인 결정을 위해서 고민을 하는 세대이다. 또한 우리나라 스마트 폰이 시작하던 시대의 주 타겟 층으로 디지털 사용에 길들여진 세대로서, 디지털 기기 사용이 자유롭고, 많은 정보를 쉽고 빠르게 얻고자 한다. 따라서 이들은 특성 상 결정장애 현상과 가장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는 세대라고 할 수 있다.
  • 연구문제 1은 젊은 소비자들의 구매결정 망설임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들의 주관적 구매상황 요인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7가지의 주관적 구매상황 요인중 제품 관여도(b=.
  • 연구문제 2는 소비자 개인의 자기결정성향이 구매결정 망설임에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라 자기결정성향은 자율성, 지각된 유능감 및 관계성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
  • 연구문제 4는 소비자 구매결정 망설임의 정도가 구매 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의사결정 과정에서 구매 결정에 대해서 망설이고 고민 하는 정도가 커지면, 구매 지연, 구매 포기, 소비자 구매 후기 탐색 등의 행동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 의사결정 과정에서 구매 결정에 대해서 망설이고 고민 하는 정도가 커지면, 구매 지연, 구매 포기, 소비자 구매 후기 탐색 등의 행동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망설임 이후 구매로 이어진 상황에서 구매 이전 결정에 대한 망설임의 정도가 구매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3]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회귀분석 결과, 회귀식은 유의하였으며(R2=.
  • 본 연구는 패션제품 구매를 위한 소비자 의사결정과정에서 구매에 대한 선택을 하지 못하고 망설이는 행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구매결정 망설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따라 소비자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전 소비자결정과정 모형에서 작은 부분이었던 구매결정 망설임이라는 개념을 결정장애 현상과 연결하여 재조명하며, 패션제품 구매 과정에서 소비자 망설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주관적 구매상황 측면 및 소비자 개인 성향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더욱이 본 연구는 소비자 망설임의 결과변수로 구매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었다.
  • 본 연구는 이전 소비자결정과정 모형에서 작은 부분이었던 구매결정 망설임이라는 개념을 결정장애 현상과 연결하여 재조명하며, 패션제품 구매 과정에서 소비자 망설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주관적 구매상황 측면 및 소비자 개인 성향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더욱이 본 연구는 소비자 망설임의 결과변수로 구매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었다. 이는 기존의 결정 지연 관련 연구들은 결정 지연은 구매 지연 또는 구매포기 행동으로 이어져 결정지연이 초래하는 부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맞춘 반면(Cho et al.
  • 연구결과를 토대로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는 구매망설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제시하였다. 마케터는 이를 고려하여 소비자의 구매상황에서의 망설임을 해소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매결정 망설임이란 무엇인가요? 이 현상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매결정 망설임(consumer hesitation in deciding whether to purchase)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구매결정 망설임을 소비자가 의사결정과정에서 구매를 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결정하지 못하고 망설이며 선택을 어려워하는 정도라고 정의한다. 구매결정 망설임은 Ko and Yeo(2015)의 구매고민과 유사한 개념이지만, 구매고민에서 더 나아가 구매여부에 대한 결정을 하는 시점에서 결정을 망설이는 행동을 강조하고자 한다.
소비자 들의 선택을 도와주는 산업이 등장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많은 젊은 소비자들에게서 결정장애 현상이 관찰된다. Kim et al.(2015)의 2015년 트렌드 키워드로 선정된 결정장애 현상은 한 순간에 나타나는 일시적인 현상이라기보다는 지속적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구매상황에서 역시 소비자들이 구매여부를 선택하지 못하는 현상이 관찰이 되며, 소비자들은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고민하는 시간 또는 결정을 위한 비용의 소모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큐레이션 서비스, 서브스크립션 서비스 등 소비자 들의 선택을 도와주는 산업이 등장하였다(Kim et al.
구매고민이란 무엇인가요? , 2015). 이와 같은 현상을 Ko and Yeo(2015)는 구매고민이라고 표현하였으며, 이를 “소비자가 욕구를 인지하고 정보를 탐색하여 대안에 대한 비교, 평가를 거쳐 어떤 선택을 하기까지 일련의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생각을 기울여 애쓰는 것(p.1)”이라 정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mato, P. R., & Bradshaw, R. (1985). An exploratory study of people's reasons for delaying or avoiding helpseeking. Australian Psychologist, 20(1), 21-31. doi:10.1080/00050068508257557 

  2. Anderson, C. J. (2003). The psychology of doing nothing: Forms of decision avoidance result from reason and emotion. Psychological Bulletin, 129(1), 139-167. doi:10.1037/0033-2909.129.1.139 

  3. Baumeister, R. F., & Leary, M. R. (1995). The need to belong: Desire for interpersonal attachments as a fundamental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17(3), 497-529. doi:10.1037/0033-2909.117.3.497 

  4. Beatty, S. E., & Smith, S. M. (1987). External search effort: An investigation across several product categori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1), 83-95. doi:10.1086/209095 

  5. Blackwell, R. D., Miniard, P. W., & Engel, J. F. (2005). Consumer behavior (10th ed.). Cincinnati: South-Western College Pub. 

