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과 임상수행 능력에 관한 연구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원문보기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ed the association among the clinical performance, self-concept of the nursing profess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the university nursing students who was experienced Grade 3 a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ed the association among the clinical performance, self-concept of the nursing profess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the university nursing students who was experienced Grade 3 and Grade 4 studen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presented with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Differences in clinical performance, professional nursing self-concept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according to the degree of general characteristic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ere analyzed from $Scheff{\acute{e}}$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reveal the effective indexes for Clinical Competence of the subjects. The suitable significance was 0.05 Results Total 318(23 males and 295 females) participants were joined in this stud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the nursing stud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university satisfaction, academic record, major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practice, satisfaction amount of practice(p<0.001).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significant (F=83.081, p<.001). The higher clinical competence was (${\beta}=.168$, p=.001), the higher professional self-concept was(${\beta}=.051$, p<.001). The explanation power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34.5% in clinical competence. Conclusions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am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linical performance in the nursing student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ed the association among the clinical performance, self-concept of the nursing profess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the university nursing students who was experienced Grade 3 and Grade 4 studen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presented with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Differences in clinical performance, professional nursing self-concept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according to the degree of general characteristic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ere analyzed from $Scheff{\acute{e}}$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reveal the effective indexes for Clinical Competence of the subjects. The suitable significance was 0.05 Results Total 318(23 males and 295 females) participants were joined in this stud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the nursing stud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university satisfaction, academic record, major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practice, satisfaction amount of practice(p<0.001).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significant (F=83.081, p<.001). The higher clinical competence was (${\beta}=.168$, p=.001), the higher professional self-concept was(${\beta}=.051$, p<.001). The explanation power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34.5% in clinical competence. Conclusions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am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linical performance in the nursing student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수행 능력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임상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간호교육과 실습현장의 질적 향상을 기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수행 능력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 시 대상자에게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설명하고 서면 동의를 얻은 후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연구대상자가 설문작성을 원하지 않는 경우 언제라도 철회가 가능하다는 내용과 연구 자료의 익명성과 비밀보장에 대해 설명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들로부터 총 350부의 설문지가 수거되었으며, 이 중 일부 문항의 응답이 누락된 32부를 제외한 31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수행 능력을 파악하고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3,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하하였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수행 능력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임상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수행 능력은 서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은 임상수행 능력의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임상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한 연구로 간호대학생의 간호교육과 실습현장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일개 간호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점과 더욱 다양한 일반적 특성을 연구에 포함하지 못한 제한점을 갖고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전체 간호 대학생에게 일반화하는 데에 신중하게 해야 할 것 지역과 대학을 확대시켜 반복 연구를 할 것을 제언한다.
제안 방법
둘째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수행 능력에 차이를 파악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성별, 연령, 학년, 학과성적, 전공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 실습동료와의 관계, 실습량 만족도 등을 조사하였으며,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수행 능력을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2016년 4월 20일부터 2016년 5월 2일까지 C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 간호학과 학생 중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3학년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 시 대상자에게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설명하고 서면 동의를 얻은 후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연구대상자가 설문작성을 원하지 않는 경우 언제라도 철회가 가능하다는 내용과 연구 자료의 익명성과 비밀보장에 대해 설명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들로부터 총 350부의 설문지가 수거되었으며, 이 중 일부 문항의 응답이 누락된 32부를 제외한 31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임상 수행능력 정도의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Scheffé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임상 수행능력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임상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모형의 적절성을 확인한 결과 잔차의 독립성 검증인 Durbin-Wastson test에서 d=1.
이론/모형
비판적 사고성향은 박선환6)이 개발하고 고금자7)가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이 도구는 4개의 하위영역인 지적 열정과 건전한 회의성(7문항), 지적 정직(6문항), 신중성(4문항), 객관성(3문항)으로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전문직 자아개념 도구는 Arthur8)가 개발한 전문직 자아개념(Professional Self Concept of Nurses Instrument: PSCNI) 도구를 송경애와 노춘희4)가 번안하여 간호 대학생에게 적합하도록 수정한 서원희9)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렇지 않다’ 1점에서 ‘그렇다’ 5점 척도의 자가보고 도구로 총 27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임상수행능력 도구는 이원희10)이 개발하고 최미숙11)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임상수행 능력에 관한 5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간호과정 11문항, 간호기술 11문항, 교육 및 협력 관계 8문항,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6문항, 전문직 발전 9문항인 총 4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성능/효과
마지막으로 임상실습 만족도와 실습량 만족도에서 만족한다는 집단이 보통 또는 불만족이라는 집단보다 비판적 사고 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F=10.977. p=<.001) (F=9.148. p=<.001).
주관적 학업성적과 전공 만족도에서는 만족, 보통, 불만족이라는 집단 순으로 비판적 사고 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16.518. p=<.001)(F=9.251. p=<.001).
실습동료와의 관계 만족도는 ‘만족’ 228명(71.7%)으로 가장 높았으며, 실습량 만족도는 ‘만족’ 90명(28.3%), ‘보통’ 169명(53.1%), ‘불만족’ 59명(18.6%)이었다[Table 1].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수행 능력에 대해 분석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대학 만족도, 주관적 학업성적, 전공 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 실습 동료와의 관계 만족도, 실습량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대학 만족도에서 만족한다는 집단과 보통이라는 집단이 불만족이라는 집단보다 비판적 사고 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F=5.267. p=.006). 주관적 학업성적과 전공 만족도에서는 만족, 보통, 불만족이라는 집단 순으로 비판적 사고 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16.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수행 능력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395, p=<.001),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 역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366, p=<.001).
