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각 특성의 계량: 척도와 데이터의 이해
Measurement of Sensory Responses: Understanding Scaling and Data 원문보기

식품산업과 영양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v.21 no.1, 2016년, pp.5 - 10  

홍재희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고에서는 감각평가를 처음 접하거나, 감각 자체의 측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좀 더 알고 싶은 학생이나 연구원들을 위하여 감각이 어떻게 감지, 인식되어 언어나 수치로 표현되고, 어떠한 형태의 자료(data)로 산출되는지에 대한 개괄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비율 자료는 크기 추정(magnitude estimation, ME) 방법에 의해 산출된다. 이 방법은 감각 반응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자극(stimuli)과 반응 간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크기 추정 방법에 의해 산출된 자료는 Stevens의 power law를 따르는 것으로 관찰된 바 있다(Fig.

가설 설정

  • CATA 방법은 기존의 정량적 묘사분석(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QDA) 대신 소비자들로부터 제품 감각 특성의 프로필을 구하는 방법으로(3), 검사원들은 감각 특성의 리스트를 제공받고, 그 리스트에서 제품별로 감지되는 모든 특성을 체크한다. CATA는 제품의 특징적인 향미나 강한 감각 특성은 뚜렷이 감지될 수 있으므로 많은 검사원에 의해 체크되어 빈도수가 높게 나타날 것이고, 약한 특성들은 민감한 소수 검사원에 의해서만 감지되므로 빈도수가 낮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 검사 결과는 각 감각 특성이 체크된 경우를 1, 체크되지 않았을 경우를 0으로 코딩하여 정리한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크기 추정에 따른 비율 자료의 단점은? 즉, 5% 설탕 수용액의 단맛을 10이라고 평가하였을 때 평가할 시료의 단맛이 그의 절반 강도였다면 5, 두 배의 강도라면 20을 부여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특성 강도를 비율로 표현하므로 전반적으로 이 특성이 강한지 약한지를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감각적 처리 과정은 무엇인가? 이 과정은 크게 감각적 처리 과정(sensory process)과 인지적 처리 과정(cognitive process)으로 구분될 수 있다(1). 감각적 처리 과정은 외부의 자극이 인간의 감각 수용체와 반응, 전기 신호로 바뀌어 신경을 거쳐 뇌로 전달, 내적 표상체계(internal representation) 또는 지각표상(percept)으로 부호화(encoding)되는 과정이다. 인지적 처리 과정에서는 내적 표상체계를 어떤 언어로 표현하고 강도를 어느 정도로 부여할지 판단하고 이를 실제로 수행하게 된다.
IFT에 의한 감각검사란? Institutes of Food Technologists(IFT)의 정의에 따르면 감각검사(sensory evaluation)는 “시각, 후각, 촉각, 미각, 청각에 의해 감지되는 제품에 대한 반응을 불러 일으키고 측정∙분석하며 해석하는 과학의 한 분야”(“A scientific discipline used to evoke, measure, analyze, and interpret those responses to products that are perceived by the senses of sight, smell, touch, taste and hearing”)이다. 바꾸어 말하면, 감각검사는 인간을 측정 기구로 사용하여 감각으로 감지되는 특성이나 기호 반응, 감정적 반응을 정성적으로, 그리고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im J. 2011. Hedonic scaling: A review of methods and theory. Food Qual Prefer 22: 733-747. 

  2. Zar JH. 1999. Biostatistical Analysis. 4th ed.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USA. p 1-5. 

  3. Valentin D, Chollet S, Lelievre M, Abdi H. 2012. Quick and dirty but still pretty good: a review of new descriptive methods in food science. Int J Food Sci Technol 47: 1563-1578. 

  4. Jones LV, Peryam DR, Thurstone LL. 1955. Development of a scale for measuring soldiers' food preferences. J Food Sci 20: 512-520. 

  5. Lawless HT, Heymann H. 2010. Sensory Evaluation of Food: Principles and Practices. 2nd ed. Springer, New York, NY, USA. 

  6. Bartoshuk LM, Fast K, Snyder DJ. 2005. Differences in our sensory worlds: invalid comparisons with labeled scales. Curr Dir Psychol Sci 14: 122-125. 

  7. Borg G. 1982. A category scale with ratio properties for intermodal and interindividual comparisons. In Psychophysical Judgment and the Process of Perception. Geissler HG, Petzold P, eds. North-Holland Publishing Company, New York, NY, USA. p 25-34. 

  8. Green BG, Shaffer GS, Gilmore MM. 1993. Derivation and evaluation of a semantic scale of oral sensation magnitude with apparent ratio properties. Chem Senses 18: 683-702. 

  9. Green BG, Dalton P, Cowart B, Shaffer G, Rankin K, Higgins J. 1996. Evaluating the 'Labeled Magnitude Scale' for measuring sensations of taste and smell. Chem Senses 21: 323-334. 

  10. Bartoshuk LM, Duffy VB, Green BG, Hoffman HJ, Ko CW, Lucchina LA, Marks LE, Snyder DJ, Weiffenbach JM. 2004. Valid across-group comparisons with labeled scales: The gLMS versus magnitude matching. Physiol Behav 82: 109-114. 

  11. Luce RD, Krumhansl CL. 1988. Measurement, scaling, and psychophysics. In Steven's Handbook of Experimental Psychology. Atkinson RC, Herrstein RJ, Lindgey G, Luce RD, ed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NY, USA. p 3-73. 

  12. Orne MT. 1962. On the social psychology of the psychological experiment: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demand characteristics and their implications. Am Psychol 17: 776-783. 

  13. Smith EE, Kosslyn SM. 2007. Cognitive Psychology: Mind and Brain. Pearson/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USA. 

  14. Lawless HT. 1983. Contextual effect in category ratings. J Test Eval 11: 346-349. 

  15. Furnham A. 1986. Response bias, social desirability and dissimulation. Pers Individ Dif 7: 385-400. 

  16. Meilgaard MC, Civille GV, Carr BT. 2007. Sensory Evaluation Techniques. 4th ed. CRC Press, Boca Raton, FL, USA. 

  17. Poulton EC. 1989. Bias in Quantifying Judgment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Hove and London, UK. 

  18. Frank RA, van der Klaauw NJ, Schifferstein HN. 1993. Both perceptual and conceptual factors influence tasteodor and taste-taste interactions. Percept Psychophys 54: 343-354. 

  19. Diamond J, Lawless HT. 2001. Context effects and reference standards with magnitude estimation and the labeled magnitude scale. J Sens Stud 16: 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