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영역 분석 연구 -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Contents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 Focused on the Units of 'Adolescence Consumption Life'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28 no.2, 2016년, pp.79 - 93  

주수언 (동국대학교 사범교육대학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의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을 지속가능발전교육프레임워크(framework)로 분석하여 현재 가정교과의 지속가능발전교육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향후 미래지향적 관점으로 지속가능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과정 구성과 교육내용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12종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가정교과서 중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이다. 분석방법은 Romey의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여 ESD 내용요소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에서 공통으로 추출된 내용요소들을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분석준거(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영역)로 분석한 결과 23개의 관련 주제에 따른 하위 내용요소들로 구성되었다. 둘째, 중학교 12종 가정교과서의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 내용요소를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세 영역으로 분석한 결과, 사회적 영역(68%), 경제적 영역(58%), 환경적 영역(40%)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청소년 소비자의 역할이 주체적인 소비자에 중점을 두었고, 이와 관련된 내용들이 인간의 안전, 소비문화, 사회적 관심, 단체를 조직하고 활동할 권리 등과 상당히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Adolescence consumption life' unit using framework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to examine correlation with the current Home Economics ESD, and aims to provide the base data for the composition of the educational cur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환경을 생각하는 3R(Reduce, Reuse, Recycle)(KH), 아나바다운동(GS) 등을 통하여 자원을 낭비하지 않고 환경친화적 소비 생활을 도모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하는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소비 생활(WK)을 통하여 기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내용도 소개되었다. 지역 사회 농산물을 구입하여 로컬소비(GS, CJ1, CJ2)와 벼룩시장을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화(KM)를 장려하고, 환경오염의 문제(DS, SY, CJ2)이 되는 상품이 생산, 소비되어 쾌적한 환경에서 살 권리를 침해하는 소비자 문제를 다루기도 하였다.
  • 본 연구는 2009 개정교육과정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영역의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을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프레임워크(framework)로 분석하여 현재 가정교과와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12종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실린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UNESCO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의미를 살펴보고 가정교과의 내용을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프레임워크(framework)로 분석하여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 구체적인 내용은 환경적 영역(환경적 자원, 기후 변화, 농촌 개혁, 지속가능한 도시화, 재해 예방과 완화), 경제적 영역(빈곤 퇴치, 기업의 공동책임과 의무, 시장 경제), 사회적 영역(인권/ 평화/ 안전, 양성평등, 문화의 다양성과 이해, 건강, 거버넌스)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발전교육의 원안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요소들이 지향하는 의미와 목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프레임워크를 원안대로 유지하였다. 이는 미래적 삶의 가치와 긍정적인 사회변화를 위해 필요로 하는 지식과 가치를 습득하고, 행동양식 및 생활양식을 학습하는 것을 비전으로 둔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가치와 모두의 안녕을 위한 최선의 행동을 파악하고 개인과 가정생활에서 잘 행동하고 잘 사는 것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사람(Yoo, 2007)을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두는 가정 교과의 가치가 매우 상관성이 높기 때문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교육과정의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의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을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프레임워크(framework)로 분석하여 현재 가정교과와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내용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미래지향적 관점으로 지속가능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과정 구성과 교육내용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 이 연구에서는 기술·가정 교과서 중단원 목표에 대한 ESD 분석 결과 기술·가정 교과의 특성상 지속가능발전교육(ESD) 내용이 기술부문과 밀접한 연관 관계가 많이 있음에도 교사들의 인식 조사와 교과서 분석 시도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지적하며, 기술부문에서는 사회문화적 관점과 경제적 관점의 목표 설정이 필요하고, 가정부문은 환경적 관점과 경제적 관점의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이에 본 연구는 2009 개정교육과정의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의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을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프레임워크(framework)로 분석하여 현재 가정교과와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내용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미래지향적 관점으로 지속가능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과정 구성과 교육내용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서 가정생활 영역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에 나타난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의 특성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탐색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네스코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비전을 어떻게 제시하였는가? 특히 2002년 개최된 UN총회에서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10년(UN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 DESD)’으로 선포되면서 지속가능발전의 목표는 교육문제에 있어서도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선도 기관으로 지정된 유네스코(UNESCO)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비전을 ‘모든 사람에게 미래적 삶의 가치와 긍정적인 사회변화를 위해 필요로 하는 지식과 가치를 습득하고, 행동양식 및 생활양식을 학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교육의 기회를 열어주는 것’으로 제시하였다(UESCO, 2002; McKeown, Hopkins, Rizi & Chrystalbridge, 2002). 이러한 측면에서 삶의 문제를 다루는 가정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상관성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의 가장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인가?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의 가장 궁극적인 목표는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가치를 모든 학습과정에 통합시켜, 모든 사람을 위해 더욱 지속가능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도록 하는 것이다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필요성, 가치, 내용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가정교과만의 지침서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UNESCO에서 내세우고 있는 지속가능발전(ESD)교육의 목표들은 범교과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지기 때문에 가정교과 특성에 맞는 단원 구성과 내용요소 선정을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지속가능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소비생활을 위하여 환경을 보호하고, 공정무역 물품을 구매하면서 윤리적 소비를 경험하며, 인권을 보장받을 수 있는 있는 소비문화를 지켜나가기 위한 내용요소로 단원 구성이 이루어진다면 학습자들은 보다 폭넓고 통합적인 지식체계를 갖출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필요성, 가치, 내용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가정교과만의 지침서 개발을 위한 연구와 협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Y-H (2007). A Study on analyzing and improv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The junior high school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 Buk, Korea. 

