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성적 문제 만들기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flective Problem Posing Activities on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0 no.2, 2016년, pp.311 - 331  

배준환 (서울염경초등학교) ,  박만구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습자 스스로 수학적 오류를 분석하고 반성적 문제 만들기 활동을 하도록 한 것이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5학년 2개 반(6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반성적 문제 만들기 활동은 학생들로 하여금 구하고자 하는 것을 파악하는 능력과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조건을 선별하여 활용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학습자가 가지고 있었던 수학적 오개념을 수정하고 올바른 수학적 개념을 정립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반성적 문제 만들기 활동은 학생들의 수학적 의지를 향상시키고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며, 반성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풀이 과정을 점검하는 습관을 갖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학습자는 반성적 문제가 올바르게 만들어졌는지 점검하고 이것을 바르게 해결하기 위해, 토의 활동에서 타인과의 수학적 의사소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과 함께 끝까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집착력을 강하게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athematical errors and the effects of reflective problem posing activities on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We chose two 5th grade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o conduct this research. From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의 반성적 문제 만들기 활동에서는 초등학생이 문제 속에서 ‘무엇을 구해야 하는지’, ‘어떠한 조건이 있는지’를 스스로 체감하고 구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자연스럽게 문제를 만들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수학적 반성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선행 연구들이 주는 시사점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반성적 문제 만들기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학습 방법을 안내하는 등 예비학습을 실시하여 학습 과정에 익숙해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문장 이해 능력과 표현능력을 충분히 관찰하고 분석하여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피드백 하였다. 또한, 수준별 집단 별로 반성적 문제 만들기의 결과물을 분석하여 상·하 그룹의 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도의 변화를 비교하였고, 수학적 오류를 범한 문제를 대상으로 비슷한 유형의 문제를 다양하게 만들어 봄으로써 수학적 반성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신 또는 다른 학생이 만든 문제를 수학적 의사소통을 통하여 점검해보게 하여 반성적 문제 만들기를 한 내용의 질을 스스로 판단해 보도록 하였다.
  •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학습자 자신이 틀린 문제에서 오류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반성적 문제에 반영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자신의 수학 문제를 풀이하는 습관을 꾸준히 점검하고 개선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학습자는 반성적 문제가 올바르게 만들어졌는지 점검하고 이것을 바르게 해결하기 위해 토의 활동에서 타인과의 수학적 의사소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과 더불어 끝까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학생들은 일반적인 문제 만들기 형태보다 발전된 형태인 반성적 문제 만들기 활동에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참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반성적 문제 만들기 활동을 구안하였고, 반성적 문제 만들기 활동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알아보았다. 반성적 문제 만들기 활동 후 사전․사후 문제해결력 검사와 얻은 학생들의 자료인 반성적 문제 만들기 활동지, 수학일기를 분석하여 얻을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선행 연구들이 주는 시사점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반성적 문제 만들기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학습 방법을 안내하는 등 예비학습을 실시하여 학습 과정에 익숙해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문장 이해 능력과 표현능력을 충분히 관찰하고 분석하여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피드백 하였다.
  • 그리고 자신이 만든 문제이기 때문에 보다 자신감을 가지고 접근하였다는 점과 문제를 만드는 시작점부터 해결전략을 미리 구상했기 때문에 수학에 대한 흥미와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된다. 즉, 반성적 문제만들기 활동은 인지적 측면에서 학습자에게 탐구를 위한 발판을 제공하고 문제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 및 수학적 개념과 원리에 대한 파지, 다른 수학적 개념과 원리에 대한 전이를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심리적 측면에서는 학습자가 풀이한 문제를 바탕으로 문제를 만들기 때문에 새로운 문제를 해결한다는 학습 부담감을 줄여줄 것이라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능력은 무엇인가? 지금 학교에서 여전히 이전의 교과 내용이나 지식과 유사한 내용을 배우는 학생들은 지금과는 매우 다른 환경에서 사회의 주역으로 살아갈 것이다. 그런데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능력은 단순히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기능을 종합하여 새로운 상황에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다. 비정형적인 문제를 해결을 위해서는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호기심을 가지고 스스로 문제 상황을 탐색하면서 문제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며, 자신이 만든 문제를 선행 지식과 연결시키고 수학적 사고를 활용하여 만든 문제를 직접 해결할 필요가 있다(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NCTM], 2000).
비정형적인 문제를 해결을 위해서는 어떤 능력과 노력이 필요 되는가? 그런데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능력은 단순히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기능을 종합하여 새로운 상황에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다. 비정형적인 문제를 해결을 위해서는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호기심을 가지고 스스로 문제 상황을 탐색하면서 문제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며, 자신이 만든 문제를 선행 지식과 연결시키고 수학적 사고를 활용하여 만든 문제를 직접 해결할 필요가 있다(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NCTM], 2000).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 어떤 내용을 기술하여 강조하고 있는가? 28)고 기술하고 있다. 또한,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문제해결력을 높이기 위해 주어진 문제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문제를 만들어 해결하고 그 과정을 검증하는 문제 만들기 활동을 장려한다.”(p.38)라고 기술하면서 문제 변형이나 만들기를 강조한다. NCTM(2000)은 수학 교실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문제 만들기를 통한 문제해결 학습은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수학적 힘을 기르도록 돕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교육과학기술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별책8].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 김준겸, 임문규 (2001). 문제 상황 제시에 따른 문제 만들기 활동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5, 77-98. 

