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추 논재배 시 비가림형태가 생육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ain-shelter Types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var. 'Keummaru') Cultivation in Paddy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4 no.3, 2016년, pp.355 - 362  

이광재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  송명규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  김시동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  남상영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  허정욱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  윤정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김동억 (한국농수산대학 교양공통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추 논 비가림재배 시 비가림형태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금마루' 이었다. 비가림형태는 노지(대조구), 간이비가림(2줄재배, 2R), 간이비가림(4줄재배, 4R), 하우스(House) 등 4처리를 하였다. 초장은 House 처리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엽장과 엽폭은 비가림형태간에 차이가 없었다. 생과중과 건과중은 House > 4R > 2R > 대조구순으로 많았다. ASTA 값은 처리간에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역병, 흰가루병, 세균성점무늬병은 전혀 발생하지 않았고, 탄저병은 노지에서만 발생하였다. 응애, 총체벌레, 담배가루이는 모든 처리에서 발생하지 않았다. 진딧물, 담배나방, 바이러스는 모든 처리에서 동일한 수준으로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고추 비가림재배는 건고추 수량 및 상품성 증대뿐만 아니라 병해충의 발생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ain-shelter types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Kemmaru') cultured in paddy. Applied rain-shelter types were outfield (control), simple rain-shelter plastic house with 2 rows (2R), simple rain-shelter plastic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추 논 비가림 안정생산 재배기술 확립 하고자 고추 논재배 시 비가림 형태가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고추 논 비가림재배 시 비가림형태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금마루’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추 비가림재배 기술이 도입된 이유는 무엇인가? 2011년 우리나라의 고추 재배면적은 전체 채소면적의 16%인 42,574ha로 1996년에 비해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MIFAFF, 2012). 고추 재배면적 감소에 따른 고추의 안정생산과 생산성 증대를 위해 고추 비가림재배 기술이 도입되었다.
고추 비가림 재배의 장점은 무엇인가? 고추 비가림 재배는 강우 차단에 의한 병해충 발생 억제 및 양·수분 조절의 용이성, 조기 정식 및 재배기간 연장 등으로 고추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고추 비가림 재배 시 재배법(Lee et al.
고추 논 비가림재배 시 비가림 형태(노지, 간이비가림, 하우스 등)에 따른 병해충 발생은 어떠한가? ASTA 값은 처리간에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역병, 흰가루병, 세균성점무늬병은 전혀 발생하지 않았고, 탄저병은 노지에서만 발생하였다. 응애, 총체벌레, 담배가루이는 모든 처리에서 발생하지 않았다. 진딧물, 담배나방, 바이러스는 모든 처리에서 동일한 수준으로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고추 비가림재배는 건고추 수량 및 상품성 증대뿐만 아니라 병해충의 발생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STA (American Spice Trade Association) (1986) Official analytical methods of American Spice Trade Association, Englewood Cliffs, N.J., USA, pp 68 

  2. Attuquayefio, VK, Buckle KA (1987) Rapid sample preparation method for HPLC analysis of capsaicinoids in capsicum fruits and oleoresins. J Agric Food Chem 35:777-779. doi:10.1021/jf00077a032 

  3. Chang, YD, Jeon HY (2003) Biological control of aphids on pepper in greenhouses using Aphidius gifuensis. J Agric Sci Chungnam Nat'l Univ Korea 30:11-19 

  4. Choi GM, Han SC, Lee MH, Cho WS, Ahn SB, Lee SW (1990) Compendium of insect pest on vegetables. Inst Agric Sci pp 224 

  5. Choi SM, Jeon YS, Park KY (2000) Comparison of quality of red pepper powders produc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2:1251-1257 

  6. Chung KM, Kwon SK, Hwang JM (2002) Quality of single harvested red pepp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128-131 

  7. Green SK, Kim JS (1991)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virus infecting peppers; A literature review, technical bulletin No. 18. Asian Vegetable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Shanhua, Taiwan 

