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Effects of Supervisor's Authentic Leadership on Job Performance for Employee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7, 2016년, pp.319 - 336  

탁진규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경영학과) ,  노태우 (순천향대학교 국제통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진성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진성리더십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구성원의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다양한 업종에 종사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총 44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통계분석방법은 SPSS/WIN 24.0과 Stata 14.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사의 진성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은 진성리더십과 조직 구성원의 직무성과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함의한 바는 구성원의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사의 진성리더십을 통한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와 협력 행동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at suggesting the implications about the importance of authentic leadership through the analysis of what influence of supervisor's authentic leadership has on job performance for employees. Especially,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설문기간은 2016년 4월 5일부터 4월 19일까지 약 2주간이었다. 기업의 인사담당자에게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응답자가 성실히 설문에 임할 수 있도록 협조를 구하였다. 설문은 550부를 배포하여 453(82%)부를 회수하였다.
  • 특히 진성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다수 이루어져 왔으나, 이 두 변수가 매개되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보이는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진성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을 통하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기여도가 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활용한 표본들이 특정 지역이나 대상에 국한 되었다는 한계점을 제시한데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업종에 종사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연구 표본을 확대하여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관계를 보다 보편적으로 제공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과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보이는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진성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을 통하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차별성이 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활용한 표본들이 특정 지역이나 대상에 국한 되었다는 한계점을 제시한 데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업종에 종사하는 구성 원들을 대상으로 연구 표본을 확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여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관계를 보다 보편적으로 제공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보이는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진성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을 통하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기여도가 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활용한 표본들이 특정 지역이나 대상에 국한 되었다는 한계점을 제시한데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업종에 종사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연구 표본을 확대하여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관계를 보다 보편적으로 제공하였다.
  • 이러한 현상은 저 성장기 매출 하락 및 구성원 이직 등으로 조직과 개인의 부담이 커지고, 조직의 활력 또한 점점 떨어지고 있다는 것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상사의 진성리더십을 기반으로 구성원들이 조직몰입을 통해 일체감을 조성하고, 조직시민행동을 통해 상호 협력하는 분위기를 창출함으로써 저성장 시대에 요구되는 진성리더십의 효과성을 제시한데 의미를 둘 수 있다. 따라서 진성리더십 개념을 현장 리더에게 명확하게 인지시키고 구성원들에게 잘 적용시키기 위한 ‘진성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이 시급하다고 보여지며, ‘진성리더십 하위 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 수집과 실무 적용 방법에 대한 탐색 또한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 몰입,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성개념의 구조모형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본다. 둘째, 조직 내 상사를 대상으로 한 진성리더십의 이론적 모형을 개발하고 진성리더십과 직무성과와의 관계에 있어 조직몰입과 조직 시민행동의 매개효과에 대한 구조적 모형을 살펴본다.

가설 설정

  • H1 상사의 진성리더십은 구성원의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H2 상사의 진성리더십은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H2인 "상사의 진성리더십은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H3 구성원의 조직몰입은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H3인 "구성원의 조직몰입은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H4 상사의 진성리더십은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H4인 "상사의 진성리더십은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H5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은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H5인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은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H6 조직몰입은 진성리더십과 구성원의 직무성과 간의 긍정적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 H6인 "조직몰입은 진성리더십과 구성원의 직무성과 간의 긍정적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 H7 조직시민행동은 진성리더십과 구성원의 직무성과 간의 긍정적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 H7인 "조직시민행동은 진성리더십과 구성원의 직무성과 간의 긍정적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 모델1에서 H1인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성 리더란 무엇인가? Shamir & Eilam(2005)은 진성 리더(authentic leader)에 대해 ‘자신의 자아에 대해서 잘 알고 있으며, 자신을 둘러싼 주변 환경을 이해하고, 자아와 목표를 일치시키고, 자신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사람’이라고 정의하였다 [16]. Avolio, Gardner, Walumbwa, Luthans, & May(2004)는 진정성을 갖춘 리더는 자기 자신의 생각과 행동에 대하여 잘 인식하고 있으며, 구성원들에게 자신의 신념, 강점 그리고 약점 등에 대해서 잘 인식되 고 있는 리더라고 하였다[17].
진성 리더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진성 리더는 항상 주변 상황을 살피며, 매우 긍정적이고 낙관적이면서 높은 도덕성을 지닌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진성리더십이 있는 리더는 자신의 자아를 잘 정립하고 구성원들과 열린 소통을 하며, 자신의 소신과 신념에 따라 말과 행동을 한다[1][18].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및 규범적 몰입은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가? Allen & Meyer(1990)는 조직몰입을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및 규범적 몰입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30]. 첫째, 정서적 몰입(affective commitment)은 구성원들이 조직에 대하여 갖는 소속감, 만족감, 충성심 등으로 조직에 대해 개인이 느끼는 일체감 정도를 의미하며, 지속적 몰입(continuance commitment)은 개인이 조직을 이탈할 경우, 자신에게 돌아오는 비용적 측면의 손익계산에 의거하여 조직에 몰입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규범적 몰입(normative commitment)은 조직에 대한 만족에 상관없이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해 행동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도덕적 의무체계를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8)

