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탈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renting Stress in North Korean Refugee Fathers on Their Parenting Behavior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2 no.3, 2016년, pp.182 - 189  

이인숙 (한남대학교 간호학과) ,  전정희 (하나원 통일부 사무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parenting stress in North Korean refugee fathers on their parenting behavior. Methods: A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during 2014 and 2015 in a settlement support center for North Korean refugees and 99 North K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자녀 양육에 있어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현실에서 선행연구는 주로 북한이탈 어머니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1,11,16], 사회적응과 경제적 부양의 부담이 큰 북한이탈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에 대해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이탈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것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올바른 자녀 양육과 더불어 이들 가족의 한국사회의 성공적 정착을 돕는데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북한이탈 아버지들이 남한사회 정착에 있어서 수반되는 여러 적응과정 중에 양육행동과 양육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여 이들 자녀들이 남한사회에서 올바르게 성장, 발달하고 적응할 수 있는 아버지 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북한이탈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양육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행동과 부정적 양육 행동에 영향을 주는 양육스트레스에 대해 제시함으로 일부 북한이탈 아버지의 양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아울러 대상자의 30% 이상이 임상적 중재가 필요한 수준의 양육스트레스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녀양육행동이란 무엇인가? 부모는 자녀가 출생 후 최초로 접하는 가장 가까운 인적환경이며 자녀의 지적,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자녀양육행동이란 부모와 자녀 간에 일어나는 일반적인 행동 양식이며 부모-아동 상호관계 속에서 아동의 인지, 정서, 성격뿐 아니라 전반적인 아동 성장,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행동이다[1]. 이러한 양육행동에는 양육스트레스와 부모효능감,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등이 영향을 주며, 특히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2-6].
양육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이러한 양육행동에는 양육스트레스와 부모효능감,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등이 영향을 주며, 특히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2-6]. 양육스트레스란 부모역할을 수행하면서 일상적으로 지각하는 스트레스 로서 부모가 자녀 양육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 신체적 피로와 함께 심리적 부담감을 경험하며 부모 특성에 의해 스트레스는 정도의 차이가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자녀에게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게 된다[7]. 최근의 아버지 역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가부장적인 사회에 서의 아버지 역할이 보다 적극적이고 직접적 양육으로 전환되면서 아버지 역시 자녀 양육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역할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아버지 역시 양육에 대한 부담과 스트레스가 많을 것으로 예측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양육스트레스란 부모역할을 수행하면서 일상적으로 지각하는 스트레스 로서 부모가 자녀 양육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 신체적 피로와 함께 심리적 부담감을 경험하며 부모 특성에 의해 스트레스는 정도의 차이가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자녀에게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게 된다[7]. 최근의 아버지 역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가부장적인 사회에 서의 아버지 역할이 보다 적극적이고 직접적 양육으로 전환되면서 아버지 역시 자녀 양육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역할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아버지 역할과 재적응이 요구되므로 아버지 역시 양육에 대한 부담과 스트레스가 많을 것으로 예측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Lee IS, Park HR, Park HJ, Park YH.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Efficacy, Adaptation Stress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Mothers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n. Journal of Korean Academic Child Health Nursing. 2010;16(4):360-368. http://dx.doi.org/10.4094/jkachn.2010.16.4.360 

  2. Vaughan EL, Feinn R, Bernard S, Brereton M, Kaufman JS. Relationships between Child Emotional and Behavioral Symptoms and Caregiver Strain and Parenting Stress. Journal of Family Issues. 2013;34(4):534-556. http://dx.doi.org/10.1177/0192513X12440949 

  3. Kim KE. Th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father's parenting stres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 16(7):4566-4575. http://dx.doi.org/10.5762/KAIS.2015.16.7.4566 

  4. Shin JY, Hwang HY. The effects of family income,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2008;10(3):101-122. 

