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관의 지수화 및 시각화 기법을 활용한 대전광역시 녹지비오톱 파편화 분석
Fragmentation Analysis of Daejeon City's Green Biotope Using Landscape Index and Visualization Method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9 no.3, 2016년, pp.29 - 44  

김진효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나정화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이순주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권오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조현주 (대구대학교 조경학과) ,  이은재 (대전발전연구원 도시기반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d visually analyze the degree of green biotope fragmentation caused by road construction and other development work using FRAGSTATS and GUIDOS tool. Moreover, linking of the endangered species research, we mapped "Biotope Fragmentation Map" of Daeje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불어 GUIDOS 분석 결과 및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조사 결과를 활용, 대전광역시‘비오톱 파편화 지도’를 작성하여 계획적 차원에서 녹지비오톱의 파편화를 예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RAGSTATS와 GUIDOS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도로건설 및 개발 사업이 대전광역시 녹지비오톱유형의 파편화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 시각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대전광역시 생태조사 자료와의 연계를 통해 ‘비오톱 파편화 지도’를 작성함으로써, 향후 추가적인 개발 사업 시 사전에 계획적 차원에서 녹지비오톱의 파편화 및 서식지 훼손을 최소화함은 물론 ‘비오톱지도’와 더불어 보다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 이러한 비오톱지도의 작성은 2000년 이후부터 서울시를 시작으로 전국지자체별로 작성이 되어오고 있지만, 서울시를 제외하고는 지속적인 비오톱지도의 갱신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지인 대전광역시 역시, 비오톱지도를 활용한 시계열적 파편화 분석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 기 구축되어있는 임상도, 생태자연도, 토지피복지도를 분석하여 비오톱지도와의 비교분석을 위한 지도를 선정하였다(Table 1). 분석 시에는 상이한 지도의 비교를 통해 나타날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 지도별로 특히, 산림과 같은 대규모 녹지비오톱 유형들의 형태 및 배치의 일치 정도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 또한 대전광역시 생태조사 자료와의 연계를 통해 ‘비오톱 파편화 지도’를 작성함으로써, 향후 추가적인 개발 사업 시 사전에 계획적 차원에서 녹지비오톱의 파편화 및 서식지 훼손을 최소화함은 물론 ‘비오톱지도’와 더불어 보다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 위와 같은 수정작업을 걸쳐 구축된 비오톱지도를 바탕으로, 파편화 정도의 비교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Input-data로 선정된 생태자연도와 비오톱지도를 각 지도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명명하였다. 먼저 도로 및 개발로 인해 녹지비오톱의 단절 및 파편화를 잘 살펴볼 수 있는 비오톱지도는 “파편화가 진행된 비오톱 상태(FBC:Fragmented Biotope Condition)” 지도로, 비교를 위해 선정된 생태자연도의 경우 “파편화가 진행되지 않은 비오톱 상태(NFBC:Non-Fragmented Biotope Condition)” 지도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는 보다 정밀한 GUIDOS 분석을 위해 무엇을 수행하였는가? GUIDOS 분석 역시, 앞선 FRAGSTATS 분석을 위해 생성한 래스터 형태의 Geo Tiff 파일을 활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밀한 분석을 위해 pixel size는 20m, 픽셀을 중심으로 한 연결성 분석은 8-neighbor rule을, 가장자리 영역은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가장자리 효과가 크다고 보고된 범위인 30m(구조요소 1)를 범위로 설정한 이후 분석을 수행하였다(Murica, 1995; Laurance, 1997).
FRAGSTATS의 사용목적은 무엇인가? 1)을 활용하였다. FRAGSTATS는국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산림 등과 같은 경관요소들의 공간적 패턴을 정량화하고, 이를 활용하여 생물종의 다양성 및 녹지의 파편화, 그리고 녹지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연결성 등을 규명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경관지수들 중 특히, 파편화에 따른 녹지비오톱 유형들의 공간 패턴 변화정도를 잘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패치의 수(NP), 평균패치크기(MPS),경계부의 총길이(TE), 평균패치거리(MNN), 경관 형태지수(LSI)를 활용하여 파편화 분석을 수행하였다(Table 2).
FRAGSTATS 분석 기법의 한계는 무엇인가? 이처럼 국내의 경우 서식지의 파편화 측정을 위한 수단으로서 FRAGSTATS(McGarigal et al., 2002) 분석 기법이 꾸준히 사용되어 왔지만, FRAGSTATS의 경우 서식지의 파편화와 연결성 측정 시에는 유용한 반면, 개별 녹지의 변화 및 시각적인 분석이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Kang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i TY.Kwon HS.Woo DG and Park JH. 2012. Habitat Selection and Management of the Leopard Cat(Prionailurus bengalensis) in a Rural Area of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Ecology 26(3): 322-332. 

