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를 통한 예비 교사들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변화
The Change of Prospective Teachers' Comments o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by Teaching Practicum and Discussion about Lesson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0 no.2, 2016년, pp.259 - 281  

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수학교육)) ,  선우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록

교육실습은 예비 교사들이 배운 이론을 실제 현장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며, 이는 대학과 연계될 때 더욱 효과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기간에 실행했던 수학 수업에 대해서 대학 강의 시간에 다시 논의하는 시간을 제공하였고, 교육실습 및 논의를 통하여 예비 교사들의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교사들은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 이후에 수학 수업요소 중 수학적 담화 측면에 더욱 주목하였으며, 교사와 학생을 모두 고려하여 수업을 바라보는 경향과 수업 상황에 대한 견해를 밝히면서 그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까지 제시하려는 노력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예비 교사들의 자기 평가 결과와도 상당 부분 일치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안목을 신장하는 방안 및 예비 교사 교육에서 교육실습을 지도하는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aching practicum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because it provides pre-service teachers with an opportunity to apply what they have learned to the actual teaching contexts. As such, it needs to be conducted in terms of close collaboration between university and school. G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학생들의 자기 평가 내용은 수학 수업요소에서의 변화, 주체에 대한 변화, 대안 측면에서의 변화, 비평 초점에 대한 변화, 기타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표 2> 참조). 각 범주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는 결과에서 제시하였다.
  •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교사에 관한 연구는 크게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교사의 인식이나 신념의 변화를 분석하는 연구와 예비 교사의 지식 변화를 분석한 연구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 중 수학교육학 분야에서 진행된 최근의 연구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예비 교사의 인식이나 신념의 변화를 다룬 연구 중 문효영과 권성룡(2010)은 예비 초등 교사들이 느끼는 수학에 대한 신념이 교육실습을 통하여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설문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56명의 예비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예비 교사들이 작성한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을 수학 수업요소, 주체, 견지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비교‧분석하여 비평 변화를 상세하게 분석하였을 뿐 아니라 그에 대한 전반적인 변화의 경향성도 살펴보았다. 또한 분석틀을 활용한 연구자의 분석 결과와 예비 교사들이 스스로 인식하는 비평의 변화를 함께 분석하여, 이전에 예비 교사의 지식과 인식의 변화를 개별적으로 파악하였던 연구에서 나아가 비평의 변화를 토대로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안목을 지식과 인식의 통합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예비 교사들이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 전과 후에 작성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을 비교․분석하여, 예비 초등 교사들이 경험한 4주간의 교육실습과 3주간의 수업 논의가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안목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본 연구는 예비 교사의 교육실습을 대학 강의와 밀접하게 연계하여 지도하였는데, 이는 교육실습과 관련된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교육실습의 개선책으로 제시하는 방안을 직접 구현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를 통하여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안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예비 교사들이 작성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틀을 활용한 분석 결과, 예비 교사들은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 이후에 수학적 담화 측면에 더욱 주목하게 되었으며, 수업을 교사와 학생의 측면에서 균형 있게 바라보거나, 비평에서 구체적인 대안을 함께 제시하는 경우가 증가하는 등의 변화를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예비 교사들이 작성한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수준을 분석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비평 변화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과 세부적인 분석을 병행하기 위함이었다. 이와 더불어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 전과 후에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수치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비평 수준별 빈도와 각 항목별 평점에 따른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를 통해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안목의 변화 정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두 번의 수업 분석지를 쓰게 하였다. 