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색식용색소인 아마란스의 약동학 특성 및 위장관 투과도 연구
Pharmacokinetics and the Intestinal Permeability of Amaranth in Ra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7 = no.207, 2017년, pp.812 - 816  

한유진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  구수현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  남소정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  강윤주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  권미화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  송임숙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적색 아조류 타르색소인 아마란스는 인공식용색소로 식품, 화장품, 의약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구로 복용하였을 때 위장관 흡수율이나 흡수특성에 대해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마란스의 정맥투여 또는 경구 투여 후 약동학 특성을 평가하고 diffusion chamber system을 이용하여 위장관 흡수율 및 투과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정맥투여된 아마란스는 38.8분의 소실반감기로 빠르게 혈중에서 소실된다. 그러나 경구투여된 아마란스는 생체이용률도 55.6%로 높은 위장관 흡수율을 나타내며 408분까지 혈중농도가 증가하고 24시간까지 혈중에 남아있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아마란스의 위장관 흡수가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장의 흡수부위를 공장, 회장사부, 회장하부로 나누어 위장관 투과도를 평가하고 투과성이 잘 알려진 지표물질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아마란스의 위장관투과성은 투과도가 매우 높은 caffeine의 1/3정도의 투과도를 보이고, 중등도의 투과도를 보이는 atenolol과 유사한 투과도를 나타내었으며 회장상부에서의 투과도가 가장 높았다. 결과를 종합하면, 아마란스는 경구투여된 뒤 지속적으로 흡수되며 흡수율도 50% 이상을 보이므로, 식품, 립케어 화장용품, 경구용 의약품에 아마란스 등의 색소가 포함될 경우에는 첨가량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사용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amaranth, a red-colored tar dye, is usually used in foods, cosmetics, and pharmaceutics, its bioavailability and intestinal absorption have not previously been investiga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armacokinetics properties and intestinal permeability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의약품 또는 화장품에 첨가된 색소의 위험성에 대한 문제제기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경구로 섭취된 amaranth가 위장관을 통해서 흡수되는지 또는 흡수율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타르 색소의 아조계 염료인 amaranth의 약동학 특성과 경구 투여된 amaranth의 위장관 흡수특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maranth란? Amaranth는 알루아 레드(allura red; 적색색소)와 비슷한 타르색소의 아조계 염료로 정맥 주사한 경우 90분 이내에 투여된 Amaranth의 80%가 담즙으로 배설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4]. 또한 경구 투여 후에는 80%가 feces에서 회수되고 20%정도가 뇨에서 회수되었다[8].
경구 투여 된 아마란스의 특성은? 8분의 소실반감기로 빠르게 혈중에서 소실된다. 그러나 경구투여된 아마란스는 생체이용률도 55.6%로 높은 위장관 흡수율을 나타내며 408분까지 혈중농도가 증가하고 24시간까지 혈중에 남아있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아마란스의 위장관 흡수가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타르색소가 이용되는 산업분야는? 콜타르는 석탄을 높은 온도에서 건류할 때 부산물로 생기는 검고 끈적한 액상 물질로서, 여기서 ‘타르색소’라는 이름이 유래되어, 방향족 탄화수소를 주원료로 하는 합성 착색료를 총칭하는 단어로 사용되고 있다[3]. 원래는 섬유류의 착색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며 현재는 의약품, 화장품, 식품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이용되고 있다[3, 5]. 그러나 소화 효소의 작용을 저해하고 간이나 위 등에 장해를 일으키며, 알러지 뿐만 아니라 호르몬 이상과 발암의 원인이 되는 등 위험을 야기시킨다는 부작용의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3, 6, 10, 11, 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i, Y. A., Yoon, Y. H., Choi, K., Kwon, M., Goo, S. H., Cha, J. S., Choi, M. K., Lee, H. S. and Song, I. S. 2015. Enhanced oral bioavailability of morin administered in mixed micelle formulation with pluronicf127 and tween80 in rats. Biol. Pharm. Bull. 38, 208-217. 

