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염 오징어 젓갈의 숙성에 따른 핵산관련물질의 변화
Changes of the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according to the Ripening Process of Low Salt Fermented Squid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3 no.2, 2016년, pp.304 - 310  

장기화 (경기대학교 외식조리관리학과) ,  서동연 (군장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과) ,  오성천 (대원대학교 제약품질관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염 5%를 첨가한 저염 오징어 젓갈을 $10^{\circ}C$에서 8주간 숙성시키면서 핵산관련물질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숙성발효에 따른 정미성분의 변화를 보면, 핵산관련물질 중 ATP 및 ADP는 소실되어 검출되지 않았으며 초기에만 AMP가 존재하고 숙성중반까지 현저히 감소한 반면에 inosine 및 hypoxanthine은 숙성중반까지 증가하였다가 다시 감소하였으며 핵산관련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pH는 식염농도가 낮고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숙성후반까지 계속 유의성 높게 증가하여 숙성이 촉진되었으며 적정산도는 숙성후반까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처럼 저염 오징어 젓갈의 적정 발효조건을 추정해 보면 발효온도 $10^{\circ}C$, 식염 10%, 발효기간 5주로 추정되어 활용가치가 높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hows the changes of the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of squid during fermentation for 8 weeks at $10^{\circ}C$ in 5% salt solution. Among nucleic acid related matters, ATP and ADP were vanished not to be detected, AMP existed only at the early stage and then rapid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젓갈의 저장성을 증가시켜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식염 5%를 첨가한 저염 오징어 젓갈을 각각 10℃에서 8주간 숙성시키면서 핵산관련물질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다한 첨가 식염 섭취는 어떤 문제점을 일으키는가? 첨가 식염은 부패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자체효소 및 미생물의 효소작용에 의하여 정미성분인 유리아미노산과 핵산계 물질이 생성되어 식미 기호성이 증가될 뿐 아니라[3-4], 김치의 부원료나 조미료로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과다한 식염 섭취는 고혈압, 신장병 및 만성신부전 등의 성인병을 유발시키므로 짠맛을 줄인 저염 젓갈의 개발 필요성이 필요하다[5-6].
젓갈이란? 젓갈은 어패류의 근육, 내장이나 생식소 등에 비교적 다량의 식염을 첨가시켜 발효시킨 전통 음식이다[1]. 젓갈의 제조는 기본적으로 원료를 소금 및 부재료와 고루 혼합하여 밀봉한 후 일정기간 발효숙성 시킴으로써 자가분해효소와 미생물이 생산하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작용에 의하여 육질의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고 특유의 향미 성분이 생성된 수산발효식품[2]이다.
젓갈의 제조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젓갈은 어패류의 근육, 내장이나 생식소 등에 비교적 다량의 식염을 첨가시켜 발효시킨 전통 음식이다[1]. 젓갈의 제조는 기본적으로 원료를 소금 및 부재료와 고루 혼합하여 밀봉한 후 일정기간 발효숙성 시킴으로써 자가분해효소와 미생물이 생산하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작용에 의하여 육질의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고 특유의 향미 성분이 생성된 수산발효식품[2]이다. 첨가 식염은 부패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자체효소 및 미생물의 효소작용에 의하여 정미성분인 유리아미노산과 핵산계 물질이 생성되어 식미 기호성이 증가될 뿐 아니라[3-4], 김치의 부원료나 조미료로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Nilsang, S. Lertsiri, M. Suphantharika and A. Assavanig, Optimization of Enzymatic Hydrolysis of Fish Soluble Concentrate by Commerical Protease. J. Food Eng. 70, 571-578 (2005). 

  2. Y. M. Kim and D. S. Kim, Korea Jeotkal. 15 (1990). 

  3. S. C. Oh and J. S. Cho, Changes of the Volatile Basic Nitrogen and Free Amino Acids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of Low Salt Fermented Squid. Korean J. Soc. Food Sci. Technol. 16, 173-181 (2000). 

  4. H. R. Cho, U. Y. Park and D. S. Chang, Studies on the Shelf-Life Extention of Jeotkal, Salted and Fermented Seafo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52-660 (2002). 

  5. F. R. Shank and F. E. Scarbrough, FAD Prospective on Sodium. Food Technol., 37, 73 (1983). 

  6. A. C. Marsh, Process and Formulation that Affect the Sodium Content of Foods, Food Technol., 37, 45 (1983). 

  7. A.O.A.C. :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984). 

  8. A.O.A.C. :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1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970). 

  9. E. H. Lee, J. G. Koo, C. B. Ahn and K. S. Ok, A rapi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ATP and its related compounds in dried fish and shell-fish products using HPLC. Bull. Korean Fish Soc. 17(5), 368 (1984). 

  10. D. Valentine, Sandwich student report. Determination of ATP and its degradation products in fish muscle by HPLC. Torry Research Station. United Kingdom (1977). 

  11. K. G. Lee and S. M. Kim, Quality Changes in Low-Salted Squid Jeot-gal during Fermentation and Determination of Shelf-lif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687-694 (2012). 

  12. Y. M. Kim, Y. M. Jeong and J. H. Hong, Processing Conditions for Low-Salted Squid Jeotkal. Bull. Korean Fish. Soc. 26(4), 312 (1993). 

  13. K. H. Lee, Microbiological and Enzymological Studies on the Flavor Components of Sea Food Pickles, J. Korean Soc. Agri. Chem. Biotech. 11, 1-27 (1969). 

  14. B. J. You and M. H. Chang,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auce of Shelfish with Citric Acid Pre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6), 541-546 (1992). 

  15. S. Y. Chung and E. H. Lee, The Taste Compounds of Fermented Acetes chinensis. Bull. Korean Fish. Soc. 9(2), 79-110 (1976). 

  16. Y. J. Cha, S. Y. Cho, K. S. Oh and E. H. Lee,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2. The taste Compounds of Low Salt Fermented Sardine. Bull. Korean Fish. Soc. 16(2), 140-146 (1983). 

  17. J. H. Ha, S. W. Han and E. H. Lee,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8. Taste Compoun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Low Salt Fermented Damsel Fish, Chromis notatus. Bull. Korean Fish. Soc. 19(4), 312-320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