  8. Hwang IG, Kim HY, Lee JS, Kim HR, Cho MC, Ko IB, Yoo SM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yang pepper (Capsicum annuum L.) according to Cultivation Reg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340-1346. doi:10.3746/jkfn.2011.40.9.1340 

  9. Hwang JM, Tae GS (2001) Changes in the growth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and soil moisture according to irrigation and cultivating methods. J Kor Soc Hort Sci 42:295-299 

  10. Kim SH, Kim IS, Lee MH (1986) Colonizing aphid species and their seasonal fluctuations in some vegetable crops. Korean J Plant Prot 25:129-132 

  11. Kim TH, Kim JS (2004) Development and adult life span of Aphidoletes aphidimyza (Rondani) (Diptera: Cecidomyiidae) fed on the melon aphid, Aphis gossypii glover or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S? ler), (Homoptera: Aphidae). Korean J Appl Entomol 43:297-304 

  12. Kim YC, Myung IS, Shin YA, Lee KS, Lee JS, Lee JY, Jang BC, Cho MC, Cho WD, et al. (2005) Pictorial book of Red pepper culture. Korea Agriculture Information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pp 71-76 (In Korean) 

  13. Ku KH, Kim NY, Park JB, Park WS (2001) Characteristics of color and pungency in the red pepper for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3:231-237 

  14. Joo SJ, Lee GJ (2010) Effects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Fertigation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Hot Pepper. Korean J Org Agric 18:63-74 

  15. Lee GJ, Song MG, Kim SD, Nam SY, Lee KY, Kim TJ, Kim DE, Yoon JB, Choi KH (2014a) Effects of diffused light materials on marketable yield and quality of sunlight dried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in plastic film house. Korean J Plant Res 27:102-109. doi:10.7732/kjpr.2014.27.1.102 

  16. Lee GJ, Song MG, Kim SD, Lee KY, Kim TJ, Kim DE, Heo JW, Yoon JB (2014b) Effects of night temperature management methods on quality of drying red pepper under sunlight in plastic house. Korean J Intl Agric 26:48-53. doi:10.12719/KSIA.2014.26.1.48 

  17. Lee SG, Choi CS, Lee JG, Jang YA, Lee HH, Chae WB, Do KR (2014) Influence of shading and irrigation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leaves tissue in hot pepper.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2:448-453. doi:10.7235/hort.2014.14015 

  18. Lee SW, Cho SY (1971) Physio-chemical studies on the maturity of hot pepper fruits variations in hot-taste constituents. J Kor Soc Hort Sci 10:31-34 

  19. Lee SH, Lee JB, Kim SM, Choi HS, Park JW, Lee JS, Lee KW, Moon JS (2004) The incidence and distribution of viral diseases in pepper by cultivation types. Res Plant Dis 10:231-240. doi:10.5423/RPD.2004.10.4.231 

  20. MIFAF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2) The status of the greenhouse and production records for vegetable crops in 2011. pp 98 

  21. Park JB, Lee SM, Kim S (2000) Capsaicinoids control of red pepper powder by particle size. J Korean Capsicum Res Coop 6:51-62. 

  22. Park JB, Park WS, Kim DM, Kim J H, Kwon KH (1999) Development of automation system for red pepper milling factory. KFRI GA0129. 

  23. Park SJ, Kim GH, Kim AH, Lee HT, Gwon HW, Kim JH, Lee KH, Kim HT (2012) Controlling effects of agricultural organic materials on Phytophthora blight and Anthracnose in red pepper. Res Plant Dis 18:1-9. doi:10.5423/RPD.2012.18.1.001 

  24. Reuveni R, Dor G, Reuveni M (1998) Local and systemic control of powdery mildew (Leveillula taurica) on pepper plants by foliar spray of mono-potassium phosphate. Crop Prot 17:703-709. doi:10.1016/S0261-2194(98)00077-5 

  25. Yang SK, Seo YW, Kim JK, Choi KJ, Lee JH (2008) Improvement effects of rain-shelter cultivation and facilities in non-chemical red pepper cultivation. Korean J Org Agric 15:110-118 (Suppl II)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