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수유 종자 추출물의 화장품 방부효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smetic Preservative Effects of Cornus officinalis seed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3 no.2, 2016년, pp.333 - 341  

양재찬 (목원대학교 테크노과학대학 생의약화장품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수유 종자 추출물의 천연 방부제로서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항균활성 및 화장품 방부 효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산수유 종자는 각각 1,3-부틸렌글리콜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Paper disc method로 항균활성을 평가한 결과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Propionibacterium acnes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산수유 종자 1,3-부틸렌글리콜 추출물(COS-A)이 여드름균에대해 $26.7{\pm}4.0mm$로 가장 높았다. 최소저해농도(MIC) 측정 결과 산수유 종자 에탄올 추출물(COS-B)이 가장 낮은 농도에서 S. epidermidis균의 생장을 억제하였다. 에멀션에서의 방부효능 평가를 위해 Challenge test를 실시한 결과 COS-A와 COS-B를 첨가한 에멀션에서 균 접종 7일 후 피부상재균이 100% 사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산수유 종자 추출물이 화장품에서 합성방부제를 대체할 천연 방부제로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possibility as a natural preservative of Cornus officinalis seed extracts, w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preservation effect of cosmetics. Cornus officinalis seed extracted with 1,3-Butylene Glycol(1,3-BG) and Ethanol(EtOH). As a result, Cornus officinalis seed ex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산수유는 전국적으로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수출입 동향역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우리나라에서는 그 이용도가 주로 과실만을 이용한 한약재나 일부 식품가공품에만 국한되어 있고 종자는 버려지는 실정이다[17,1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 부산물인 산수유 종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에 발생하기 쉬운 세균 및 진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평가하고 이를 화장품 에멀션 제형에 적용하여 방부력을 평가함으로써 산수유 종자 추출물이 화장품의 천연 방부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파라벤류 방부제란 무엇인가? 파라벤류 방부제는 화장품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방부제이며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뷰틸파라벤 등이 있고, 특히 메틸파라벤과 프로필파라벤의 혼합물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파라벤류 방부제는 무색, 무취, 불휘발성의 백색 파우더 형태이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폭넓은 pH영역에서 효과를 발휘하는 장점이 있으며 낮은 농도에서도 곰팡이에 대한 살균 작용이 효과적이다[9].
파라벤류 방부제의 특징은 무엇인가? 파라벤류 방부제는 화장품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방부제이며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뷰틸파라벤 등이 있고, 특히 메틸파라벤과 프로필파라벤의 혼합물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파라벤류 방부제는 무색, 무취, 불휘발성의 백색 파우더 형태이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폭넓은 pH영역에서 효과를 발휘하는 장점이 있으며 낮은 농도에서도 곰팡이에 대한 살균 작용이 효과적이다[9].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는 세균에 대한 활성이 좋고 클로로페네신과 페녹시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방부제는 값이 싸고 다양한 미생물에 효과적이다.
천연방부제 개발을 위한 연구들이 진행된 배경은 무엇인가? MCI와 MI등의 이소치아졸 화합물은 연한 호박색을 띄고 부드러운 냄새가 나며 맑은 액상의 물질로 낮은 농도에서도 다양한 미생물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장점이 있다[8]. 그러나 이들 합성방부제는 체내에 축적되면 내분비계 교란을 일으키고 알레르기를 유발하기도 하며 접촉성 피부염이나 알레르기 등 피부자극을 일으킨다는 단점이 있다[10]. 이에 따라 합성방부제의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한 대체제 개발 필요성이 증가되면서 천연 항균 물질을 주요 성분으로 함유한 천연방부제 개발을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서경희(2005). 화장품과 미생물 서울:화장품신문사. 

  2. S. R. Hwang, J. O. Nam, B. J. Lee, W. H. Song, C, S, Lee. Recent Emulsion Technology in Cosmetics. KSBB Journal. 27(4), 207 (2012). 

  3. H. S. Cho, S. W. Kang, J. H. Kim, M. J. Choi, H. W. Yu, Euteum Park, H. S. Chu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ombined Extracts of Galla rhois, Achyranthes japonica Nakai, Terminalia chebula Retz and Glycyrrhiza uralenesis. KSBB Journal. 29(1), 29 (2014). 