  2. Choi H-J & Jang S-G (2014). Analysi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ontents of 3-to 5-Year-Old's NURI Curriculum based on the Guiding for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8(4), 251-270. 

  3. Kim B-U & Moon Y-S (2009).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by Analyzing Contents Related to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ithin Technology. Home Economic Textbooks in High School - Based on Vehicle Chapter in Transportation Fields-. Environmental Education, 22(1), 97-109. 

  4. Kim E-J, Yoo Y-E, Shin E-S & Park, E-H (2013). An inquiry into and implication of school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s in Germany, England and Australia,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8(4), 75-100. 

  5. Kim H-S (2015). An analysis of content related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 with a focus on the seventh curriculum, revised curriculum of 2007, and revised curriculum of 2009,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6. Oh Y-J & Choi K-H (2012). Analyses and Comparison of Science Content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Environmental Education, 25(1), 89-104. 

  7. Oh Y-J & Yeum M-G (2014). Analysi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related Contents in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 Focusing on the 'Region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Unit -. Environmental Education, 27(2), 217-238. 

  8. Park M-R & Cho J-S (2010).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lan for 'Sustainable Residence Created with Neighbor',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18. 

  9. Romey W.(1980). Inquiry techniques for teaching science. Seoul : Jeonpasciecesa. 

  10. Lee S-K, Lee J-Y, Lee S-C, Lee Y-J, Min G-S & Sim S-G(2005).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을 위한 국가 추진 전략 개발 연구,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11. Lee Y-S (2010). Development of Practical Problem Based Teaching-Learning Plans and Evaluation of Its Effectiveness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 Efficacy, Ego Resilience and Happiness: Focused on the Unit 'Youth's self Management'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5(4), 79-98. 

  12. Lee S-K, Kim N-S, Kim Changook, Ju, H-S, Hwang S-Y, Kim Y-S, et al (2014). UN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13. McKeown, R., Hopkins, C. A., Rizi, R., & Chrystalbridge, M. (2002).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olkit. Knoxville: Energy, Environment and Resources Center, University of Tennessee. 

  14.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 The School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oul, Korea. 

  15. Ministry of Education & Technology (2009). The School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Seoul : Ministry of Education & Technology Development. 

  16. Ministry of Education & Technology (2015). The School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Sejong : Ministry of Education Development. 

  17. Ju S-E, Jang S-O & Yoo T-M (2011). Major concepts and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in housing content area: comparison of Home Economics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5, 578-588. 

  18. Ju S-E & Park M-S (2015). The Analysis of Core Contents in Comsumer Area from 1st to 2009 Revise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7(4), 19-35. 

  19. Yoo, T-M (2007). Clarifying the concept of praxis in Family and Consumer Science Education -In focusing of the concept of phronesis i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33. 

  20. Yoo, T-M., & Lee, S-H (2010). Practical problem focused family & consumer sciences instruction-the theory & practice. Seoul : BookKorea. 

  21. UNESCO(2002). Teaching and Learning for a Sustainable Future. http://www.unesco.org/education/tlsf 

  22. UNESCO (2005).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2014; UNESCO. http://unesdoc.unesco.org/images/0014/001416/141629e.pdf 

  23. UNESCO (2006). Framework for the UNDESD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 Draft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UNESCO.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