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수학 자기 효능감 검사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athematics Self Efficacy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3 no.2, 2020년, pp.63 - 72  

김리나 (서울목운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표는 초등학교 3~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학 자기 효능감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에서 도출된 수학 자기 효능감 하위 요인을 중심으로 검사 도구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 후 개발된 문항을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로 구성된 연구 참여자에게 적용하여 설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이용해 설문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는 수학 자기 효능감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수학 불안 상태를 별도로 측정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도구와의 관계를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초등학생의 수학 자기 효능감 검사도구는 향후 초등학생의 수학 자기 효능감 상태를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수학 자기 효능감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athematics self-efficacy test too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sub-factors of mathematical self-efficacy derived from current studies. In this study, I verifi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est tool by statistically evaluating the re...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설문 문항 개발에 있어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유사한 설문, 혹은 반대되는 설문 문항을 동일 응답자에게 적용해 본 후 그 결과를 분석하는 것은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Kaiser, 197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문참여자에게 2015년 김리나가 개발한 수학 불안 측정도구 적용,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학 효능감과 수학 불안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Cooper와 Robinsion, 1991; Zimmertan, 200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학 자기 효능감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표본 집단 선정 시 초등학교 1, 2학년을 제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s Analysis)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의 수학 자기 효능감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의 세부 과정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초기 문항 개발 시 전문가 의견 수렴 과정을 통해 문항 개발의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의 의견이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 통계적 분석 과정을 통해 추가적으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한 수학 자기 효능감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수학 자기 효능감과 관련한 후속 연구의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 도구 제작 선행 연구에서 검증된 통계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수학 자기 효능감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예. 김리나, 2018). 설문 도구 개발 연구는 학습자의 상태를 이해하는 연구의 기초가 된다(Van Dierendonck, & Nuijten, 2011).
  • 본 연구에서는 요인 구조 신뢰도 분석 과정을 통해 요인 관련도가 부족한 문항들을 추출하여 21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3차 설문 문항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위 요인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본연구에서는 [표 8]과 같이 하위 요인들 사이의 피어슨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토대로 개발된 설문 문항을 초등학교 학생 432명에게 적용, 설문 응답 결과를 통계적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자기 효능감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 이러한 문제점에 근거하여 국내 학생들의 수학 자기 효능감을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수학 학습과 관련한 학습자 분석 연구에서 중요한 것은 사회·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Ball, Thames, & Phelps, 2008).
  • 그동안 수학 교육 연구에서 수학 자기 효능감에 대한 중요성이 꾸준히 강조되어 왔던 반면, 수학 자기 효능감의 실태 파악을 위한 측정 도구 개발과 관련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학 자기 효능감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자기 효능감 실태를 점검하고, 학생들의 수학 자기 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한 수학 자기 효능감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수학 자기 효능감과 관련한 후속 연구의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 도구 제작 선행 연구에서 검증된 통계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수학 자기 효능감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예.
  • , 2008). 특히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자기 효능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초등학교 학생들은 중·고등학교 학생들과 수학 이해와 학습 방법 측면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자기 효능감에 대한 연구는 중· 고등학생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방법과 해석 측면에서 구별되어 진행되어야 한다(Haciomeroglu, 2019).

