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장산국립공원 굴거리나무군락의 군집특성 및 분포 변화 연구
The Study of Distribution Changing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Daphniphyllum macropodum (National Monument No. 91) in Naejang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9 no.3, 2016년, pp.45 - 57  

신진호 (국립문화재연구소) ,  전용삼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  손지원 (국립문화재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northernmost limit of the distribution changing of Daphniphyllum macropodum and studied characteristic of plant communities of natural monument No. 91 in Najangsan national park,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highest importance percentage(I.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굴거리나무의 밀도는 Lim and Oh(1999)와 같이 현지 조사를 통해 굴거리나무 개체 간 평균 거리가 3m 미만인 경우 ‘밀’, 3∼5m 인 경우를 ‘중’, 개체간 평균 거리가 5m 이상인 경우를 ‘소’밀도로 조사하였다.
  • 내륙의 북한계지인 내장산 굴거리나무의 분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GPS(Gamin GPS 60CSx, Germany)와 국토지리정보원(NGII, 2015)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1:5,000)를 이용하였으며, 보조 장비로 태블릿PC에 OruxMap Ver. 6.0(Spain)을 설치하여 활용하였다. 또한 OruxMap 전용 프로그램(ozexplorer)을 이용하여 수치지도, 위성 영상 및 과거자료 등을 정사 보정하여 태블릿PC에 탑재하여 사용하였다.
  • 대상지의 환경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내장산국립공원에서 가장 가까운 정읍 기상대의 최근 30년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온량지수, 한랭지수, 평균기온 등 수목 생장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해 조사하였다.
  • 0(Spain)을 설치하여 활용하였다. 또한 OruxMap 전용 프로그램(ozexplorer)을 이용하여 수치지도, 위성 영상 및 과거자료 등을 정사 보정하여 태블릿PC에 탑재하여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내장산국립공원 내장사지구의 금선계곡과 원적계곡을 중심으로(Figure 1)하였으며, Lim and Oh(1999)의 굴거리나무 분포 밀도지도(Figure 2)를 기본으로 하여 현지에서 굴거리나무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보다 정확한 분포 범위 조사를 위하여 굴참나무, 신갈나무 등 다른 활엽수들이 개엽하기 전인 2월에서 3월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지형도를 기준으로 굴거리나무가 출현하는 최대 고도를 최대분포지역으로 판단하여 분포지도를 작성하였다. 군집 분석을 위한 식생조사는 2015년 4월 15일∼4월 16일, 5월 19일∼21일, 7월 21일∼7월 22일에 각각 실시하였다.
  • 5m를 관목층, 그 이하를 초본층으로 구분하였다. 수관층의 상대우점치(importance percentage:I.P.)는 (Equation 1)로 계산하였으며, 수관층위별 가중치를 부여한 평균상대우점치(mean importance percentage:M.I.P.)는 (Equation 2)를 통하여 구하였다(Yim et al., 1980; Park et al., 1987; Kim, 2012).
  • 식생조사는 방형구법(quadrat method)을 이용하여 총 36개의 방형구(100m2 34개소, 225m2 1개소, 400m2 1개소)를 조사하였으며, 방형구의 분포는 사전 조사한 굴거리나무의 밀도에 따라 수량을 조정하였다.
  • 다만 조사가 필요한 지역임에도 급경사의 전석지 등 조사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조사를 실시하지 않았다.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각 수종의 상대적 우세를 비교하기 위해 Curtis and McIntosh(1951)의 중요치를 통합하여 백분율로 나타낸 상대우점치(Brower and Zar, 1977)를 수관층별로 분석하였다. 수관층의 구분은 수고 8m 이상을 교목층, 2.

대상 데이터

  • 군집 분석을 위한 식생조사는 2015년 4월 15일∼4월 16일, 5월 19일∼21일, 7월 21일∼7월 22일에 각각 실시하였다.
  • 굴거리나무군락이 7개 조사구(700m2)에서 조사되었으며, 고도 326∼400m, 경사 5∼20°로 주로 북서향과 북향에서 조사되었다.
  • 대상지의 기후는 우리나라 일반적인 기후특성인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 대륙성 기후대로서 연평균 기온이 13.1°C, 최고기온은 32.6°C, 최저기온은 -5.5°C이다(KMA, 2015).

