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외식시장에서의 한식 글로벌 창업전략
Global Entrepreneurial Strategy of Korean Cuisine for Advancing into US Dine out Market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1 no.3, 2016년, pp.169 - 176  

박재환 (중앙대학교 경영학부) ,  김재홍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 한식은 케이팝스타 스타들의 활약과 더불어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세계적인 음식 추구 성향도 "fast food"에서"slow food"로 바뀌면서 건강식으로 알려진 우리 "한식"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 한식은 세계인의 선호도 등에서 일본의 스시, 중국의 딤섬, 이태리의 피자나 파스타뿐만 아니라 태국, 베트남의 쌀국수, 심지어 인도네시아나 중동음식에도 뒤쳐져 있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세계인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우리의 맛과 향 등을 외국인의 선호에 맞게 변화시키는 현지화전략의 실패를 원인으로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지화전략을 통하여 미국 현지에서 성공한 현지 한식업체들의 사례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미국외식시장에서의 글로벌 창업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글로벌 성공창업전략으로 첫째, 한인이 아닌 현지인을 주 고객으로 하는 영업전략 둘째, 우리 전통방식이 아닌 현지인 눈높이에 맞춘 맞춤형전략 마지막으로 투철한 '창업가정신'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ur Korean cuisine, due to growing interests in Korean culture along with outstanding performance of K-pop stars, is attracting worldly attention. As the worldly food pursuit tendency is changing from"fast food" to "slow food", preference for our Korean cuisine, which is well-known for its healthi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한식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와 이와 관련된 해외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성공적인 현지 업체들의 실증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므로 실질적인 사례연구를 통하여 성공창업의 성공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우리 한식의 새로운 가능성까지 탐색해 보고자한다.
  •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우리“한식”에 대한 문제점과 미국시장에 진출한 다수의 국내 외식기업은 거듭되는 폐점과 실제 영업성과가 미미한데 비해 현지 이들 업체들의 괄목할 성장은 미국 내 성공창업전략 관점에서 반드시 눈여겨 볼 대목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국 내 현지화에 성공한 이들 업체들의 직접적인 사례연구로 시사점을 도출하려고 한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미국 내 현지화에 성공한 한식업체들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미국외식시장에서의 한식글로벌창업전략을 위한 정책방안 세 가지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 분야에서 국제적 경쟁이 치열한 이유는 무엇인가? Kim(2005)에 따르면 21세기는 우수한 식품을 개발하여 국가이익을 창출하기 위한 국제적 경쟁이 치열해서 “식품전쟁의 시대” 또는 “음식전쟁의 시대”라고 일컫는다. 식품분야가 경쟁이 치열한 이유는 각 국가별로 식품 분야를 미래의 고부가가치 분야로 인식하고 식품을 하나의 문화자산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20세기가 자동차, 반도체로 대표되는 제조업이 세계의 경제를 이끌었다면 21세기는 문화가 경제동력이 되는 시대라고 한다.
현지화 전략이 성공한 예시는 무엇인가? 이들 업체 상당수가 지배인과 주방장등을 한국에서 데려와 한국적인 맛을 선보이는데 미국 현지 한식당에서 외국인 셰프를 고용하고 인테리어 또한 현지인들의 취향에 맞추는 현지화전략과 상충된다. 불고기, 갈비를 전문으로 하는 현지 한식당에서 멕시코인 등 남미 인종이 많이 분포한 지역에서는 타코를 사용하고, 베트남이나 태국 등 동남아시아 인종이 많은 곳에서는 월남쌈과 자체 개발한 간장 소스를 사용하여 성공하고 있다. 지역적이고 문화적인 성향을 고려한 철저한 시장조사와 부단한 메뉴개발을 통한 현지화 전략이 성공 창업의 요인이 될 것이다.
음식산업 발전의 부가적인 성과로 무엇이 있는가? 9조 달러로 자동차 시장의 3배, IT의 1.5배로 산업의 규모가 커 경제적효과가 클 뿐만 아니라 문화, 의학, 유통 산업 등으로 파급잠재력이 아주 높은 시장으로 표면적인 성과로 한 국가의 식문화가 외국으로 전해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부가적인 성과로는 음식산업과 연계된 농·식품산업, 식자재산업, 관광산업, 문화콘텐츠, 발전 인력수출을 통한 고용창출 효과 등 관련 산업의 동반 성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Noh(2010)은 음식산업이 전후방 연관 산업의 효과가 매우 커서 산업연관분석에 따른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가 전자부품 산업에 비해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i, S. C.(2011), The Roy Choi bring into vogue 'food truck' in America. The JoongAng Ilbo, Retrieved from http://news.joins.com/article/5691305 

