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 만들기를 적용한 문제해결수업이 수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Problem-solving Lessons with Problem-posing on Mathematical Creativity 원문보기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33 no.4, 2017년, pp.381 - 411  

김서린 (SukJun Elementary School) ,  김동화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서혜애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changes through problem-solving instruction using problem-pos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explore instructional methods to improve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 curriculum. In this study, n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문제 만들기를 적용한 문제 해결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이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고, 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학생들의 창의성 수준에 따라 효과적인 창의성 향상 지도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문제 만들기 활동을 적용한 문제해결 수업을 실시한 후 수학적 창의성 및 수학적 창의성의 세 가지 하위요인별 측정 결과가 비교집단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실험집단을 수준별로 분류하였을 때 각 집단의 수학적 창의성 결과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수학 수업의 수학적 창의성 교육에 대한 효과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교수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가설 설정

  • 첫째, 문제 만들기 활동을 적용한 문제해결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일반 문제해결 수업을 한 비교집단 사이의 수학적 창의성에 차이가 있는가?
  • 그 결과<표Ⅲ-1>는 과 같다. 표에서 알 수 있듯이 학업성취도 결과 비교에서 두 집단이 거의 동질집단임을 가정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적 창의성 향상을 위한 창의적인 과정의 최초 모델은?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창의적인 과정에 대한 최초 모델은 잘 알려진 Wallas의 준비, 부화, 감지, 조명, 검증의 5단계 모델이라고 할 수 있으며, Sio & Ormerod(2009)는 2009년까지 이루어진 연구들을 토대로 부화 단계를 거치는 것이 문제해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Torrance & Safter(1990)는 부화단계를 교육에 도입한 ‘부화 수업모형’을 제안하였고, Torrance(1979)가 일찍이 제시했던 3단계 부화 수업 모형에서 1단계에서는 학생들의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주의 집중, 호기심 유발, 상상력 자극 등 의 활동이 이루어진다.
급변하고 다양하며 복잡해지는 21세기 사회에서는 어떤 능력이 중요한가? 21세기의 사회는 매우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더욱 다양하고 복잡해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에서는 다양한 지식을 적절히 활용하여 문제를 재구성하고 해결하는 능력, 적절하게 질문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창의적 사고력 등이 매우 중요하다. 미래 사회에서 필요한 지식은 대체로 이미 알려져 있는 지식이 아니라 새롭게 재구성된 지식이나 창조된 지식이며, 이러한 지식을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이 바로 사고력을 기반으로 한 창의성이라 할 수 있다.
수학적 창의성을 기르는데 문제 만들기 활동이 좋은 방법이라는 점을 뒷받침하는 연구는?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이 끝난 후 주어진 문제를 변형하여 새로운 문제를 만드는 문제 만들기 활동도 수학적 창의성을 기르는 좋은 한 가지 방법이다. NCTM(2000) 에서는 현대가 요구하는 수학적 소양을 갖추기 위하여 아동들은 수학 시간에 주어진 상황으로부터 문제를 새롭게 꾸며보거나 주어진 문제에서 조건을 바꾸어 새로운 문제를 구성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 함을 언급하였다. Brown & Walter(1993), Silver(1997), Silver & Cai(2005) 등은 수학 문제 만들기가 그동안 꾸준히 강조되어 왔던 수학적 문제 해결만큼 중요하다고 밝힌 바 있으며, 최근의 수학 교육에서는 문제 만들기가 상당히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교육부(1997). 중학교 교육가정 해설(수학). 서울: 대학교과서주식회사. 

  2. 교육부(2011).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부(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4. 김원석(2011). 서술형 문제를 활용한 수학수업이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홍원, 김명숙, 방승진, 황동주(1997).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실시요강.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 남승인, 류성림(2002). 문제 해결 학습의 원리와 방법. 대구: 형설출판사. 

  7. 남승인(2007). 수학 창의성 신장을 위한 평가 문항 개발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21(2), 271-282. 

  8. 문현정(2006). '문제변형하기'전략을 활용한 수학학습의 효과 분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9. 박영배(1991). 발전적 사고의 육성을 위한 산수 학습 지도법 고찰, 제15회 산수과 교육 세미나, 한국초등수학교육연구회. 

  10. 방승진, 이상원(2005). 시리즈E : 문제제기 수업이 수학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수학교육논문집, 19(2), 417-434. 

  11. 신현용, 한인기(1999). 수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방향 모색. 청람 수학교육, 8 15-44. 

  12. 이강섭, 황동주(2007). 수학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수학 창의성과 문제설정과의 상관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46(4), 503-519. 

  13. 이경화(2015). 수학적 창의성. 경문사. 

  14. 이광우, 민용성, 전제철, 김미영, 김혜진(2008).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연구(I)-핵심 역량 영역별 하위요소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8-7-1. 

  15. 이대현(2012). 수학적 창의성의 요소와 창의성 개발을 위한 수업 모델 탐색.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1), 39-61. 

  16. 이대현(2012). 문제 만들기 활동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411-428. 

  17. 정지호, 임문규(1992). 문제 설정의 교수-학습에 관하여(1). 한국수학교육학회지, 31(3), 55-62. 

  18. Brown, S. I., & Walter, M. I.(1993). Problem posing in mathematics education. In S. I. Brown & M. I. Walter(Eds.), Problem posing: reflections and application, pp.16-27. NY: Routledge. 

  19. Envynck, G.(1991). Mathematical creativity. In D. Tall(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Netherlands :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 Fouche, K. K.(1993).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Multiple solution methods in a cross-cultural study in middle level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Florida. 

  21. Haylock, D. W.(1987). A framework for assessing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 childre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8, 59-74. 

  22. Jonathan A. Plucker & Carolyn M. Callahan.(2014). Research on Giftedness and Gifted Education: Status of the Field and Considerations for the Future. Exceptional Children 80(4), 390-406. 

  23. Kilpatrick, J.(1987). Problem formulating: Where do good problems come from? In A. H. Schoenfeld(Ed.), Cognitive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23-147. Hillsdale, NJ: Erlbaum. 

  24. Leikin, R. & Lev, M.(2013). Mathematical creativity in generally gifted and mathematically excelling adolescents: what makes the difference?. ZDM, 45(2), 183-197. 

  25. Leung, S. S. & Silver, E. A.(1997). The role of task format, mathematics knowledge, and creative thinking on the arithmetic problem posing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9(2), 5-24. 

  26. NCTM(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p. 49. 

  27. Polya, G.(1986).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우정호(역). 서울: 천재교육. 

  28. Sheffield, L. J.(2006). Developing mathematical promise and creativit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D: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10(1), 1-11. 

  29. Silver, E. A.(1994). O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4(1), 19-28. 

  30. Silver, E. A. (1997). Fostering Creative through Instruction Rich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Zentralblatt fur Didaktik der Mathematik(ZDM), 29(3). 

  31. Silver, E. A., & Cai, J. (1996). An analysis of arithmetic problem posing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7(5), 521-539. 

  32. Silver, E. A. & Cai, J.(2005). Assessing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POSING.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NCTM), 12(3), 129-135. 

  33. Sio, U. N., & Ormerod, T. C.(2009). Does incubation enhance problem solving?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35, 94-120. 

  34. Sriraman, B.(2004).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Mathematics Educator, 14(1). 19-34. 

  35. Torrance, E. P.(1979). An instructional model for enhancing incubation.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3(1), 23-35. 

  36. Torrance, E. P., & Safter, H. T.(1990). The incubation model of teaching. Buffalo, NY: Bearly Limite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