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주 지역 건강검진센터를 내원한 수진자의 유제품 섭취와 전당뇨병 위험 인자와의 연관성
Consumption of Dairy Foods and Risk of Pre-Diabetes in Subjects that Visited Health Examination Center in Gwangju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7, 2016년, pp.1049 - 1056  

김경윤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정미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양수진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5년 7월부터 2016년 3월까지 내원한 대상자들을 공복혈당에 따라 정상군과 전당뇨병군으로 구분하고 각 대상자의 유제품 섭취량과 당뇨병 위험인자 및 전당뇨병 발병 유무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한 당뇨병 위험인자 중 특히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이 전당뇨병 발병 위험과 유제품 섭취량과 유의적인 연관성을 보였다. 또한, 유제품 섭취 수준에 따른 당뇨병 위험 인자의 특성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유제품 섭취량과 전당뇨병 발병 위험과 유의적인 음의 연관성을 보여주어 대규모 연구 수행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당뇨병 관리의 대상을 전당뇨병 대상자까지 확대시켜 지속적인 공복혈당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당뇨병 예방 영양중재와 유제품 식사 가이드 라인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valence of diabetes is increasing worldwide, particularly in Asian regions such as Korea. It is estimated that the number of diabetic patients will exceed 5 million by 2030 and that about 30% of people with diabetes are unaware of their condition.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5년 7월부터 2016년 3월까지 내원한 대상자들을 공복혈당에 따라 정상군과 전당뇨병군으로 구분하고 각 대상자의 유제품 섭취량과 당뇨병 위험인자 및 전당뇨병 발병 유무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한 당뇨병 위험 인자 중 특히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이 전당뇨병발병 위험과 유제품 섭취량과 유의적인 연관성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30년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의 수는 몇 명이 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는가?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어 2030년에는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가 50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1). 2013년 대한당뇨병학회 조사 결과 당뇨병 환자 10명 중 3명은 본인이 당뇨병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고 당뇨병 인지율은 약 72%로 조사되었다(1).
2013년 대한당뇨병학회 조사 결과 당뇨병 인지율 결과는 어떠했는가?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어 2030년에는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가 50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1). 2013년 대한당뇨병학회 조사 결과 당뇨병 환자 10명 중 3명은 본인이 당뇨병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고 당뇨병 인지율은 약 72%로 조사되었다(1). 특히 30, 40대 젊은 연령층의 당뇨병 인지율은 각각 41.
전당뇨병(pre-diabetes)은 반드시 당뇨병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지만 당뇨병 환자와 함께 추적관리를 해야한다고 여겨지는 근거는 무엇인가? 전당뇨병은 반드시 당뇨병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고 질병으로 간주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전에는 이에 대한 조기중재의 필요성을 강조하지 않았다. 하지만 1979~2004년 동안 보고된 연구들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에 의하면 공복혈당장애와 내당능장애에서 당뇨병으로 진행되는 위험도는 공복혈당장애에서6~9%, 내당능장애에서 4~6%, 공복혈당장애와 내당능장애가 함께 있는 경우 15~19%가 당뇨병으로 진행될 위험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4). 이처럼 전당뇨병은 당뇨병 고위험군에 해당하므로 당뇨병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당뇨병 대상자만 추적하여 관리하는 것보다 당뇨병 고위험군인 전당뇨병 대상자를 함께 관리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3.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3. Seoul, Korea. p 3-6. 

  2. Committee of Education,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06. Diabetes education guidance 2006. Seoul, Korea. 

  3.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2.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35: S62-S69. 

  4. Gerstein HC, Santaguida P, Raina P, Morrison KM, Balion C, Hunt D, Yazdi H, Booker L. 2007. Annual incidence and relative risk of diabetes in people with various categories of dysglycemia: a systematic overview and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Diabetes Res Clin Pract 78: 305-312. 

  5. Lee HS, Kwon SO, Yon M, Kim D, Lee JY, Nam J, Park SJ, Yeon JY, Lee SK, Lee HY, Kwon OS, Kim CI. 2014. Dietary total sugar intake of Korean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 NES), 2008-2011. J Nutr Health 47: 268-276.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Cheongju, Korea. 

  7. Office of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2015. Associations between eating patterns and health. In 2015-2020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8th ed. Secretary,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USA. p. 17 

  8. O'Connor LM, Lentjes MA, Luben RN, Khaw KT, Wareham NJ, Forouhi NG. 2014. Dietary dairy product intake and incident type 2 diabetes: a prospective study using dietary data from a 7-day food diary. Diabetologia 57: 909-917. 

  9. Ojuka EO. 2004. Role of calcium and AMP kinase in the regulation of mitochondrial biogenesis and GLUT4 levels in muscle. Proc Nutr Soc 63: 275-278. 

  10. Wright DC, Hucker KA, Holloszy JO, Han DH. 2004. $Ca^{2+}$ and AMPK both mediate stimulation of glucose transport by muscle contractions. Diabetes 53: 330-335. 

  11. Zemel MB. 1998. Nutritional and endocrine modul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implications in obesity, insulin resistance and hypertension. Mol Cell Biochem 188: 129-136. 

  12. Reusch JE, Begum N, Sussman KE, Draznin B. 1991. Regulation of GLUT-4 phosphorylation by intracellular calcium in adipocytes. Endocrinology 129: 3269-3273. 

  13. Pittas AG, Lau J, Hu FB, Dawson-Hughes B. 2007. The role of vitamin D and calcium in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Clin Endocrinol Metab 92: 2017-2029. 

  14. Luhovyy BL, Akhavan T, Anderson GH. 2007. Whey proteins in the regulation of food intake and satiety. J Am Coll Nutr 26: 704S-712S. 

  15. Lee SA, Lee K, Kim HS, Lee HJ, Choi H. 2002. Software for nutritional assessment using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the 24-hour Recall Method. Korean J Community Nutr 7: 548-558. 

  16. Shim JS, Oh K, Kim HC. 2014. Dietary assessment methods in epidemiologic studies. Epidemiol Health 36: e2014009. 

  17.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oul, Korea. p 51.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 Global report on diabetes. Geneva, Switzerland. 

  19.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5.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Seoul, Korea. p 8. 

  20. Ferrannini E, Cushman WC. 2012. Diabetes and hypertension: the bad companions. Lancet 380: 601-610. 

  21. Korean Society of Lipidology and Atherosclerosis Dyslipidemia. 2015. Dyslipidemia fact sheet in Korea 2015. Seoul, Korea. 

  22. Sun Y, Jiang C, Cheng KK, Zhang W, Leung GM, Lam TH, Schooling CM. 2014. Milk consumptio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older Chinese: the Guangzhou Biobank Cohort Study. PLoS ONE 9: e84813. 

  23. Yu CH, Kim HS, Park MY. 1999. Some factors affecting serum lipid of Korean rural women. Korean J Nutr 32: 927-934. 

  24. Chi D, Nakano M, Yamamoto K. 2004. Milk and milk products consumption in relationship to serum lipid levels: a community-based study of middle-aged and older population in Japan. Cent Eur J Public Health 12: 84-87. 

  2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2. Food composition table. 7th ed. Jeonju,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