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중문화를 활용한 수학교육
Mathematics Education Using Popular Culture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0 no.1, 2016년, pp.149 - 162  

오영열 (서울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대중문화와 수학교육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대중문화를 수학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시사점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대중문화에 대한 개념과 수학교육에서 대중문화 활용의 의의를 분석하였다. 또한 대중문화가 학생들의 수학적 이미지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대중문화를 수학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함께 대중문화를 활용한 수학수업 모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대중문화를 수학교육에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위해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다루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ocus of the present study is to seek the ways of using popular culture for teaching mathematics. Thus, this study theoretically investigated concepts of popular culture and the meanings of using popular culture for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current study analyzed both the inf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서 먼저 대중문화의 개념과 수학교육에서 대중문화 활용의 의의를 알아보았다. 또한 대중문화 속에서 수학적 이미지는 어떻게 표현되고 있고 대중문화는 학생들의 수학적 이미지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수학수업에서 대중문화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함께 대중문화를 활용한 수학수업 모델을 제시하였다.
  •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대중문화를 활용한 수학교육 연구가 확산되고 또한 대중문화를 수학수업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위해 고려해야 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 먼저, 대중문화와 수학교육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대중문화와 수학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들이 필요하다. 여기에는 우리나라의 다양한 대중문화에서 수학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대중문화가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수학적 내용을 다루고 있는 대중문화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대중문화를 활용하여 수학을 가르치기 위한 구체적인 수업 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 대중문화에 친숙한 요즘 학생들에게 수학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대중문화의 활용이 많은 긍정적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 수학은 학생들이 좋아하지 않는 과목임에도 불구하고, 수학을 소재로 하는 영화나 소설 등이 사람들로부터 큰 주목을 받는 것을 보면 아이러니 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대중문화 활용의 의의를 알아보고, 수학적 내용을 포함한 대중문화를 수학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중문화와 수학교육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대중문화를 수학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대중문화의 개념과 수학교육에서 대중문화 활용의 의의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illiams는 문화의 의미를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Williams는 문화의 의미를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정의하였다. 첫째, 문화는 정신적, 심미적 발달의 일반적 과정이며, 둘째, 특정 집단의 생활 방식에 관한 모든 것을 가리키며, 셋째, 지적이거나 예술적인 활동의 산물을 문화로 정의하였다. 이와 같은 분류에 의하면 일반적인 문화의 의미는 첫 번째 관점에 가장 가까우며, 흔히 대중문화라고 하면 두 번째와세 번째 의미를 말한다.
수학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강한 데는 어떤 이유가 있는가? 우리나라 학생들이 수학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강한 데에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이유가 있다. 대학입시에서의 성공과 부모의 높은 기대 충족이라고 하는 외적동기에 의해서 수학을 잘 해야만 한다는 경쟁적인 교육 환경이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부정적 태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수학을 배우는데 있어서 교과서 의존도가 큰 우리나라 교실환경에서 전형적인 교과서 중심의 절차적 지식과 기능 습득을 통하여 구조화된 문제해결을 강조하고 있는 학교교육에도 큰 원인이 있다고 여겨진다. 학생들은 수학이 자신의 경험적 상황과 연결될 때 수학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수학에 대한 흥미가 높아진다.
대중문화는 어떤 복잡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가? 대중문화의 의미는 문화라는 단어와 대중이라는 단어의 복잡한 의미를 지닌 두 단어를 조합함으로써 본질적으로 매우 복잡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대중문화의 의미는 “mass culture”의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강민경 (2012). 신문활용교육(NIE)이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6학년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 수학, 과학, 실과. 서울: 대한교과서. 

  3. 김연경 (2014). 클립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학수업이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연경, 오영열 (2014). 클립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학수업이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2), 357-377. 

  5. 김영숙, 강문숙 (2015).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이미지 변화 연구. 교육혁신연구, 25(2), 241-269. 

  6. 김은하 (2010). 아동문학을 활용한 수학수업이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은하, 오영열 (2012). 아동 문학을 활용한 수학수업이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1), 97-124. 

  8. 김현정, 류성림 (2014).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수학자 이미지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17(1), 17-40. 