  1. B. J. Avolio and W. L. Gardner,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Getting to the root of positive forms of leadership," Leadership Quarterly, Vol.16, No.3, pp.315-338, 2005. 

  2. J. M. Burns, Leadership, NY: Harper & Row, 1978. 

  3. B. M. Bass,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 NY: The Free Press, 1985. 

  4. J. A. Conger and R. N. Kanungo, "Toward a Behavioral Theory of Charismatic Leadership in Organizational Setting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2, No.4, pp.637-647, 1987. 

  5. B. M. Bass, "From Transactional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to Share the Vision," Organizational Dynamics, Vol.18, No.3, pp.19-32, 1990. 

  6. L. C. Spears, Insight on Leadership: Service, Stewardship, Spirit and Servant-Leadership, NY: Wiley & Sons, 1995. 

  7. L. Fry and M. Kriger, "Towards a theory of being-centered leadership: Multiple levels of being as context for effective leadership," Human Relations, Vol.62, No.11, pp.1667-1696, 2009. 

  8. 윤정구, 진정성이란 무엇인가?, 서울: 한언출판사, 2012. 

  9. 정예지, 이수정, 김문주, "변혁적 리더 대 진성 리더: 변혁적 리더십의 재조명," 경영학연구, 제41권, 제3호, pp.539-573, 2012. 

  10. D. A. Yousef, "Organizational commitment: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s of leadership behavior with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 a non-western country," Journal of Management, Vol.15, No.1, pp.6-24, 2000. 

  11. P. M. Podsakoff, S. B. Mackenzie, J. B. Paine, and D. G. Bachrac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 critical review of the theoretical and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nagement, Vol.26, No.3, pp.513-563, 2000. 

  12. T. A. Judge, C. J. Thoresen, J. E. Bono, and G. K. Patton, "The Job Satisfaction-Job Performance Relationship: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Vol.127, No.3, pp.376-407, 2001. 

  13. B. M. Bass and P. Steidlmeier, "Ethics, character, and authentic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 The Leadership Quarterly, Vol.10, No.2, pp.181-217, 1999. 

  14. 구동우, 이새미, "호텔 총지배인의 진정성 리더십이 종사자의 직무만족, 몰입, 그리고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23권, 제5호, pp.197-219, 2014. 

  15. B. George, "Authentic leadership: Rediscivering the secrets to creating lasting value," i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03. 

  16. B. Shamir and G. Eilam, "'What's your story?' A life-stories approach to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Leadership Quarterly, Vol.16, No.3, pp.395-417, 2005. 

  17. B. J. Avolio, W. L. Gardner, F. O. Walumbwa, F. Luthans, and D. R. May, "Unlocking the mask: A look at the process by which authentic leaders impact follower attitudes and behaviors," Leadership Quarterly, Vol.15, No.6, pp.801-823, 2004. 

  18. F. O. Walumbwa, B. J. Avolio, W. L. Gardner, T. S. Wernsing, and S. J. Peterson,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heory-Based Measure," Journal of Management, Vol.34, No.1, pp.89-126, 2008. 

  19. F. Luthans and B. J. Avolio, Authentic Leadership: A Positive Developmental Approach, K. S. Cameron, J. E. Dutton, & R. E. Quinn,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pp.241-258, 2003. 

  20. W. L. Gardner, B. J. Avolio, F. Luthans, D. R. May, and F. Walumbwa, "'Can you see the real me?' A self-based model of authentic leader and follower development," Leadership Quarterly, Vol.16, No.3, pp.343-372, 2005. 