  5. Purewal S, van den Akker O. The socio-cultural and biological meaning of parenthood.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and Gynaecology. 2007;28(2):79-86. http://dx.doi.org/10.1080/01674820701409918 

  6. Kim GY, Shin HY. A study on variables related to paternal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2013;9(2):191-213. 

  7. Abidin, RR. (1995). Parenting Stress Index, Third Edition: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8. Ministry of Unification. 2015 North Korean defectors status [Internet]. Seoul: Unikorea; 2015 [cited 2016 February 4]. Available from:http://www.unikorea.go.kr/content.do?cmsid3099 

  9. Jeon JH. (Hanawon, Official, Dept of Nursing). Conversation with Lee IS (Dept. of Nursing, Hannam University). 2016 March 26. 

  10. Rodriguez J, Umana-Taylor A, Smith EP, Johnson DJ. Cultural processes in parenting and youth outcomes: examining a model of racial-ethnic socialization and identity in diverse populations. Cultural Diversity & Ethnic Minority Psychology. 2009;15(2):106-111. http://dx.doi.org/10.1037/a0015510 

  11. Kwon JY, Jo HY, Kim MY. The effect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renting characteristics on behavioral problems of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3;17(4):275-296. 

  12. Yoo JA. Characteristics of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orn in South Korea [Master's thesis]. Seoul: Sogang University;2015. p.1-82. 

  13. Osman F, Klingberg-Allvin M, Flacking R, Schon UK. Parenthood in transition-Somali-born parents' experiences of and needs for parenting support programmes. BMC International Health and Human Rights. 2016;16:7. http://dx.doi.org/10.1186/s12914-016-0082-2 

  14. Johnson JG, Smailes E, Cohen P, Kasen S, Brook JS. Anti-social parental behaviour, problematic parenting and aggressive offspring behaviour during adulthood: A 25-Year longitudinal investigation.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2004;44(6):915-930. http://dx.doi.org/10.1093/bjc/azh041 

  15. Park YS. A study on the solving method and deviant behaviors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orrectional Discourse. 2009;3(2):1-23. 

  16. Kim SN, Yang OK.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among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Social Work Practice & Research. 2015;12(1):5-38. 

  17. Park JW. Children's peer competence in relation to maternal parenting goals, parenting behaviors,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peer relation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1.p.1-120. 

  18. Kim HW, Park YS. Parenting stress and family functioning among militaries family with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2009;.27(2):27-40. 

  19. Kim HS.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frequency and parental demand for mature behavior on their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s.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And Education. 2010;64(10): 155-177. 

  20. Park MH, Seo BE, Kim MY. The effect of parents' income and education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 attitudes and teacher factors. Asian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2015;13(1):37-54. 

  21. Newman K, Harrison L, Dashiff C. Davies S.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yle and risk behaviors in adolescent health: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Revista Latino-Americana Enfermagem. 2008;16(1): 142-150. 

  22. Kim JJ, Chong BH, Oh MH. A study on parenting stress of disabled children's fathers in IT era.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2013;8(2): 363-370. http://dx.doi.org/10.13067/JKIECS.2013.8.2.363 

  23. Song JS, Song JY. A study on parenting competence, spousal support, and child rearing stres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09;14(6):185-205. 

  24. Parkes J, Caravale B, Marcelli M, Franco F, Colver A.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European cross-sectional survey.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2011;53(9):815-821. http://dx.doi.org/10.1111/j.1469-8749.2011.04014.x 

  25.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Family pediatrics: Report of the task force on the family. pediatrics. 2003;111:1541-1543. 

  26. Berry JW. Acculturation: Living successfully in two cul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005;29(6):697-712. http://dx.doi.org/10.1016/j.ijintrel.2005.07.013 

  27. Baek GS, Kwon YS. The effe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ypes on the adaptation of adolescent school life.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2004;6(2):87-99. 

  28. Caughlin JP, Koerner AF, Schrodt P, Fitzpatrick MA.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family relationships. In: ML. Knapp & JA. Daly, editors. The Sage handbook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2011.p.679-7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