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지역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만족도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Rural Elderly Women Living Alone and Their Life Satisfaction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7 no.3, 2016년, pp.254 - 261  

김하정 (대한간호협회 보건진료소장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degree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life satisfaction and effec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on life satisfaction in rural elderly women living alone.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was conducted with 189 r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같은 선행연구에 비추어 볼 때 독거여성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만족도는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되나, 농촌지역 여성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최근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13].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 지역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며, 건강증진행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농촌 지역 독거여성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농촌 지역 여성독거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 정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농촌 지역 여성독거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농촌 지역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며, 건강증진행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여성독거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지역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삶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농촌 지역 여성독거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 정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농촌 지역 여성독거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6월 10일부터 6월 30일까지이며, 전라남도의 4개 군의 15개 보건진료소에 내소한 대상자들을 상대로 189명을 편의추출하였다.
  • 또한 연구도구개발자들에게 이메일과 문자를 통하여 도구사용의 목적과 논문에 대해 설명하고 승인을 받은 후 수행하였다. 자료수집 전 보건진료소에서 노인간호업무를 담당한 보건진료소장에게 연구의 목적과 진행절차에 대해 설명한 후 협조를 구하였다. 또한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연구방법을 설명하고 익명성 보장과 연구결과는 연구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것과 연구참여 도중 어느 때라도 연구참여를 철회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서면 동의서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 지역의 여성노인의 통계학적 특징은 어떠한가? 농촌 지역 여성독거노인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에서 농촌 지역 여성독거노인은 위태로운 농촌구조를 지탱하고 있는 가치있는 생산인구이자 친화력을 지닌 존재라고 제시하였지만[3], 농촌 지역의 여성노인들은 열악한 주거환경과 과도한 농사일 등으로 3개 이상의 복합질병을 가지고 있는 비율이 40.8%이며, 관절염과 만성질환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4,5], 배우자의 사별 이후 15년 이상 혼자 살고 있는 경우가 전체의 51%를 차지하고 있으며, 월 평균 100만원 미만의 용돈으로 생활하고 있는 비율이 45.4%로 경제적 어려움과 고독감을 느끼고 있었다[5,6]. 특히 과반수 이상이 자신의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인식하고 있고, 운동능력에 문제가 있으며, 사회적 활동정도가 낮아 농촌 지역 여성노인의 삶의 질이 위협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7].
농촌 지역 여성독거노인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에서 제시한, 농촌 지역 여성독거노인이란 어떤 존재인가? 농촌 지역 여성독거노인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에서 농촌 지역 여성독거노인은 위태로운 농촌구조를 지탱하고 있는 가치있는 생산인구이자 친화력을 지닌 존재라고 제시하였지만[3], 농촌 지역의 여성노인들은 열악한 주거환경과 과도한 농사일 등으로 3개 이상의 복합질병을 가지고 있는 비율이 40.8%이며, 관절염과 만성질환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4,5], 배우자의 사별 이후 15년 이상 혼자 살고 있는 경우가 전체의 51%를 차지하고 있으며, 월 평균 100만원 미만의 용돈으로 생활하고 있는 비율이 45.
본 논문에서 수행한, 농촌 지역 여성독거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실험의 결과는 어떠한가? 농촌 지역 여성독거노인은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만족도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건강증진행위의 세부항목인 건강진단 및 상담, 영양 및 식생활, 일상생활관리, 운동 및 활동, 스트레스 관리는 삶의 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흡연 및 음주 항목은 낮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농촌 지역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건강증진행위의 실천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건강증진행위 중 영양 및 식생활이 가장 유의하게 나타나 이러한 건강관리를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tatistics Korea. 2015 elderly statistic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5 October 1]. Available from: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48565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on survey of the elderly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cited 2015 June 10]. Available from: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8&CONT_SEQ318518&page1 

  3. Hwang JY. The image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rural area: Work, leasure, family relation and body. Korean regional communication research association. 2012;16(2):141-168. 