  21. R. Ilies, F. P. Morgeson, and J. D. Nahrgang, "Authentic leadership and eudaemonic well-being: Understanding leader-follower outcomes," Leadership Quarterly, Vol.16, No.3, pp.373-394, 2005. 

  22. 홍성화, 최은수,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오센틱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기업교육연구, 제13권, 제2호, pp.1-29, 2011. 

  23. D. R. May, A. Y. Chan, T. D. Hodges, and B. J. Avolio, "Developing the moral component of authentic leadership," Organizational Dynamics, Vol.32, No.3, pp.247-260, 2003. 

  24. F. O. Walumbwa, F. Luthans, J. B. Avey, and A. Oke, "Authentically leading groups: The mediating role of collec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rus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32, pp.4-24, 2011. 

  25. S. J. Peterson, F. O. Walumbwa, B. J. Avolio, and S. T. Hannah,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follower job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follower positivity in extreme contexts," Leadership Quarterly, Vol.23, No.3, pp.502-516, 2012. 

  26. J. P. Meyer and N. J. Allen,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1, No.1, pp.61-89, 1991. 

  27. 박영국,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몰입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논집, 제21권, 제2호, pp.539-565, 2009. 

  28. L. W. Porter, R. M. Steers, R. T. Mowday, and P. V. Boulia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sychiatric technicia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59, No.5, pp.603-609, 1974. 

  29. 이홍기, "진성리더십이 종업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5호, pp.181-190, 2014. 

  30. N. J. Allen and J. P. Meyer,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63, pp.1-18, 1990. 

  31. C. A. Meyer, J. P. Allen, and N. J. Smith, "Commitment to organizations and occupations: Extension and test of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8, No.4, pp.538-551, 1993. 

  32. J. P. Meyer, D. J. Stanley, L. Herscovitch, and L. Topolnytsky,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 Meta-analysis of Antecedents, Correlates, and Consequenc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1, No.1, pp.20-52, 2002. 

  33. C. A. Smith, D. W. Organ, and J. P. Nea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s nature and anteceden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8, No.4, pp.653-663, 1983. 

  34. T. S. Bateman and D. W. Organ, "Job satisfaction and good soldier: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and employee citizenship,"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6, No.4, pp.587-595, 1983. 

  35. 고호석, 이준엽, "호텔종사원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9호, pp.346-358, 2009. 

  36. 고환상, 김준호, "상사의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 개인의 셀프 리더십이 조직 몰입행동과 조직 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pp.23-45, 2011. 

  37. 최소연, 사회복지사의 조직시민행동에 관한 연구: 공정성, 상사신뢰, 조직냉소, 정서적몰입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38. D. W. Orga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ood Soldier Syndrome, MA: Lexington, 1988. 

  39. S. P. Brown and R. A. Peters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lesperson Job Satisfaction: Meta-analysis and Assessment of Causal Effects," Journal of Marketing, Vol.30, No.2, pp.66-70, 1993. 

  40. R. P. Tett and J. P. Meye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ath analyses based on meta analytic findings," Personnel psychology, Vol.46, No.2, pp.259-293, 1993. 

  41. 이정훈, 차정익, "진정성 리더십이 직무성과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421-435, 2015. 

  42. Z. Shooshtarian, F. Ameli, and M. A. Lari, "The Effect of Labor'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ir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nd Commitment," Iranian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Vol.6, No.1, pp.27-43, 2013. 

  43. M. Blumberg and C. D. Pringle, "The missing, opportunity in organizational research: Some implications for a theory of work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7, No.4, pp.560-569, 1982. 

  44. 이정원, 박정우, "호텔기업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과 직무몰입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7권, 제12호, pp.393-409, 2015. 

  45. 이정환, 박한규, "진성리더십 효과 요인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대한경영학회지, 제26권, 제1호1, pp.2791-2814, 2011. 

  46. 조윤형, "한국에서 진성리더십 연구현황 및 전망," 대한리더십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63-70, 2013. 

  47. 김용재, 김종완, "리더십이 자기효능감을 통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1권, 제2호, pp.1-23, 2008. 

  48. 김명희, 남차현, "관리자의 진성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자본을 매개효과로," 외식경영학회, 제16권, 제6호, pp.29-47, 2013. 

  49. 김지은, "진정성 리더십이 호텔종사원의 서비스 지향적인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호텔관광연구, 제16권, 제4호, pp.149-174, 2014. 