또한 전문직 자아개념과 임상수행 능력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567, p=<.001)[Table 3].
001).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임상 수행 능력 정도는 연령, 대학 만족도, 주관적 학업성적, 전공 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 실습 동료와의 관계 만족도, 실습량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30세 이상이 29세 미만의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F=3.
024). 대학 만족도, 주관적 학업성적, 전공 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 실습량 만족도에서는 만족, 보통, 불만족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실습 동료와의 관계 만족도에서는 만족이라는 집단이 보통 또는 불만족이라는 집단보다 유의하게 나타났다[Table 2].
다중 회귀분석 결과, 전문직 자아개념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 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설명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F=83.081, p<.001),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두 변수의 설명력은 34.5%이었다.
즉 비판적 사고 성향(β=.051, p<.001)이 높을수록, 간호 전문직 자아개념(β=.168, p=.001)이 높을수록, 임상 수행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모형의 적절성을 확인한 결과 잔차의 독립성 검증인 Durbin-Wastson test에서 d=1.518로 수용기준에 부합하여 잔차의 자기상관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의 경우 연령, 주관적 학업성적, 전공 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 실습 동료와의 관계 만족도, 실습량 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판적 사고성향에 관한 결과에서 연령에 따라 비판적 사고성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는 연령이 높은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다는 양승애 등12)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였다.
본 연구의 전문직 자아개념 평균을 직접적으로 결과에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5점 만점 기준으로 평균 3.19점을 나타냈으며, 이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동일한 도구를 사용한 서원희9)의 연구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가 4년제 간호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3년제 간호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한 서원희9)의 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비판적 사고성향과 마찬가지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0세 이상에서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아진다는 서원희9)의 연구결과가 본 연구의결과를 지지한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 임상수행 능력을 살펴본 결과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4학년이 3학년에 비해 임상수행 능력이 높았다. 간호 대학생들은 임상실습 상황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임상상황에 따른 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간호과정을 적용하게 되는데, 다양한 실무경험이 많은 4학년이 3학년에 비해 임상 수행 능력이 높게 측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수행 능력간의 관계는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및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임상수행 능력 정도가 높고,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상수행 능력을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모두 임상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며, 34.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수행 능력간의 관계는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및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임상수행 능력 정도가 높고,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상수행 능력을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모두 임상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며, 34.5%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수행 능력 향상을 위해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필요함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수행 능력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임상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수행 능력은 서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은 임상수행 능력의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 능력 향상을 위해 간호 교육과정 및 임상실습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 형성을 위한 교육이 요구된다.
후속연구
그러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비판적 사고성향 점수가 높았다는 신경림 등13)의 연구결과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4학년이 3학년보다 비판적 사고성향 점수가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본 연구를 진행한 C 시의 일개 간호대학의 학과 교육과정을 살펴보았을 때 4월 실습을 마친 3학년 학생들에 비해 4학년 실습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아 3학년이 4학년에 비하여 현저한 실습량의 차이가 없었기 때문이라 여겨지며, 추후 조사 시점을 달리하여 연구해볼 필요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간호교육의 4년제 일원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으며, 간호교육 4년제 일원화를 위한 고등교육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전국의 많은 3년제 간호과의 4년제 간호학과 승격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가 일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이러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아진다는 서원희9)의 연구결과가 본 연구의결과를 지지한다. 그러나 23-24세 이하에서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게 나타난 박미숙 등14)의 연구와 연령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은 차이가 없다고 주장한 강현옥15)의 연구 결과와는 차이가 있어 연령에 따른 간호 전문직 자아개념의 관계를 확실히 증명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며, 추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여겨진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임상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한 연구로 간호대학생의 간호교육과 실습현장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일개 간호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점과 더욱 다양한 일반적 특성을 연구에 포함하지 못한 제한점을 갖고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전체 간호 대학생에게 일반화하는 데에 신중하게 해야 할 것 지역과 대학을 확대시켜 반복 연구를 할 것을 제언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의 내용은?
간호교육은 전문직 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전문지식 함양을 위한 이론교육과 임상실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습교육을 병행하게 되며, 최근에는 이론교육에서 학습한 전문지식을 임상실습에 원활하게 적용시키기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의 간호교육 인증평가 내용은?
이러한 간호교육의 평가를 위해 최근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간호교육 인증평가 시 교육성과의 측정개념으로 비판적 사고능력, 임상수행 능력, 의사소통 능력, 인간의 이해 능력 및 직업관, 지도능력 등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1).
간호 교육과정 및 임상실습 과정에 비판적 사고 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 형성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수행 능력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임상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수행 능력은 서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은 임상수행 능력의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 능력 향상을 위해 간호 교육과정 및 임상실습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 자아개념 형성을 위한 교육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21)
박지원, 김춘자, 김용순, 유문숙, 유혜라, 채선미, 안정아.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 효능감, 리더십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학교육, 2012;24(3):223-231.
N. C. Facione, P. A. Facione, C. A. Sanchez.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s a Measure of Competent Clinical Judgement: The Development of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1994;33:345-350.
양진주.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9;15(2):159-16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