  2. Daniel, I.(2014), Harvard Entrepreneur Bible, Seoul: Da San Books Press. 

  3. Daniel, I.(2015), Global Hallyu, Korea Foundation 2015, Ministry of Foreign Affairs, Korea. 

  4. Daniel, I.(2012), Hallyu( psy, etc) Assessment, MicroMil Embrain, Research Report, 2012(11) 48-54. 

  5. Jang, S. C. Ha, A. & Silkes, C. A.(2009), Perceived attributes of Asianfood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merican customers,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28(2), 63-70. 

  6. Jeon, H. K. Kim, Y. S. & Kim, H. R.(2009), R&D Plan for Agriculture food and Korean Food Globalization in RDA,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14(1), 12-20. 

  7. Jin, S. C.(2009). LA BCD Tofu House Lee Hee Sook, LA Korea Daily, Retrieved from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911265. 

  8. Lee, M. A.(2008), Global Strategy of Korean Food, Korean Food Research Institute,41(4),2-15. 

  9. Keller, K. L.(2001), Building Customer -Based Brand Equity, Marketing Management, 10(2),15-19. 

  10. Kim, J. S.(2005), Universalizing Korean Food, Korea Society of Food Culture, 20(5), 499-507. 

  11. Kim, T. H.(2010), The Result of Hansik Globalization and Future Task(2010), Korean Tourism Policy, Korean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42, 89-93. 

  12. Kim, T. H.(2009), Korea Food Service Information, (458-577) Seoul, Korea Food Service Year Book 2009. 

  13. Lee, C.(2014), Roy Choi, The Key to Success in Restaurant Business, LA The Korea Times, Retrieved from http://fcccq.com/Next_Generations_News/15186 

  14. Lim, H. J, Lee I H, Suk W H, Lee J M, & Choue R W (2010), Evaluation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and Yak-sun among nationalities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n foods and Yak-sun among nationalities of foreigner living in Korea, Korean J Food Culture 25, 671-679. 

  15. Min, K. H.(2010),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on Korean food in Australia.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6, 92-102. 

  16. Nah, D. S. & Lee. C.(2010), Fundamental research for making design-model toward launch & development of Korean franchised-fast food cuisine in US market, -based on successful cases in US market, Korea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1(6), 169-181. 

  17. Noh, K. S.(2010), A Study of Preference and Satisfaction Degrees on the Korean Food for Its Globalization,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d School of Sungshim Women's University. 

  18. Park, H. Y, Ahn M. H, Kim, B, H & Kim, N, H.(2014), Study on Preferences Perception of Koreans and Non-Koreans Residing in Korea Regarding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The East Asia Society of Dietary Life, 24(2),155-16. 

  19. Peter F. D.(2004),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Seoul :The Korea Economic Daily Press. 

  20. Seo, J. O. Kwak, Y. S. & Yoo, J. S.(2001), A Study on the Korean Restaurant'within the US Market's Strategy through the Survey of Ethnic Cuisine, Food 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4(1), 125-147. 

  21. Sim Y, J. Jeong. B, M. Kim, E. S. & Joo, N. M.(2000), A survey for the international spread of Korean food from the Korean residents in the U. S.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16(3), 210-215. 

  22. Song, C. Z.(2011), Korean Some Thought on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 Globalization from Below, Innovation and Democratization of Korean Food.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10(3), 28-35. 

  23. Yu, K. H. (2014), The review of LA famous restaurant, Seoul : Hyejiwon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