  50. A. Kliuchnikov, "Leader's Authenticity Influence on Follow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Emerging Leadership Journeys, Vol.4, No.1, pp.70-90, 2011. 

  51. 한봉주, "변혁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4권, 제1호, pp.49-78, 2015. 

  52. 안도희, 안병국, "지방직 공무원의 공공서비스 동기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와 성별간 다집단 분석," 한국HRD연구, Vol.10, No.2, pp.73-99, 2015. 

  53. 김소희, 진성리더십이 스포츠팀 리더에 대한 태도 및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54. 송보라, 서문경애,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관련 영향요인: 진성리더십과 조직공정성을 중심으로," 간호행정학회지, 제20권, 제2호, pp.237-246, 2014. 

  55. 윤인한, 건설현장 소장의 진성리더십이 현장직원의 조직시민행동, 종업원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후원인식의 매개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5. 

  56. 김종술, 문재승, 박계홍, "직무 임베디드니스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진정성 리더십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0권, 제5호, pp.63-84, 2013. 

  57. F. O. Walumbwa, P. Wang, H. Wang, J. Schaubroeck, and B. J. Avolio, "Psychological processes linking authentic leadership to follower behaviors," Leadership Quarterly, Vol.21, No.5, pp.901-914, 2010. 

  58. S. B. MacKenzie, P. M. Podsakoff, and R. Fett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bjective productivity as determinants of managerial evaluations of salespersons' performanc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50, No.1, pp.123-150, 1991. 

  59. J. W. Graham, "An essay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mployee Responsibilities and Rights Journal, Vol.4, No.4, pp.249-270, 1991. 

  60. J. W. Graham and R. M. Dienesc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struct Redefinition,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7, No.4, pp.765-802, 1994. 

  61. 하주호, 조직시민행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03. 

  62. Q. Weng, J. C. McElroy, P. C. Morrow, and R. Liu,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growth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77, No.3, pp.391-400, 2010. 

  63. B. J. Avolio, W. L. Gardner, and F. O. Walumbwa, Authentic leadership scale (ALQ Version 1.0 Self), Redwood City, CA: Mind Garden, 2007. 

  64. 이지숙, 진정성 리더십 척도의 국내 기업현장 적합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65. C. LeRouge, A. Nelson, and J. E. Blanton, "The impact of role stress fit and self-esteem on the job attitudes of IT professionals,"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43, No.8, pp.928-938, 2006. 

  66. D. T. Donavan, T. J. Brown, and J. C. Mowen, "Internal Benefits of Service-Worker Customer Orientation: Job Satisfaction,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Journal of Marketing, Vol.68, No.1, pp.128-146, 2004. 

  67. L. J. Williams and S. E. Anders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in-role behaviors," journal of management, Vol.17, No.3, pp.601-617, 1991. 

  68. 고환상, 셀프리더십을 중심으로 본 상사의 리더십과 조직후원인식 및 성취욕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서울과학종합대학원, 2012. 

  69. J. Yang, K. W. Mossholder, and T. K. Peng, "Supervisory procedural justice effects: The mediating roles of cognitive and affective trust," Leadership Quarterly, Vol.20, No.2, pp.143-154, 2009. 

  70. 김지혜, "기업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2호, pp.127-148, 2012. 

  71. 이학식, 임지훈, SPSS 20.0 매뉴얼, 집현재, 2013. 

  72. J. C. Anderson and D. W.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103, No.3, pp.411-423, 1988. 

  73. C. Fornell and D.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3, pp.39-50, 1981. 

  74. P. M. Podsakoff, S. B. MacKenzie, J. Y. Lee, and N. P. Podsakoff,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Th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8, No.5, pp.879-903, 2003. 

  75. R. A. Peterson, Constructing Effective Questionnaires, Chronicle Books, 2000. 

  76. 박원우, 김미숙, 정상명, 허규만,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의 원인과 해결방안," 인사.조직연구, 제15권, 제1호, pp.89-133, 2007. 

  77. P. A. Pavlou, H. Liang, and Y. Xue, "Understanding and Mitigating Uncertainty in Online Exchange Relationships: A PrincipalAgent Perspective," MIS Quarterly, Vol.31, No.1, pp.105-136, 2007. 

  78. 김명희, 김아현, 송은주, "호텔 레스토랑의 진성 리더십과 상사신뢰,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의 영향 관계," 외식경영학회, 제17권, 제2호, pp.117-134,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