첫 번째는 교육실습을 나가기 직전에 쓰게 하였고, 두 번째는 교육실습 및 대학 강의에서의 논의 후(학기말)에 쓰게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 교사들이 경험한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에 의한 결과임을 밝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 초등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안목을 신장하는 방안 및 예비 교사 교육에서 교육실습을 지도하는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그리고 교육실습 및 논의와 상관없이, 예비 교사들은 대개 관찰한 수학 수업에 대하여 나름의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측면에 대하여 평가하는 유형의 2수준(약 58%) 비평에 머물러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교육실습 및 논의에 따른 비평 수준의 변화에 대하여 조금 더 자세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비평의 분석요소별 빈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과는 <표 4>와 같다.
  • 구체적으로 실습 전의 수업 비평과 비교하여, 학기말의 수업 비평에서 신장되었다고 판단되는 측면이나 변화되었다고 생각되는 측면 등을 스스로 판단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우수 수업 동영상에 대한 수업 비평 뿐 아니라 예비 교사들의 자기 평가도 함께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의 분석틀을 통하여 연구자가 분석한 예비 교사들의 수업 비평 변화와 예비 교사들이 스스로 인식하고 있는 수업 비평 변화를 비교하기 위함이었다.
  • 또한 예비 교사들의 지식을 다룬 연구들은 교육실습이 예비 교사들의 교수학적 지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보여주는 비교적 구체적인 사례들을 제시하고는 있으나, 각각의 연구에서 다룬 대상의 수가 작아 그러한 개별적인 사례들만으로는 교육실습을 통하여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전문성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56명의 예비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예비 교사들이 작성한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을 수학 수업요소, 주체, 견지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비교‧분석하여 비평 변화를 상세하게 분석하였을 뿐 아니라 그에 대한 전반적인 변화의 경향성도 살펴보았다. 또한 분석틀을 활용한 연구자의 분석 결과와 예비 교사들이 스스로 인식하는 비평의 변화를 함께 분석하여, 이전에 예비 교사의 지식과 인식의 변화를 개별적으로 파악하였던 연구에서 나아가 비평의 변화를 토대로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안목을 지식과 인식의 통합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 초등 교사들이 교육실습 전과 후에 작성한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을 토대로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안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면밀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수학 수업에서 학생의 학습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사건을 인식하고 주목하는 능력은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반영하므로(Leatham, Peterson, Stockero, & Zoest, 2015; Sherin & van Es, 2009), 예비 교사들이 수학 수업을 관찰한 뒤 작성한 수업 비평을 통하여 예비 교사들의 "전문적 비전(professional vision)3)"을 가늠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 이상의 연구들을 통하여, 교육실습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대부분의 연구들은 교육실습 기간의 확대와 교육실습과 대학 간의 긴밀한 연계를 꾸준히 강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시사점을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구체적으로 예비 교사들이 대학에서 배운 이론을 토대로 교육실습 과정 중에 논의를 통하여 모둠별로 수학 수업을 계획, 실행, 반성해 보게 하였으며, 실습 후에는 강의 시간에 교육실습 과정 중에 실행한 수학 수업에 대해 전체 논의를 진행하였다.
  • 한편, 학기말의 수업 분석지에는 예비 교사들 각자가 자신이 작성한 수업 비평에 대하여 자기 평가도 추가적으로 기술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습 전의 수업 비평과 비교하여, 학기말의 수업 비평에서 신장되었다고 판단되는 측면이나 변화되었다고 생각되는 측면 등을 스스로 판단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비 교사 교육과정에서 교육실습이 필수적인 이유는? 예비 교사 교육과정에서 교육실습은 필수적이다. 교육실습은 예비 교사들이 대학에서 학습한 다양한 교육학적 이론을 실제 현장에 적용해 볼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할 뿐 아니라(권성룡, 2011; 김현진 외, 2010; 이영혜, 권종겸, 이봉주, 2013),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김현진 외, 2010). 이와 관련하여 최근 Ponte와 Chapman(2016)은 교육실습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교육실습이 예비 교사의 전문적인 역량과 정체성을 신장하고, 대학 강의나 그 밖의 다양한 상황을 통하여 배웠던 지식을 새로운 지식과 태도로 통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국내 수학교육학 연구에서 교육실습을 다룬 연구는 무엇을 분석하였나? 한편 드물게는 교육실습 과정에서 예비 교사와 실습을 지도하는 현장 교사와의 상호 작용에 초점을 둔 연구도 살펴 볼 수 있었다(권성룡, 2011; 한혜숙, 2014). 즉 국내 수학교육학 연구에서 교육실습을 다룬 연구는 주로 예비 교사의 인식 및 신념, 또는 지식이 교육실습 이후에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였으며, 지식의 변화 보다는 신념의 변화를 다루는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또한 교사 지식의 변화에 초점을 둔 연구라고 할지라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사에게 필요한 지식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다룬다는 점에서(심상길, 이강섭, 2015), 교육실습을 통하여 예비 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안목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증거는 확인하기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권성룡 (2011). 수학 수업 준비과정에서 실습 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2), 333-359. 

