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육시설 영유아의 일반적 특성과 기질 및 애착안정성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General Characteristics, Temperament, and Attachment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아동학회지, v.37 no.3, 2016년, pp.83 - 93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가족복지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at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period of stay at an institution, size of facility, and temperament and attachment affect young children's development under institutional care. Methods: A total of 94 young children (ages 2-4years), who live in 32 in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추가적으로 시설영유아의 기질과 애착안정성의 발달영역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를 탐색적 수준에서 살펴보았다.
  • 최근 연구들에서는 이를 적용하여 영유아 발달상태를 5개 영역을 포괄한 전체로서 살펴보거나(Lim & Lee, 2013) 일부 발달영역만을 활용하기도 하였다(Jun, Choi, & Choi, 2013). 본 연구에서는 시설영유아들의 발달상태를 5개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관련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핌으로써 시설 영유아 발달을 위한 구체적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 상기 서술한 선행연구 고찰 및 필요성에 입각하여 본 연구에서는 양육시설 영유아들의 발달을 예측하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시설영유아의 일반적 특성, 기질과 애착안정성이 세부적인 발달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시설 영유아의 건강한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Lee (2011) 또한 유아의 기질 자체보다는 어머니와의 조화적합성이 정서지능에 실제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여 기질과 발달 간의 관계는 역동적 속성을 가짐을 보여주었다. 위의 연구들을 통해 영유아의 기질과 발달의 관계가 돌봄자와의 애착형성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예측해 볼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특히 시설 영유아들의 경우 집단양육이라는 생활 환경 하에 기질적 특성이 어떻게 발달에 작용하는지, 생물학적 부모가 아닌 보육사와의 애착안정성이 기질과 함께 발달에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 조절효과의 여부는 3단계의 R2 변화량의 유의미성을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이 때 독립변수와 조절변수에 대하여 평균중심화(mean centering) 절차를 수행하였는데, 이는 변수간 다중공선성에 의해 상호작용항의 효과가 왜곡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 상기 서술한 선행연구 고찰 및 필요성에 입각하여 본 연구에서는 양육시설 영유아들의 발달을 예측하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시설영유아의 일반적 특성, 기질과 애착안정성이 세부적인 발달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시설 영유아의 건강한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육시설보호를 받고 있는 영유아들이 전반적인 발달에 있어서 문제를 가질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양육시설보호를 받고 있는 영유아들은 일반가정에서 보호를 받고 있는 영유아들과 다르게 가정 외 보호라는 특수 환경에서 자람으로써 전반적인 발달에 있어서 문제를 가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되었다(Seong & Seol, 2012). 시설보호 영유아 들은 인지발달 지연과 사회적 행동에 심각한 결함을 보이며 신체발육 및 뇌 발달의 지연, 애착과 관련된 다양한 심리적 장애를 나타낸다고 언급하였다(Slopen, Kubzansky, MacLaughlin, & Karestan, 2013).
양육시설의 규모가 큰 경우 영유아의 의사소통발달과 대근육발달 및 소근육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무엇에 기인한 것인가? 둘째, 양육시설의 규모가 큰 경우 영유아의 의사소통발달과 대근육발달 및 소근육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설 내 아동수가 많은 경우 양육사와의 개별적 상호작용과 세심한 생활관리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데 기인하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시설의 규모 및 보호 아동수와 관계없이 개별 영유아가 의사소통 및 신체 · 운동발달에 있어서 부족함이 없도록 개별적인 관심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아유기 현상이 증가한 이유는? 5배가 증가하였다. 미혼모의 증가, 낙태수술금지에 관한 형법(2012.8.23. 법률 제 5057호) 제270조, 입양촉진 및 절차에 관한 특례법(2012.8.5. 법률 제11007호) 제11조, 그리고 민간 주도의 베이비 박스의 운영으로 인하여 영아유기 현상이 증가한 것이다. 경찰청 통계(2013)에 따르면, 영아 유기 발생 건수는 2009년에는 52건이었으나, 입양특례법이 개정된 이후인 2013년에는 225건으로 급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insworth, M. D. S. (1973). The development of infant-mother attachment. In B. M. Caldwell & H. N. Ricciuti (Eds.),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 (Vol. 3).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 Bowlby, J. (1969). Attachment and loss. New York: Basic Books. 

  3. Buss, A. H., & Plomin, R. (198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Hillsdale, NJ: Erlbaum. 

  4. Cohn, D. A. (1990). Child-mother attachment and the self in six-year olds and social competence at school. Child Development, 61, 152-162. 