  2. Jung, D., Mroszczak, E. and Bynum, L. 1988. Pharmacokinetics of ketorolac tromethamine in humans after intravenous, intramuscular and oral administration. Eur. J. Clin. Pharmacol. 35, 423-425. 

  3. Kim, K. J., Kim, J. Y., Park, S., Bang, J. S. and Lee, W. 2013. Investigation for the management methods of pure tar color additives for drugs and quasi-drugs. Kor. J. Clin. Pharm. 23, 97-105. 

  4. Levin, V. A. 1980. Relationship of octanol/water partition coefficient and molecular weight to rat brain capillary permeability. J. Med. Chem. 23, 682-684. 

  5. Paghdal, K. V. and Schwartz, R. A. 2009. Topical tar: Back to the future. J. Am. Acad. Dermatol. 61, 294-302. 

  6. Park, H. W., Park, C. H., Park, S. H., Park, J. Y., Park, H. S., Yang, H. J., Ahn, K. M., Kim, K. H., Oh, J. W., Kim, K. E., Pyun, B. Y., Lee, H. B. and Min, K. U. 2008. Dermatologic adverse reactions to 7 common food additives in patients with allergic diseases: A double-blind, placebo- controlled study. J. Allergy Clin. Immunol. 121, 1059-1061. 

  7. Park, S. K., Lee, D. S. and Park, S. K. 2005. Estimation of daily dietary intake of food red colors - food red no.2, no.3 and no. 40. J. Kor. Soc. Food Sci. Nutr. 34, 75-80. 

  8. Phillips, J. C., Bex, C. S., Mendis, D., Walters, D. G. and Gaunt, I. F. 1987. Metabolic disposition of 14c-labelled amaranth in the rat, mouse and guinea-pig. Food Chem. Toxicol. 25, 947-954. 

  9. Ruddick, J. A., Craig, J., Stavric, B., Willes, R. F. and Collins, B. 1979. Uptake distribution and metabolism of [14c]amaranth in the female rat. Food Cosmet. Toxicol. 17, 435-442. 

  10. Shimada, C., Kano, K., Sasaki, Y. F., Sato, I. and Tsudua, S. 2010. Differential colon DNA damage induced by azo food additives between rats and mice. J. Toxicol. Sci. 35, 547-554. 

  11. Simon, R. A. 2003. Adverse reactions to food additives. Curr. Allergy Asthma. Rep. 3, 62-66. 

  12. Song, I. S., Choi, Y. A. and Choi, M. K. 2017. Comparison of gastrointestinal permeability of caffeine, propranolol, atenolol, ofloxacin, and quinidine measured using ussing chamber system and caco-2 cell monolayer. Mass Spectrom Lett. 8, 34-38. 

  13. Stewart, B. H., Chan, O. H., Lu, R. H., Reyner, E. L., Schmid, H. L., Hamilton, H. W., Steinbaugh, B. A. and Taylor, M. D. 1995. Comparison of intestinal permeabilities determined in multiple in vitro and in situ models: Relationship to absorption in humans. Pharm. Res. 12, 693-699. 

  14. Takahashi, K., Wada, T., Higashi, Y. and Yata, N. 1985. Pharmacokinetics in hepatic transport of amaranth in rats intoxicated with carbon tetrachloride and alpha-naphthylisothiocyanate. Chem. Pharm. Bull (Tokyo) 33, 4973-4980. 

  15. Tsuda, S., Murakami, M., Matsusaka, N., Kano, K., Taniguchi, K. and Sasaki, Y. F. 2001. DNA damage induced by red food dyes orally administered to pregnant and male mice. Toxicol. Sci. 61, 92-99. 

  16. Watabe, T., Ozawa, N., Kobayashi, F. and Kurata, H. 1980. Reduction of sulphonated water-soluble azo dyes by micro-organisms from human faeces. Food Cosmet. Toxicol. 18, 349-3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