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거노인의 신체, 정신 및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삶의 만족도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Living Alone Based on Their Physical, Mental an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0 no.2, 2016년, pp.167 - 177  

박정순 (원광보건대학교 치위생학과) ,  박소영 (전주비전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living alone based on their health status and suggest measures that improve their physical, mental and oral health, which could be used in future welfare policies on the elderly.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307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독거노인은 비 독거노인에 비해 낮은 경제능력, 사회활동제한 및 사회적지지 연계부족 등으로 건강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신체 및 정신건강의 위험요소가 많다고 알려져 있어 이들의 상황적 취약점을 고려한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10]. 따라서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건강상태별 삶의 만족도를 파악하여 향후 국가 노인복지 정책에서 건강 및 구강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고자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을 위한 건강관련 실천방안을 도출해내기 위하여 구강의 건강상태를 포함한 신체 및 정신 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혼자 생활하는 노인의 수가 증가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오늘날 우리나라는 빠른 고령화 사회진입과 사회ㆍ경제 및 문화현상의 급속한 변화로 인해 혼자 생활하는 노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가구유형 중 독거노인은 광의적 개념으로 배우자를 포함하여 친족, 비 친족 중 누구와도 동거하지 않고 부양의무를 받을 수 없는 1인 재가노인 가구를 일컬으며, 협의적 개념으로는 절대빈곤상태에 있는 단독세대 노인을 의미한다[1].
독거노인의 부정적인 건강상태는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독거노인의 부정적인 건강상태는 자립된 생활의 기초적인 일상생활능력에 많은 지장을 주며, 신체적으로 노화가 진행될수록 그 정도는 더 심각해질 것이다. 이는 독거노인의 전반적인 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며 삶의 만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강하게 일상생활을 유지한다는 것은 다른 사람에게 의존적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는 것으로 건강이 삶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클 것이다.
광의적 개념의 독거노인은 무엇인가? 오늘날 우리나라는 빠른 고령화 사회진입과 사회ㆍ경제 및 문화현상의 급속한 변화로 인해 혼자 생활하는 노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가구유형 중 독거노인은 광의적 개념으로 배우자를 포함하여 친족, 비 친족 중 누구와도 동거하지 않고 부양의무를 받을 수 없는 1인 재가노인 가구를 일컬으며, 협의적 개념으로는 절대빈곤상태에 있는 단독세대 노인을 의미한다[1]. 한국보건사회연구원[2]에 의하면 독거노인의 수가 2005년에는 약 776천명이었으나, 2015년에는 약 1,379천명으로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D.J. Kim(2012), Social Difficulties of the aged People who Live alone and Alternative Welfare Solutions,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Support, Vol.7(1);217-239. 

  2. https://www.kihasa.re.kr/html/jsp/publication/periodical/focus/list.jsp 

  3. S.S. Saltnes, K. Storhaug, C.R. Borge, I. Enmarker, T. Willumsen(2015), Oral Healthrelated Quality-of-life and Mental Health in Individual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cta Odontologica Scandinavica, Vol.73(1);14-20. 

  4. G.H. Gilbert, U. Foerster, R.P. Duncan(1998), Satisfaction with Chewing Ability in a Diverse Sample of Dentate Adults,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Vol.25(1);15-27. 

  5. N. Shtereva(2006), Aging and Oral Health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Geriatric Patients, Rejuvenation Res, Vol.9(2);355-357. 

  6. S.J. Yu, C.Y. Kang, Y.R. Kim(2015), Correlation of Quality of Life in the Health Condition of Korean Elderly: Perceived, Physical, Mental Health Statu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9(2);47-56. 

  7. Korea Health Statistics(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pp.1-63. 

  8. S.B. Park(2011), Residential Factor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Vol.23(3);731-760. 

  9. Statistics Korea(2014), Elderly statistics, Daejeon: Statistics Korea, pp.1-42. 

  10. S.S. Ju, S.R. Yoon(1993), A Comparative Study on the General Health between the Couple and Single Aged,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13(1);55-62. 

  11. K.N. Park(2004), Gender Differences i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24(3);13-29. 

  12. Y.H. Jo(2009),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with Social Activity in Elderly Women,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12(1);1-28. 

  13. H.J. Lee, Y.A. Yang(2012), A Correlation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s of the Old Adults,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6(2);47-53. 

  14. J.N. Sohn(2012),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or Live with Fami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21(2);118-126. 

  15. J.Y. Kim, S.G. Lee, S.K. Lee(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0(2);471-484. 

  16. H.R. Kim(2009),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Affecting Factors among the Aged in one Korean Communit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4);167-178. 

  17. Y.K. Yoon(2008), A Study on Quality of Life among Low Income, Alone-Living Elderly, The Graduate School of Kukje Theological University and Seminary, pp.1-16. 

  18. I.J. Lee(2007), Sex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sychosocial Factors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rson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36(1);159-179. 

  19. M.J. Kim(2015), The Effects of Life Habits of Some Elders on Subjective Symptoms of Periodontal Disea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5(3);425-433. 

  20. https://www.kihasa.re.kr/html/jsp/publication/policy/list.jsp 

  21. Y.D. Song, J.A. Son, S.M. Park(2010), An Analysis of Eco-systematic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who are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30(2);643-660. 

  22. S.R. Woo, B.I. Seo, C.H. Han(2010), The Impact of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The Journal of East-West Medicines, Vol.35(2);39-71. 

  23. S.L. Choi, S.H. Jeong, H.S. Bae, Y.A. Ryu, Y.H. Choi, K.B. Song(2005), A Survey of Denture Satisfaction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Recipients of the Senile Prosthetic Restoration Program for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29(4);474-483. 

  24. C.S. Park, S.Y. Park(2015),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Condition and Oral Health Behavior on Happiness in the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5(3);443-4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