  2. 권종겸 (2014). 반성적 수업 분석지를 활용한 교육실습에서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교수행동 및 인식 변화. 한국수학사학회지, 27(5), 365-384. 

  3. 김선희 (2012). 실습과 반성을 통한 수학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수학교육학연구, 22(2), 277-292. 

  4. 김현진, 김진수, 최성욱, 박영민, 이광호, 이혁규 외 3인 (2010).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0-16. 

  5. 남윤석, 전평국 (2006). 교육실습 과정에서 배우는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 45(1), 75-96. 

  6. 문효영, 권성룡 (2010). 교육실습에서의 수학 수업이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에 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487-521. 

  7. 방정숙 (2014). 예비 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기술과 비평의 변화.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3), 399-424. 

  8. 방정숙, 선우진 (2015). 예비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수준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4), 625-647. 

  9. 심상길, 이강섭 (2013). 예비수학교사들의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과 수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수학교육, 52(4), 517-529. 

  10. 심상길, 이강섭 (2015). 학교현장실습이 중등 예비수학교사들의 교사의 지식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친 영향. 수학교육, 54(4), 351-363, 

  11. 엄미리, 엄준용 (2010). 교육실습제도 개선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실습전후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17(1), 127-149. 

  12. 이영혜, 권종겸, 이봉주 (2013). 교육실습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의 변화. 수학교육학연구, 23(4), 407-422. 

  13. 정종진 (2009). 호주 초등교사양성과정의 교육실습 현황과 시사점: 퀸즐랜드 주(州) 그리피스대학교 초등 교육학사 학위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6(4), 117-142. 

  14. 정혜영 (2009). 초등 교육실습 기간 확대 및 내용 강화를 적용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241-260. 

  15. 주미경, 양성관 (2007). 사범대학-현장학교 협력관계에 기반한 교육실습 사례 분석: 중등교원을 위한 교육실습 확대 방안 가능성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4(2), 363-384. 

  16. 한혜숙 (2014). 수학과 수학실습에서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및 역할에 관한 교육실습생들의 인식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4), 747-769. 

  17. Goodwin, C. (1994). Professional vision. American Anthropologist, 96(3), 606-633. 

  18. Hill, H. C., Ball, D. L., & Schilling, S. G. (2008). Unpack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teachers' topic-specific knowledge of student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9(4), 372-400. 

  19. Leatham, K. R., Peterson, B. E., Stockero, S. L., & Van Zoest, L. R. (2015). Conceptualizing mathematically significant pedagogical opportunities to build on student think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6(1), 88-124. 

  20. Mena, J., Garcia, M., Clarke, A., & Barkatsas, A. (2016). An analysis of three different approaches to student teacher mentoring and their impact on knowledge generation in practicum settings.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9(1), 53-76. 

  21. Pang, J. S. (2011). Case-based pedagogy for prospective teachers to learn how to teach elementary mathematics in Korea. ZDM The International Journal on Mathematics Education, 43(6), 777-789. 

  22. Peterson, B. E., & Williams, S. R. (2008). Learning mathematics for teaching in the students teaching.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9(4), 381-400. 

  23. Ponte, J. P., & Chapman, O. (2016).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learning and knowledge for teaching. In L. D. English, & D. Kirshner (Eds.), Handbook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pp. 275-296). New York: Routledge. 

  24. Rhoads, K., Radu, I., & Weber, K. (2011). Teacher internship experiences of prospective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9(4), 975-998. 

  25. Sherin, M. G., & van Es, E. A. (2009). Effects of video club participation on teachers' professional vis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0(1), 20-37. 

  26. Stockero, S. L., & van Zoest, L. R. (2013). Characterizing pivotal teaching moments in beginning mathematics teachers' practice.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6(2), 125-1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