  2. Forman, R. T. T. 1995. Land mosaics: the ecology of landscape and reg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Gillees, C. S. and C. C. St. Clair. 2008. Riparian corridors enhance movement of a forest specialist bird in fragmented tropical forest. Proc. Natl. Acad. Sci. U.S.A. 105(50): 19774-19779. 

  4. Heo SG.Kim KS.Ahn JH.Yoon JS.Lim KJ.Choi JD.Shin YC and Lyou CW. 2007. Landscape Analysis of the Forest Fragmentation at Doam-Dam Watershed using the FRAGSTATS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10(1): 10-21. 

  5. Jung JC. 1999. The Analysis Method of Landscape Fragmentation using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2(3): 16-22. 

  6. Jung SK.Park KH and Oh JH. 2002. Effect of Linear Development Projects on Forest Fragmentation in the Nakdong River Watershe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1(3) 117-127. 

  7. Kang WM.Ko IS.Park CH and Lee DW. 2012. An Analysis of Changes in Forest Fragmentation and Morphology in Surrounding Landscapes of Maeulsoops and Jinan-gu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Ecology 26(6): 941-951. 

  8. Kim EY.Song WK and Lee DG. 2012. Forest Fragmentation and its impacts: A review.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5(2): 149-159. 

  9. Laurance, W. F. 1997. Hyper-disturbed parks: Edge effects and the ecology of isolated rainforest reserves in tropical Australia. In W. F. Laurance, R. O. Bierregaard(ed). Tropical forest remnants: Ecology,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fragmented communiti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71-83. 

  10. MacArthur, R. H. and E. O. Wilson. 2007.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 McGarigal K..S. A. Cushman and E. Ene. 2002. FRAGSTATS v4: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categorical maps. http://www.umass.edu. 

  12.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Current Status of Installing and Operating Eco-corridor, 3-4. 

  13. Murica, C. 1995. Edge effects in fragmentation forests: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Trends. Ecol. Evol. 10: 58-62. 

  14. Paek KJ.Park K and Kang HS. 2005. Forest Fragmentation Due to Roads in Chirisan National Park.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8(1): 63-72. 

  15. Park CR and Lee D. 2010. Comparison of wildlife between connected(Sugumagi) and isolated maelsoops(Meoi). Presented at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orest-related traditional knowledge and culture in Asia, Kanasawa, Japan, December 14-15. pp. 23-28. 

  16. Park JJ.Woo DG.Oh DH and Park JH. 2012. Site Selection of Wildlife Passage for Leopard Cat in Urb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1): 92-99. 

  17. Seok SM and Lee JY. 2015.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Road-kill Hotspot and Habitat Patche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4(3): 233-243. 

  18. Shiliang L.Yuhong D.Li D.Qi L.Haidi Z and Shikui D. 2014. Forest fragmentation and landscape connectivity change associated with road network extension and city expansion: A case study in the Lancang River Valley. Journal of Ecological Indicators 36: 160-168. 

  19. Spellerberg, I. F. 2002. Ecological Effects of Roads, Plymouth: Science Pub. Inc. 

  20. Tscharntke, T..A. M. Klein.A. Kruess.I. Steffan-Dewenter and C. Thies. 2005. Landscape perspectives on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and biodiversity-ecosystem management. Ecol. Lett. 8: 857-874. 

  21. Tuner, I. M. 1996. Species loss in fragments of tropical rain forest: a review of the evidence. Journal of Applied Ecology 33: 200-209. 

  22. Turner II, B.L., E.F. Lambin and A. Reenburg. 2007. The emergence of land change science for global environmental change and sustainability. Proc. Natl. Acad. Sci. U.S.A. 104: 20,666-20,671. 

  23. Vogt P..Ritters, K. H..Estreguil C.Kozak J.Wade T. G and Wickham J. D. 2007. Mapping spatial patterns with morphological image processing. Landscape ecology 22: 171-177. 

  24. http://forest.jrc.ec.europa.eu/download/software/guido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