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감초성분인 glycyrrhizin, liquiritin, liquiritigenin, isoliquiritigenin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고,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에서 항균활성 성분인 isoliquiritigenin과 liquiritigenin을 정량하여 비교평가하였다. 또한 challenge test를 통하여 가장 뛰어난 항균활성을 나타낸 isoliquiritigenin과 합성 방부제인 메틸 파라벤과의 방부력을 비교하였다. 감초 성분의 항균활성을 disc diffusion assay를 통해 측정한 결과, Liquiritigenin과 isoliquiritigenin이 B. subtilis, P. acnes, E. coli, P. aeruginosa에 대해 저해활성을 보였다. 특히 감초성분 중 큰 항균활성을 나타낸 isoliquiritigenin과 합성 방부제로 사용되는 메틸 파라벤과 프로필 파라벤의 최소저해농도를 비교한 결과 isoliquiritigenin이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HPLC를 통해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 isoliquiritigenin과 liquiritigenin을 정량한 결과, 이들의 함량은 한국산 감초가 중국산 감초와 우즈베키스탄산 감초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산 감초가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는데 isoliquiritigenin, liquiritigenin 함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Isoliquiritigenin의 B. subtilis, P. acnes, E. coli, P. aeruginosa에 대한 challenge test를 통해 메틸 파라벤 보다 isoliquiritigenin이 뛰어난 방부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로부터 감초 성분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였고, 원산지별 감초(한국, 중국, 우즈베키스탄) 중 한국 감초가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는데 isoliquiritigenin과 liquiritigenin 함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감초 성분 중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isoliquiritigenin은 파라벤류를 대체 할 수 있는 천연 보존제로써 이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icorice's active ingredients. Four samples of licorice ingredients (glycyrrhizin, liquiritin, liquiritigenin, and isoliquiritigenin)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ix skin microorganisms. The b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감초성분들(예, glycyrrhizin, liquiritin, liquiritigenin, isoliquiritigenin)의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고, 그 성분들이 화장품에서 천연 보존제로서 이용이 가능한지를 검토하였다. 또한 원산지별 감초추출물에서 감초 항균활성 성분의 정량을 통해 한국 감초가 중국, 우즈베키스탄 감초 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원인을 규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감초성분들(예, glycyrrhizin, liquiritin, liquiritigenin, isoliquiritigenin)의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고, 그 성분들이 화장품에서 천연 보존제로서 이용이 가능한지를 검토하였다. 또한 원산지별 감초추출물에서 감초 항균활성 성분의 정량을 통해 한국 감초가 중국, 우즈베키스탄 감초 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원인을 규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ndersen. 1995. Final report on the safety assessment of isobutylparaben and isopropylparaben. J. Am. Coll. Toxicol. 14: 364-372. 

  2. Darbre PD, Aljarrah A, Miller WR, Coldham NG, Sauer MJ, Pope GS. 2004. Concentrations of parabens in human breast tumours. J. Appl. Toxicol. 24: 5-13. 

  3. Farrinton JK, Martz EL, Wells SJ, Ennis CC, Holder J, Levchuk JW, et al. 1994. Ability of laboratory methods to predict in-use efficacy of antimicrobial preservatives in an experimental cosmetic. Appl. Environ. Microbiol. 60: 4553-4558. 

  4. Gerald PB, Ricardo B, Victor F, Leena J. 1983. Infections Caused by Pseudomonas aeruginosa. Clin. Infect Dis. 5: 279-313. 

  5. Giacometti A, Cirioni O, Del Prete MS, Barchiesi F, Paggi MA, Petrelli E, et al. 2000. Comparative activities of polycationic peptides and clinically used antimicrobial agents against multidrug- resistant nosocomial isolates of Acinetobater baumannii. J. Antimicrob. Chemother. 46: 807-810. 

  6. Graham GM, Farrar MD, Cruse-sawyer JE, Holland KT, Ingham E. 2004. Proinflammatory cyrokine production by human keratinocytes stimulated with Propionibacterium acnes and P. acnes GroEL. Pediatr. Brit. J. Dermatol. 150: 421-428. 

  7. Kim HJ, Bae JY, Jang HN, Park SN. 2013. Comparative study on antimicrobial activity of Glycyrrhiza uralensis and Glycyrrhiza glabra extracts in various country of origin as natural antiseptics. Koreean J. Microbiol. Biotechnol. 41: 358-366. 

  8. Nishihara T, Nishikawa J, Kanayama T, Dakeyama F, Saito K, Imagawa M, et al. 2000. Estrogenic activities of 517 chemicals by yeast two-hybrid assay. J. Health. Sci. 46: 282-298. 

  9. Okubo T, Yokoyama Y, Kano K, Kano I. 2001. ER-dependent estrogenic activity of parabens assessed by proliferation of human breast cancer MCF-7 cells and expression of ER $\alpha$ and ER $\beta$ and PR. Food. Chem. Toxicol. 39: 1225-1232. 

  10. Vowels BR, Yang S, Leyden JJ. 1995. In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by a soluble factor of Propionibacterium acnes: implications for chronic inflammatory acne. Infect. Immun. 63: 3158-3165. 

  11. Rastogi SC, Schouten A, de Kruijf N, Weijland JW. 1995. Contents of methyl-, ethyl-, propyl-, butyl- and benzylparaben in cosmetic products. Contact. Dermatitis. 32: 28-30. 

  12. Routledge, Parker J, Odum J, Ashby J, Sumpter JP. 1998. Some alkyl hydroxy benzoate preservatives (Parabens) are estrogenic. Toxicol. Appl. Pharm. 153: 12-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