  6. Chaiken, S. (1980). Heuristic versus systematic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use of source versus message cues in persua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5), 752-766. doi:10.1037/0022-3514.39.5.752 

  7. Cho C.-H., Kang J., & Cheon H. J. (2006). Online shopping hesitation. CyberPsychology & Behavior, 9(3), 261-274. doi:10.1089/cpb.2006.9.261 

  8. Choi, M., Shin, W., Park, M., & Kim, J. (2009). Communication competence makes us stronger and happier: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on resilience, self-determination and life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3(5), 199-220. 

  9. Choi, S. H., & Han, S. P. (2012). A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br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self-determination on the brand equity.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3(1), 41-62. 

  10. Deci, E. L., & Ryan, R. M. (1985). The general causality orientations scale: Self-determination in persona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9(2), 109-134. doi:10.1016/0092-6566(85)90023-6 

  11. Dhar, R. (1996). The effect of decision strategy on deciding to defer choice. Journal of Behavioral Decision Making, 9(4), 265-281. doi:10.1002/(SICI)1099-0771(199612)9:4 3.0.CO;2-4 

  12. Greenleaf, E. A., & Lehmann, D. R. (1995). Reasons for substantial delay in consum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2(2), 186-199. doi:10.1086/209444 

  13. Ha, H.-H., & Lee, Y.-I. (2011). The effects on purchase deferral of choice difficulty and anticipated regret on assortment size of product. Journal of Product Research, 29(6), 1-10. 

  14. Jacoby, J., Speller, D. E., & Berning, C. K. (1974). Brand choice behavior as a function of information load: Replic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1), 33-42. doi:10.1086/208579 

  15. Kim, H., & Chung, M. (2015). The effects of clothes shopping orientation and perceived risk on purchase intention in social commerc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3), 384-399. doi:10.7741/rjcc.2015.23.3.384 

  16. Kim, R. D., Jeon, M. Y., Lee, H. E., Lee, J. Y., Kim, S. Y., & Choi, J. H. (2014). 트렌드 코리아 2015 [Trend Korea 2015]. Seoul: Miraebook. 

  17. Kim, R. D., Jeon, M. Y., Lee, H. E., Lee, J. Y., Kim, S. Y., & Choi, J. H. (2015). 트렌드 코리아 2016 [Trend Korea 2016]. Seoul: Miraebook. 

  18. Kim, S. O. (2014). The effect that decision-making type and advertisement acception attitude influences to purchasing action for cosmetic treatment goo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Korea. 

  19. Kim, S.-H. & Rhee, E.-Y. (2004). A documentary study to determine the concept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3/4), 472-482. 

  20. Ko, D. K., & Yeo, J. S. (2015). Consumer consideration in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11(1), 1-24. 

  21. Lee, M. H., & Kim, A. Y. (2008). Development and construct validation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 for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2(4), 157-174. 

  22. Lee, M.-S. (2010). The effects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on women consumers'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Focu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by age variabl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8(6), 1138-1152. 

  23. Luce, M. F. (1998). Choosing to avoid: Coping with negatively emotion-laden consumer decis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4(4), 409-433. doi:10.1086/209518 

  24. Moore, S., & Mathews, S. (2006). An exploration of online shopping cart abandonment syndrome: A matter of risk and reputation. Journal of Website Promotion, 2(1/2), 71-88. doi:10.1080/15533610802104141 

  25. Roberts, S. (2014, May 17). Generation maybe. Mercatornet, Retrieved June 4, 2016 from http://www.mercatornet.com/demography/view/generation_maybe/13740 

  26.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1), 68-78. doi:10.1037/0003-066X.55.1.68 

  27. Schmidt, J. B., & Spreng, R. A. (1996). A proposed model of external consumer information search.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4(3), 246-256. doi:10.1177/0092070396243005 

  28. Schwartz, B. (2004). The paradox of choice: Why more is less. New York: Harper Perennial. 

  29. Shah, A. K., & Oppenheimer, D. M. (2008). Heuristics made easy: An effort-reduction framework. Psychological Bulletin, 134(2), 207-222. doi:10.1037/0033-2909.134.2.207 

  30. Sproles, G. B., & Kendall, E. L. (1986). A methodology for profiling consumer's decision-making styles. Journal of Consumer Affairs, 20(2), 267-279. doi:10.1111/j.1745-6606.1986.tb00382.x 

  31. Tversky, A., & Shafir, E. (1992). Choice under conflict: The dynamics of deferred decision. Psychological Science, 3(6), 358-361. doi:10.1111/j.1467-9280.1992.tb00047.x 

  32. Yun, M. (1999). A study on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and preferred store image of male consumers: Focused on male consumers aged twenties and thirties in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3. Zaichkowsky, J. L. (1985).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3), 341-352. doi:10.1086/2085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