  9. 박현동 (2010). 영화를 활용한 수학수업이 수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혜영 (2011). 대중문화를 활용한 다문화 미술지도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서옥분 (1999). 아동문학을 활용한 초등학교 수학수업안 개발 연구-즐거운 수학시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선종희 (2000). 아동문학을 활용한 수학의 지도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심세정 (2009). 매스 미디어 활용을 통한 학생들의 수학적 신념 변화에 대한 고찰.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우수정 (2008). 영화를 소재로 한 연립일차방정식 활용의 수업 지도 시 수학적 태도(연결성)와 흥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유욱희, 오영열 (2014). 상황학습 기반 수업이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수학, 16(3), 633-657. 

  16. 윤혜정 (2000). 신문활용교육(NIE)이 수학학습에 미치는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미혜 (2005). 대중문화를 활용한 한국 언어문화 교육-문화 중심의 언어 통합 교육 모형 설계. 한국언어문화학, 2(1), 185-206. 

  18. 임정열 (2002). 초등학교 수학 학습에서의 수학화를 위한 신문 활용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정하정 (2014). 수학신문 만들기 활동이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성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Appelbaum, P. M. (1995). Popular culture, educational discourse, and mathematics.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1. Appelbaum, P., & Stathopoulou, C. (2015). Critical issues in culture and mathematics learning. In L. D. English & D. Kirshner (Eds.), Handbook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pp. 744-798). New York: Rutledge. 

  22. Boorstin, D. J. (1962). The image. New York: Atheneum Publishers. 

  23. Brush, I. R. (1980). The significance of students' stereotype of a mathematician for their career planning. Personal & Guidance Journal, 59(4), 231-235. 

  24. Burks, R. (2011). Survivor math: Using pop culture to enhance learning mathematics. PRIMUS, 21(1), 62-72. 

  25. Cortes, C. E. (1991). Empowerment through media literacy: A multicultural approach. In C. E. Sleeter (Ed.), Empowerment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6. Epstein, D., Mendick, H., & Moreau, M. P. (2010). Imaging the mathematician: Young people talking about popular representations of maths. Discourse: Studies in the Cultural Politics of Education, 31(1), 45-60. 

  27. Greenwald, S. J., & Nestler, A. (2004). Using popular culture in the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classroom. PRIMUS, 14(1), 1-4. 

  28. Harris, M. (1991). Looking for the maths in work. In M. Harris (Ed.), School mathematics and work. London: The Falmer Press. 

  29. Hillyard, C. (2007). Using popular culture to teach quantitative reasoning. PRIMUS, 17(1), 36-43. 

  30.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London,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Mendick, H., Moreau, M. P., & Hollingworth, S. (2008). Mathematical images and gender identities: A report on the gendering of representations of mathematics and mathematicians in popular culture and their influences on learners. London, UK: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in Education. 

  32. Moreau, M. P., Mendick, H., & Epstein, D. (2010). Constructions of mathematicians in popular culture and learners' narratives: A study of mathematical and non-mathematical subjectivities.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40(1), 25-38. 

  3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34.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Center for Best Practices & Council of Chief State School Officers (2010).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Washington, DC: Authors. 

  35. Nunes, T., Schliemann, A. D., & Carraher, D. W. (1993). Street mathematics and school mathematics. London,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Picker, S. H., & Berry, J. S. (2000). Investigating pupil's images of mathematician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3(1), 65-94. 

  37. Reiser, E. (2015). Teaching mathematics using popular culture: Strategies for common core instruction from film and television. Jefferson, NC: McFarland & Company, Inc. 

  38. Rock, D., & Shaw, J. M. (2000). Exploring children's thinking about mathematicians and their work.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6(9), 550-555. 

  39. Storey, J. (2001). Cultural theory and popular cultures - An introduction. London, UK: Prentice Hall. 

  40. Sutil, N. S. (2014). Performance/mathematics: A dramatisation of mathematical methods. International Journal of Performance Arts and Digital Media, 10(2), 143-158. 

  41. Tischler, R. W. (1992). How to use children's literature to teach mathematics. Reston, VA: NCTM. 

  42. Williams, R. (1958). Culture and society. Harmondsworth: Penguin Book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