  3. 노지화, 고호경, 허난 (2016). 분수 나눗셈 스토리 문제 만들기에 관한 예비교사 지식 조사연구. 초등수학교육, 19(1), 19-30. 

  4. 박교식 (2015). 초등학교 수학과 무제해결 교육 재고.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0(2), 123-141. 

  5. 배준환 (2015). 반성적 문제 만들기 활동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오영열 (2013). 초등수학에서 수학적 모델링 적용 필요성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3), 483-501. 

  7. 이대현 (2012). 문제 만들기 활동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논문집, 15(3), 411-428. 

  8. 임문규 (1992). 수학 교육에서 문제설정과 문제해결의 관련에 관한 연구. 대한 수학교육학논문집, 3(2), 1-13. 

  9. 정성건, 박만구 (2010). 수학 문제 만들기 활동이 문제해결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315-335. 

  10. 정지호, 임문규 (1992). 문제 설정의 교수.학습에 관하여(1). 수학교육학회지, 31(3), 55-62. 

  11. 채송화 (2014). 현실적 소재를 활용한 문제 만들기가 학생들의 수학적 문제해결, 의사소통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한국교육개발원 (1985). 수학과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수업 방법 개선 연구. 연구 보고RR85-09. 

  13. 황정하 (2011). 문제 만들기를 활용한 오답노트 작성의 수학학습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Brown, S. I. & Walter, M. I. (1990). The art of problem posing. Philadelphia, PA: The Franklin Institute Press. 

  15. Cunningham, R. (2004). Problem posing: An opportunity for increasing student responsibility. Mathematics and Computer Education, 38(1), 83-89. 

  16. Hashimoto, Y. (1987). Classroom practice of problem solving in Japanese elementary schools. In J. P. Becker & T. Miwa (Eds.), Proceedings of the U.S.-Japan Seminar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p. 94-119). Columbus, OH: ERIC/SMEAC Clearinghouse (ED 304-315). 

  17. Inprasitha, M. (2015). New model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mathematics education: Thailand experience. Proceedings of the 7th ICMI-East Asia Regional Conference on Mathematics Education(pp. 97-100). May 11-15, 2015, Cebu City, Philippines. 

  18. Lavy, I. & Shriki, A. (2013). Problem posing as a means for developing mathematical knowledge of prospective teachers. In Woo, J. H., Lew, H. C., Park, K. S., & Seo, D. Y. (Eds.). Proceedings of the 31st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Vol. 3(pp. 129-136). Seoul: PME. 

  19. Kilpatrick, J. (1987) Problem formulating: Where do good problems come from? In A. H. Schoenfeld (Ed.). Cognitive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pp. 123-147). Hillsdale, NJ: Erlbaum. 

  20.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3). PISA 2015 draft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ramework. Retrieved on January 2, 2016 at https://www.oecd.org/pisa/pisaproducts/Draft%20PISA%202015%20Collaborative%20Problem%20Solving%20Framework%20.pdf 

  23. Polya, G. (1957). How to solve it. N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 Rosli, R., Goldsby, D., & Capraro, M. M. (2013). Assessing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nd problem-posing skills. Asian Social Science, 9(16), 54-60. 

  25. Schoenfeld, A. H. (1992). Learning to think mathematically: Problem solving, metacognition, and sense-making in mathematics. In D. Grouws (Ed.), Handbook for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334-370). New York: MacMillan. 

  26. Silver, E. A. (1993).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nd problem solving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C. A. Mather, G. A. Golding, & R. B. Davis (Eds.). Proceedings of PME-NA (Vol. 1, pp. 263-269). New Brunswick, NJ: Rutgers University. 

  27. Silver, E. A. (1994). O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4(1), 19-28. 

  28. Silver, E. A. (1996). Posing mathematical problems: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Computers in Mathematics and Science Teaching, 23(2), 191-208. 

  29. Silverman et. al. (1992). Case studies for teacher problem solving. Brooklyn, NY: Mcgrew-Hill College. 

  30. Stanic, G. & Kilpatrick, J. (1989). Historical perspectives on problem solving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In R. Charles & E. Silver (Eds.), The teaching and assessing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p. 1-22).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1. Van Harpen, X. Y. & Sriraman, B. (2013). Creativity and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n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mathematical problem posing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2(2), 201-221. 

  32. Yerushalmy, M., Chazan, D., & Gordon, M. (1990). Mathematical problem posing: Implications for facilitating student inquiry in classrooms. Instructional Science, 19, 219-2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