이론/모형

  • 36개의 방형구를 조사하였으며, 군락의 명명은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M.E., 2012)에 따라 명명하였다. 조사 결과 주요 군락으로는 신갈나무군락이 5개 방형구(500m2)에서 출현하였으며, 해발고도 400∼460m, 경사 8∼15°이었으며 주로 북서향과 북향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내장산국립공원 내장사지구의 금선계곡과 원적계곡을 중심으로(Figure 1)하였으며, Lim and Oh(1999)의 굴거리나무 분포 밀도지도(Figure 2)를 기본으로 하여 현지에서 굴거리나무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보다 정확한 분포 범위 조사를 위하여 굴참나무, 신갈나무 등 다른 활엽수들이 개엽하기 전인 2월에서 3월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지형도를 기준으로 굴거리나무가 출현하는 최대 고도를 최대분포지역으로 판단하여 분포지도를 작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장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날짜는 언제인가? 정읍시 남쪽에 자리 잡고 있는 내장산은 순창군과 경계를 이루는 해발 600∼700 m급의 기암괴석이 말발굽의 능선을 그리고 있으며,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에는 남원 지리산·영암 월출산·장흥 천관산·부안 능가산(변산)과 함께 호남 5대 명산으로 손꼽힌다. 내장산은 1971년 11월 17일 인근 백양사지구와 함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총면적이 80.71km2에 달한다(KNPS, 2015).
내장산의 굴거리나무군락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날짜는 언제인가? 71km2에 달한다(KNPS, 2015). 한편 내장산에 위치한 굴거리나무군락은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물게 큰 굴거리나무가 분포하고 있으며, 굴거리나무의 자생북한계지의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962년 12월 7일 천연기념물 제91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CHA, 2015).
굴거리나무의 나뭇잎 특징은 무엇인가? 소지는 굵고 녹색이지만 어린 가지는 붉은 빛이 돌며 털이 없다. 가지 끝에 모여 어긋나는 잎은 장타원형으로 엽두는 점첨두, 엽저는 예저이며, 표면은 진한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을 띤다. 암수딴그루로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녹색의 꽃잎이 없는 꽃이 총상화서로 달린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e JY.Kim JS.Lee KJ.Kim JY and Yeum JH. 2013. Changes of vegetation structure in Naejangsan district, Najangsan National Park for twenty years(1991-2010), Korea. Korean J. Environ. Ecl. 27(1): 99-112. (in Korean with English summery) 

  2. Bae KW.Lee KJ.Han BH.Kim JY and Jang JH. 2012. Actual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geumasun valley and weonjeok valley in Naejangsan(Mt.)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6(3): 412-425. (in Korean with English summery) 

  3. Box, E. O..D. W. Crumpacker and E. D. Hardin. 1993. A climatic model for location of plant species in Florida, USA. Jorunal of Biogeography 20: 629-644. 

  4. Brower, J. E. and J. 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p.194. 

  5. Choi SH.Oh KK.Cho HS and Kang HM. 2011.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community in Naejang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5(2): 175-188. (in Korean with English summery) 

  6. Curtis, J. T. and R. 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7. Jeong JC.Jeong JY.Choi JH.Jeon KS and Bae JH. 2011. Growth performances of seedlings of Daphniphyllum macropodum in Naejang National Park for container seeding production.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0(4): 365-372. 

  8. Kil BS.Kim JU and Kim YS. 2000. Forest vegetation of southern area of Mt. Naejang National Park, Korea. Korean J. Ecol. 23(3): 231-240. (in Korean with English summery) 

  9. Kim JS and Kim TY. 2011.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press Dolbegae. p.126. (in Korean) 

  10. Kim JY. 2012. Actual vegetation and sturcture of plant community of forest ecosystem in Taejongdae, Busan City, Korea. Kor. J. Env. Eco. 26(3): 426-436. (in Korean with English summery) 

  11. Koo KA.Park WK and Kong WS. 2000. Growth of Daphniphyllum macropodum and climatic factors at Mt. Naejang, Korea.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14(1): 65-71. (in Korean with English summery) 

  12. Lee TB. 2006. Coloured flora of Korea. p.669. (in Korean) 

  13. Lee WT and Yim YJ.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Botanical Society of Korea 8: appendix 1-33. (in Korean with English summery) 

  14. Lim YH and Oh KK. 1999.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phniphyllum macropodum population in the Naejang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3(1): 17-33 (in Korean with English summery)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4th National Ecosystem Surveys. Plant community p.7. (in Korean) 

  16. Park IH.Lee KJ and Jo JC. 1987.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Mt. Bukhan area. Journal of korean applied ecology 1(1): 1-23. (in Korean with English summery) 

  17. Rijksherbarium. 1867. Annales Musei botanici lugduno-batavi v. 3. Amstelodami, Apud C.G. van der Post. Netherlands. p.129. 

  18. Woodward, F. I. 1992. A review of the effects of climate on vegetation: range, competition, and composition. pp.23-105 

  19. Huggett R. J. 1998. Fundamentals of Biogeography, pp.21-23, London and New York 

  20. Yim KB.Park IH and Lee KJ. 1980. Phytosociological chang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duced by insect damage in Kyonggido A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50: 56-71. (in Korean with English summery) 

  21. Yim YJ and Kim JU. 1992. The Vegetation of Mt. Chiri National Park. The Chung-Ang University Press, p.200. 

  22. Yim YJ and T. Kira.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anese J. Ecol. 25: 77-88. (in Japanese with English summery) 

  23. Yim YJ. 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II.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long the thermal gradient. Jap. J. Ecol. 27: 177-189. 

  24. Yun JH.K Nakao.Park CH.Lee BY and Oh KH. 2011. Change prediction for potential habitats of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Korea by climate change. Kor. J. Env. Eco. 25(4): 590-600. 

  25. CHA(2015) http://www.cha.go.kr 

  26. KMA(2015) http://www.kma.go.kr 

  27. KNPS(2015) http://www.knps.or.kr 

  28. NGII(2015) http://www.ngii.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