가설 설정

  • 요인 구조 분석은 수학 자기 효능감의 하위 범주인 수행 경험, 대리 경험, 사회적 격려, 정서적·심리적 상태의 4개의 요인별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요인을 중심으로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으므로 응답 결과 또한 요인들을 중심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을 나타낼 것으로 가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측정 도구의 통계적 분석을 위해 각 항목별로 리커드 척도의 ‘매우 그렇다’는 4점, ‘그렇다’는 3점, ‘그렇지 않다’는 2점, ‘매우 그렇지 않다’는 1점으로 변환하여 계산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수학 자기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가정한다. [표 3]은 참여자의 설문 문항 응답 결과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수학 자기 효능감의 차이는 무엇인가? Fennema와 Sherman(1976)은 수학 자기 효능감은 수학 학습에 대한 자신감 구별된다고 주장하였다. 자신감은 수학과 관련한 자신의 능력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도를 의미하는 반면, 수학 자기 효능감은 특정한 상황과 관련한 행동 특성을 설명하기 때문에 수학에 대한 자신감보다 과제 또는 문제 해결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Fennema & Sherman, 1976). 이러한 주장은 후속 연구에서 확인되었는데, Betz와 Hackett(1983)는 수학 자기 효능감과 대학에서 수학 관련 전공 선택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수학 관련 직업 지원과 수학 자기 효능감의 관계를 입증하였다.
Betz와 Hackett이 수학 자기 효능감과 관련해 입증한 것은? 자신감은 수학과 관련한 자신의 능력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도를 의미하는 반면, 수학 자기 효능감은 특정한 상황과 관련한 행동 특성을 설명하기 때문에 수학에 대한 자신감보다 과제 또는 문제 해결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Fennema & Sherman, 1976). 이러한 주장은 후속 연구에서 확인되었는데, Betz와 Hackett(1983)는 수학 자기 효능감과 대학에서 수학 관련 전공 선택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수학 관련 직업 지원과 수학 자기 효능감의 관계를 입증하였다. 또한 Hackett(1985)는 대학에서 수학 관련 전공을 선택하는 것을 예측하는데 있어 고등학교 수학 성적, 수학 불안 등의 다른 요소보다 수학 자기 효능감이 가장 중요한 변인임을 통계적으로 입증하였다.
학부모, 교사와 친구들의 격려가 수학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학생들은 학부모, 교사와 친구들의 격려를 통해 수학 자기 효능감을 개발할 수 있다. 특히 수학 과제를 수행할 때 과제 수행에 도움이 되는 적절한 설명과 지시는 학생들의 노력과 수학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데 중요하다(Bandura, 1997; Hattie & Timperley, 2007). 어린 학생일수록 사회적 격려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Bandura, 1997), 수학 학습 과정에 대한 교사의 주기적인 피드백 역시 사회적 격려의 일종이다(Usher & Pajares, 2006). 사회적 격려와 수학 자기 효능감의 양의 상관관계는 선행연구에서 통계적으로 분석되었다(예. Lopez, Lent, Brown, & Gore, 1997; Phan,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m, R. (201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21(4), 431-444. 

  2. Sanghee lee. (2012). Development of the Mathematics Self-Efficacy Scale for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4(3), 573-594. 

  3. Ball, D., Thames, M. H., &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4.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5.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6.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H. Freeman. 

  7. Betz, N. E., & Hackett, G. (1983). The relationship of mathematics self-efficacy expectations selection of science-based college major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 Britner, S. L., & Pajares, F. (2006). Sources of science self-efficacy beliefs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 485-499. 

  9. Cooper, S. E., &Robinson, D. A. (1991). The relationship of mathematics self-efficacy beliefs to mathematics anxiety and performance.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10. Fennema, E., & Sherman, J. A. (1976). Fennema-Sherman Mathematics Attitude Scales: Instruments designed to measure attitudes toward the learning of mathematics by females and males.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6, 31. (Ms. No. 1225) Fennema, E., & Sherman, J. A. (1977). Sex-related differences in math 

  11. Gainor, K.A. & Lent, R.W. (1998). Social cognitive expectations and racial identity attitudes in predicting the mathe choice intentions of Black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45, 403-413. 

  12. Hackett, G. (1985). Role of mathematics self-efficacy in the choice of math-related majors of college women and men: A path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2(1), 47.l 

  13. Haciomeroglu, G.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tudents' Achievement Emotions and Sources of Mathematics Self-Efficacy.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and Science, 5(2), 548-559. 

  14. Hattie, J., & Timperley, H. (2007). The power of feedback.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7, 81-112. 

  15. Kaiser, H. F. (1970). A second generation little jiffy. Psychometrika, 35(4), 401-415. 

  16. Kim, R. (2014).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A review. Mediterranean Journal of Social Sciences, 5(9), 428. 

  17. Klassen, R. M., Usher, E. L. (2010). Self-efficacy in educational settings: Recent research and emerging directions. In T. C. Urdan & S. A. Karabenick (Eds.), The Decade Ahead: Theoretical Perspectives on Motivation and Achievement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 Volume 16 Part A. Bingley, UK: Emerald Group Publishing. 

  18. Phan, H. P. (2012) The development of English and mathematics self-efficacy: A latent growth curve analysi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05(3), 196-209. 

  19. Talsma, Schuz, Schwarzer, and Noris (2018). I believe, therefore I achieve (and vice versa): A meta-analytic cross-lagged panel analysis of self-efficacy and academic performance.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61, 136-150. 

  20. Usher, E. L., & Pajares, F. (2006). Inviting confidence in school: invitations as a critical source of the academic self-efficacy beliefs of entering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Invitational Theory & Practice, 12, 7-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