  5. Cowie, J. D., & Dodge, K. A. (1998). Aggression and antisocial behavior. In W. Damon & N. Eisenberg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pp. 779-862). New York: Wiley. 

  6. Jones, S., Eisenberg, N., Fabes, R. A., & MacKinon, D. P. (2002). Parents' reactions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 to social and emotional functioning at school. Merrill-Palmer Quarterly. 48(2), 133-160. 

  7. Slopen, N., Kubzansky, L. D., MacLaughlin, K. A., & Karestan, C. K. (2013). Childhood adversity and inflammatory processes in youth: A prospective study. Psychoneuroendocrinology, 38(2), 188-200. 

  8. Usai, M. C., Garello, V., & Viterbori, P. (2009). Temperamental profiles and linguistic development.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32, 322-330. 

  9. Waters, E., & Deane, K. E. (1985). Defining and assessing individual differences attachment relationships:Q-methodology and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In Bregherton & E. Waters (Eds.),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Growing points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Serial No. 209, Vol. 50, nos. 1-2, pp. 41-65).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 Wartner, U. G., Grossmann, K., Fremmer-Bombik, E., & Suess, G. (1994). Gerhard attachment patterns at age six in South Germany: Predictability from infancy and implications for p reschool behavior. Child Development, 65(4), 1014-1027. 

  11. Baek, C.-K. (2014). Variables affecting institutionalized infant and caregiver patterns of attachment. Asian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12(2), 1-22. 

  12. Choi, N. Y., & Yoo A. J. (2002). Vocabulary competence of 6-and 7-year old children by institutionalization, age and sex.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3(1), 121-137. 

  13. Chung, M. L., Kang, S. K., Kim, M. J., & Choi, H. J. (2014).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temperaments of 12-month-old infants, maternal attachment, parenting stress and infant development.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4(3), 333-354. 

  14. Huh, K. Y., Squires, J., Lee, S. Y., & Lee, J. S. (2006). Korean Ages & Stage questionnai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ion Center. 

  15. Jeon, S. Y. (2002). The differential developmental pattern by child temperamental types and parental styles: A study on goodness of fit' in a developmental contex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6. Jeong, S. W. (2004). Association between attachment style of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and psychosocial adaptation.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8(1), 1-15. 

  17. Jun, H. J., Choi Y. K., & Choi, H. J. (2013). Relationship among infants' temperament,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s and the social development of infants' mediation effects of communi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and Review, 17(3), 365-384. 

  18. Jung, J. O. (2009). The relationships of socioemotional behavior of infants, their temperament and the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9. Kang, J. H. (2010). The effects of early children's temperament, selfcontrol and maternal parenting on early children's playful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20. Kim, S. E., & Park, S. Y. (2009). Relationships between caregivers' attachment,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aggression: Institutionalized vs. home-reared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0(1), 43-57. 

  21. Kim, S. J., & Kwak, K. J. (2007). The relationship of developmental change of temperament and problem behaviors during infancy: Early characteristic of temperament and developmental pattern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8(6), 183-200. 

  22. Kim, S. Y., & Kim, H. J. (2014).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toddler temperament,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and toddler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4(5), 31-54. 

  23. Lee, K. H., & Seo, S. J.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mperament, maternal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elf-efficacy.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9(3), 53-77. 

  24. Lee, M. L., & Shin, Y. R. (2013). Effects of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role, child temperament, and environmental support on early child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7(1), 1-20. 

  25. Lee, S. E. (2011).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sex and psychological & behavior goodness-of-fit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15(3), 409-430. 

  26. Lee, Y. (2013). A study on the cognitive ability according to children's attachment 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Pai 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27. Lim, H. J., & Lee, D. K.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temperament and infant's temperament and infant's develop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yle. The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 125-144. 

  28. Oh, J. Y., & Lee, J. H. (2005). A study on the three-year-old child's attachment style and adaptive behavior in kindergarten.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0(3), 385-412. 

  29. Oh, Y. J., & Moon, H. J. (2014). A study on variables associated with institutionalized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Focused on the children's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institutional psychological nurturing environment, and interaction with local community.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21(3), 69-87. 

  30. Seong, M. W., & Seol, K. O. (2012). Behavior problems, orphanage-reared children, protective factors, risk factors. The Korean Journal Child Education, 21(2), 147-160. 

  31. Yang, A.-K.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ual-income family and young child's teacher-parents attachment. Th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15(4), 197-212. 

  32. Yang, J. D., & Pyun, M. H. (2001). A study on the effects of orphanage environment on child & youth development.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3(2), 13-23. 

  33. Yang, S. Y. (2012). A study on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ve behavior of children aged four in institutional care through a role play program using doll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3(1), 93-1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