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민속박물관을 활용한 <의생활문화> PBL 수업 사례
Case Study of PBL applied field trip in the National Folk Museum on teaching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28 no.4, 2016년, pp.97 - 109  

신혜원 (동국대학교-서울 가정교육과) ,  이정욱 (동국대학교-서울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정교육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가정생활문화 교과내용 중 의생활문화 수업에 국립민속박물관 현장학습을 활용한 PBL 수업을 진행하였다. '국립민속박물관 의생활문화 홍보책자 만들기'라는 PBL 문제를 개발하여 가정교육과 3-4학년 23명을 대상으로 박물관이라는 실제 상황을 중심으로 설계된 수업이 1주에 3시간씩 5주간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성찰일지와 자기평가지로 PBL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였고, 박물관 현장학습의 만족도 역시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문제해결방법을 배우고 문제해결과정에서 협동과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학습의 주체임을 객관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다만 문제의 다양한 분석과 비판적/창의적 의견, 생각과 아이디어의 논리적 도출부분이 부족했다고 스스로 평가하고 있었다. 그리고 박물관 현장학습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박물관 현장학습 환경 및 진행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PBL(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PBL. This paper applied PBL to a "Culture of Clothing" class, comprised of 23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Home Economics. As part of the PBL curriculum, the class assigned students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 수업에 비해 박물관 현장학습을 활용한 PBL 수업은 신문, 잡지, 인터넷과 같은 학습자원뿐 아니라 박물관이라는 강의실 밖의 수업으로 적극적이며 활발한 상호교류 및 협동학습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으로 PBL 수업방식을 시도해보고 거기에 박물관 현장학습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즉, 가정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의・식・주・소비・여가 문화를 다루는 실용적 학문의 특성을 가져 PBL 문제제시에 적합한 가정생활문화 수업내용 중 의생활문화에 대한 이해를 위해 의생활 관련 자료가 많고 입장료가 없어 학생들에게 부담이 적은 국립민속박물관 현장학습을 활용한 PBL 수업을 설계하고 진행하여 그 수업효과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PBL의 수업효과로 학습과정에 대한 언급이주를 이루었는데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의 측면도 간과할 수 없으므로 학생들의 부담을 고려하면서 한 수업에 두 번의 PBL을 실시함으로써 내용에 대한 이해 측면도 보강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시간적 제한으로 인해 학습자들이 충분한 정보의 탐색과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한 조언 및 현장에서의 충분한 탐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 본 연구에서는 가정교육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의생활문화 수업에 박물관 현장학습을 활용한 PBL 수업을 적용하여 PBL 수업의 효과와 박물관 현장학습의 만족도를 분석하여 보았다. ‘국립민속박물관 의생활문화 홍보책자 만들기’라는 PBL 문제를 개발하여 박물관이라는 실제 상황을 중심으로 설계된 수업이 1주에 3시간씩 5주간 진행되었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통 의생활 문화에 대한 이해를 위해 박물관 현장학습을 적용한 PBL 수업을 시도하였다.
  • PBL 과정은 실생활과 연관된 비구조적 특성을 지닌 문제제시, 과제수행계획 세우기, 문제해결방안 모색하기, 발표 및 평가의 단계에 의해 이루어진다(Kang & Hong, 2009). 즉, 문제가 제시되면 학생들은 집단 협업을 통해서 이미 알고 있는 것과 알아야 할 것,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정보가 어디에 있으며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를 찾아내게 한다. 교수자의 역할은 학습과정을 관찰하고 안내하고 보조함으로써 학습을 촉진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박물관은 어떤 장소적 특수성을 가지는가? 박물관 교육은 박물관 고유의 기능과 교육적 역할이 결합되어 박물관이라고 하는 특수한 공간에서 일어나는 교육이다(Baek, 2005). 넓은 의미의 박물관 교육은 박물관에서 일어나는 교육적 의미를 지닌 모든 활동을 의미하며(Hooper-Greenhill,2003), 박물관은 유물이 기반 되는 교육장소라는 점에서 유용한 교육환경으로써 장소적으로 특수성을 지닌다(Yoo, 2014). 현재 평생교육기관이자 비형식교육기관으로서의 박물관이 지닌 교육적 특성을 반영하여, 체험과 재미가 곁들여지고 상호작용적이며 전시물이 지닌 맥락성을 중심으로 자율적인 참여를 강조하는 박물관 교육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Kang& Min, 2009).
박물관 교육 이란? 박물관 교육은 박물관 고유의 기능과 교육적 역할이 결합되어 박물관이라고 하는 특수한 공간에서 일어나는 교육이다(Baek, 2005). 넓은 의미의 박물관 교육은 박물관에서 일어나는 교육적 의미를 지닌 모든 활동을 의미하며(Hooper-Greenhill,2003), 박물관은 유물이 기반 되는 교육장소라는 점에서 유용한 교육환경으로써 장소적으로 특수성을 지닌다(Yoo, 2014).
수업효과를 분석하기위해 어떤 성찰일지와 자기평가지 양식을 사용하였는가? 수업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성찰일지와 자기평가지는 Lee(2016)가 제시한 양식을 사용하였다. 성찰일지는 ‘과제를 통해 무엇을 배웠습니까?’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였습니까?’ ‘과제를 통해 배운 것을 나의 생활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습니까?’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성공요인과 실패요인은 무엇입니까?’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다른 대안(방향/내용)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의 5개 개방형 질문을 통해 학생 스스로 성찰하도록 하였다. 성찰일지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각 문항마다 카테고리를 나누고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응답들을 빈도분석 하였다. 자기평가지는 문제해결 활동, 비판적 활동, 자기주도적 활동, 협동 활동 등 관련 10문항을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자기평가지에 대한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k R. (2005). Museum Education in the Multi-Media Era. Seoul: Yekyung. 