  4. J. H. Kim, E. J. Do, Guemsan Lee.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Herbal Medicines Used as Natural Preservatives Based on the Analysis of Papers and Patents.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9(1), (2015). 

  5. M. S. Ryu, J. K. Kim, N. K. Kim. Growth of Pseudomonas aeruginosa in Cosmetics(Emulsion-type) and the Effect of Antiseptics. Korean J. Biotechnol. Bioeng. 7(2), 118 (1992). 

  6. M. S. Yoo. Effect of antiseptics for preven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cosmetics. Chemical Engineering. Sung Kyun Kwan Unversity. (1990). 

  7. E. M. Cho, J. T. Bae, H. B. Pyo, G. S. Lee. Antimicrobial Plant Extracts as an Alternative of Chemical Preservative: Preservative Efficacy of Terminalia chebula, Rhus japonica (gallut) and Cinnmomum cassia Extract in the Cosmetic Formular.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4(4), 325 (2008). 

  8. J. E. Ku, H. S. Han, J. H. Song. The Recent Trend of the Natural Preservative Used in Cosmetics. Kor. J. Aesthet. Cosmetol. 11(5), 835 (2013). 

  9. H. S. Ahn, W. H. Nah, J. E. Lee, Y. S. Oh, M. C. Gye. Toxicity and Endocrine Disrupting Effect of Parabens. Korean J. Environ. Biol. 27(4), 323 (2009). 

  10. S. H. Jeong. A Review Safety Evaluations of Cosmetic Preservatives. Kor. J. Aesthet. Cosmetol. 11(5), 827 (2013). 

  11. S. H. Hwang, C. H. Park. Preservation of Cosmetics By Ethanol Extra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KSBB Journal. 24(4), 347 (2009). 

  12. E. Y. Choi, J. S. Lee, Y. S. Choe, T. B. Choe. Study on Antimicrobial Activity of Natural Preservatives and Effect of Cosmetic Formulation on Antimicrobial Activity. J.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Kon-Kuk University. 31, 11 (2006). 

  13. Y. K. Park, W. K. Whang, I. H. Kim. The Antidiabetic Effects of from Cornus officinalis Seed. Chung-Ang J. Pharm. Sci. 9, 5 (1995). 

  14. K. I. Seo, S. W. Lee, K. H. Yang.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rni Fructus Extract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1), 99 (1999). 

  15. Y. H. Jeon, M. H. Park, Meera Kim.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Cornus officinalis against Some Bacteria Related to Foodborne Illness and Food Spoil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5), 692 (2012). 

  16. H. J. Jeon, M. J. Kim. Comparative studies on nutrients in Lycii Fructus and Corni Fructus by the different Drying Methods. Sook Myung Womens University. 10, 81 (1995). 

  17. C. H. Park, N. S. Soeng, S. T. Lee, K. B. Youn, S. G. Son. Studies on Multiplication of Cornus officinalis by in vitro Culture. Korean J. Medical Crop Sci. 1(1), 63 (1993). 

  18. S. O. Lee, S. M. Han, H. M. Kim, S. K. Jeung, J. Y. Choi, I, J, Kang. Chemical Components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Corni fruc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7), 891 (2006). 

  19. Mann. C. M. and J. L. Markham. 1998. A new method for determining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essential oils. J. Appl. Microbiol. 84, 538-544 (1998). 

  20. Farrinton. J. K. E. L. Martz. S. J. Wells. C. C. Ennis. J. Holder. J. W. Levchu. K. E. Avis. P. S. Hoffman, A. D. Hitchins. and J. M. Madden. Ability of laboratory methods to predict in-use efficacy of antimicrobial preservatives in an experimental cosmetic, Appl. Environ. Microbiol. 60, 4553-4558 (1994), 

  21. Y. D. Kim, H. K. Kim, K. J. Kim. Antimicrobial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from Cornus officina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6), 829-832 (2003). 

  22. J. S. Ko. Antimicrobial Coating Agent.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30(1), 96 (2013). 

  23. J. M. Lee, S. S. Heo.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fungal Compounds from Eugenia caryophyllata Extracts.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31(4), 740 (2014). 

  24. W. G. Cho, H. J. Kim. Microbiological Effects of Xanthorrhizol against Candida albicans.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27(1), 37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