  4.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3 survey on the Korean women farmers [Internet]. Seoul: Munwonsa. 2014 [cited 2015 June 10]. Available from:http://www.mafra.go.kr:8080/new_woman/bbs/detail.php?board_idbbs8&content_uid670 

  5. Park SM, Han MA, Park J, Lee MJ, Moon KR, Choi SS. Association betwee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mong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4;34(4):691-704. 

  6. Bae JH. Effect of residential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among rural elders. The Korea Association of Community Welfare. 2012;42:1-25. http://dx.doi.org/10.15300/jcw.2012.09.42.1 

  7. Jeong MH. Associations between family and social rela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women living alone [dissertation]. [Gwangju]: Chosun University; 2014. 36 p. 

  8. Choi HS, Ha JC.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2;23(3):559-568. 

  9. Kim MS, Ko JW. The effect of the elderly's leasure activity on their health and the mediating role of family support. International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013;60:35-54. 

  10. Kang HJ. Social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ife in female elders living alone in rural area. The Center for Social Welfare Research Yonsei University. 2009;21:1-26. 

  11. Lim YJ, Choi YS. Dietary behaviors and seasonal diversity of food intake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as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family in Gyeongbuk rural area.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2008;13(5):620-629. 

  12. Yi ES. The mediative effect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calisthenics participation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for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the rural area.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09;38(1):683-697. 

  13. Kim HJ. Rural elderly women living alone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life satisfaction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6. 58 p. 

  14.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87;36(2):76-81. http://dx.doi.org/10.1097/00006199-198703000-00002 

  15. Seo IS. Health knowledge level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0;20(2):1-28. 

  16. Choi SJ.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asuring scale of he concept of life satisfaction.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Culture. 1986;49:233-258. 

  17. Shin HS. A study on the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community living elderly [master's thesis]. [Jeonju]: Chonbuk National University;2007. 54 p. 

  18. Kim YE. Social activities,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community elderly[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4. 62 p. 

  19. Lee CI, Hong GJ, Lee WU. The effects of participating senior exercise program on successful aging-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lifestyle changes. Korea Academy of Care Management. 2014;13:47-67. 

  20. Chung SD, Lee SH. Change in life satisfaction of Korean elderly:Comparisons of 1994, 2004, 2008 national survey results on the elderly life conditions and welfare need.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1;31(4):1229-1246. 

  21. Kim HR. Comparison of prevalence for osteoarthritis and its risk factors between age 60-74 and 75 and over.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3;15(4):219-229. http://dx.doi.org/10.7586/jkbns.2013.15.4.219 

  22. Choi YH, Kim YH. The study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the elderly.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1;18(3):103-115. 

  23. Yoon SN, Lee JY.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affecting factors of aged women in urban and rural area.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5;16(1):13-22. 

  24. Choi YH.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solitary elderly in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4;21(2):87-100. 

  25. Patil R, Uusi-Rasi K, Kannus P, Karinkanta S, Sievanen H. Concern about falling in older women with a history of falls: Associations with health, functional ability,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Gerontology. 2014;60(1):22-30. http://dx.doi.org/10.1159/000354335 

  26. Morishita M, Kawasaki R, Nakao R, Hanzawa S. The correlation of the QOL of the elderly women aged 75 years and older living alone with their length of residence, their lifestyles and their health. Nagasaki University's Academic. 2007;19(2):31-41. 

  27. Lee HS.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focu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habits, mental health, chronic diseases, and nutrient intake status: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2010-2012.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14;19(5):479-489. http://dx.doi.org/10.5720/kjcn.2014.19.5.479 

  28. Park W. Study on the effect of daily activitie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y in rural community [master's thesis]. [Suncheon]: Suncheon National University; 2015. 84 p. 

  29. Choe JS, Kwon SO, Paik HY.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2004;29(1):29-4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