  2. Choi S-D et al. (2014). Promoting Core Competency Education and Building Innovative Learning Ecosystems for Fostering Talent for the Future(II) (Research Report RR 2014-16). KEDI, Seoul, Korea. 

  3. Choi J-I (2004). A study on the problem design principle for Problem-Based Learning through the case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0(1), 37-61. 

  4. Chang K-W (2015). Let's Develope the Problem. Hand Out Material. Teaching Method Workshop. 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in the Dongguk University. 

  5. Hein, G. (1998). Learning from museums: visitor experiences and the making of meaning. New York : Altamira. 

  6. Hooper-Greenhill (2003). Education, Communication and interpretation: Towards a critical pedagogy in museums. In E. Hooper-Greenhill(Ed.). The Educational role of museum. New York: Routledge. 

  7. Hmelo-Silver, Cindy E. (2004). "Problem-Based Learning: What and How Do Students Learn?".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6(3), 235-266. 

  8. Jeon M-Y & Oh K-W (2014).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BL based Education Program for Ethical Consump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6(2), 66-87. 

  9. Koo B-K (2014). Analysis of Current Research Trends in Korean Museum Education.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28(4), 123-150. 

  10. Kang I-A (2008). "The Development & Management System of Program Related Museum Exhibition", The Role and perspective in Education Program Related Exhibition. 2008 Symposium of Museum Education. 

  11. Kang I-A & Hong H-J (2009).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PBL-Based Museum Education Program; The Case Study of Natural History Museum in the Kyung Hee University. Art Education Review, 34, 1-38. 

  12. Kang I-A & Min J-A(2009). The Comparison Study of Learning effects of A PBL-Based Museum Education Program in The Oriental Medicine Museum. Art Education Review, 35, 1-31. 

  13. Kim G-S (2016). A Case Study of Problem-Based Learning in Koran Culture Class.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3(1), 1-29. 

  14. Kim H-J, Kim S, Kim H-S & Song S-M (2014). The Case Studies about Educational Effects on Problem-Based-Learning (PBL); Focus on problem solv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Journal of Parents Education, 16(1), 1-19. 

  15. Lee J-K (2016). How to evaluate PBL?. Hand Out Material. Teaching Method Workshop. 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in the Dongguk University. 

  16. Lee J-Y (2013). The use of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in a college liberal art course: A case study of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of reconsidering the awareness of unificatio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7(5), 499-521. 

  17. Lee M-J (2010). Development of PBL model for clothing & Textile section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Class - Focused on the 2007 revi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18. Lee S-H (2009). Problem based learning(PBL) on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course.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3(5), 93-101. 

  19. Lee S-H (2012). The effects of ubiquitous based learning on the fashion and consumer behavior course.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6(2), 1-12. 

  20. Lim K-W & Kim O-J (2012). The development of museum education program based on history education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3(2), 111-137. 

  21. Na S-W (2008). The importance and perspective of museum education. The Role and Perspective in Education Program Related Exhibition 2008 Symposium of Museum Education. 

  22. Shin H-Y & Kim H-R (2016). Effects and class case of problem based learning i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8(3), 33-45. 

  23. Shin S-O (1984). The use of museums as an educational media in the clothing and textile. The Journal of the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1, 1-6. 

  24. Yang K-Y (2011). New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Museum Education (Basic Research 2011-13).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25. Yoo H-N (2014). A study on case settlement play-utilized museum's youth education program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