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학 수업의 효과
Effect of mathematics instruction with students' questions using question card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9 no.3, 2016년, pp.249 - 260  

성창근 (영천초등학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질문 생성을 강화하기 위해 구안된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학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업은 학생들의 교실 문화 인식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는가? 둘째,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업은 학생들의 수학 학습 태도를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는가? 실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수학 교실 문화 인식과 수학 학습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학 수업은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발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수학 교실 문화에 대한 인식과 수학 학습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수업 전략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an instruction to enhance students' questioning, that is 'mathematics instruction with students' question using question car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Is there any signi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들이 제기하는 질문이 교수 학습에서 하는 역할은 ? 학생들이 제기하는 질문은 교수 학습에서 여러 가지 역할을 한다(Chin & Brown, 2002). 첫째, 학습자의지적 상태를 스스로 알려준다. 학습자는 자신의 지적상태의 불균형을 인지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질문을 하게 된다. 따라서 학습자의 질문은 그러한 행위가 없었더라면 알지 못했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며 이를 통해 교사는 학습자의 지식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 둘째, 학생의 질문은 수업의 방향을 안내해 준다. 학습자의 질문은 여러 가지 개념에 대해 어떤 혼란을 느끼는지 학습자가 어떻게 추론하는지, 무엇을 알고 싶어 하는지를 알려준다. 셋째, 학생들의 질문은 진단 형성평가 정보를 제공한다. 학생들의 질문은 무엇을 이해했는지 또는 이해하지 못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교사들이 학습 목표를 계획하거나 현재의 교수 프로그램을 수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교사의 질문보다 학생의 질문에 주목해야하는 이유는? 그동안 수학 교육 연구에서는 질문의 주체로서 학생보다는 교사에 초점을 맞추어왔는데(예, 박만구 김진호, 2006), 교사의 질문은 학습자의 지식 구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른 교사 질문의 특징과 질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학생이 지식 구성의 주체라는 구성주의의 핵심원리를 감안할 때 교사보다는 학생의 질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수업은 무엇인가? 수업은 교사와 학생이 만나는 활동의 장이며, 질문은 교육적인 의사소통에서 중심된 행위를 차지한다. 질문은 답을 찾고 요청하는 행위로 질문자는 질문을 함으로서 알지 못하는 것을 이해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다(이진규,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박만구.김진호 (2006). 학습자 중심의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발문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4), 425-457.(Park, M. G., & Kim, J. H (2006). An analysis on a teacher's questioning in the learner-centered mathematics lesson.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9(4), 425-457.) 

  2. 이성민 (2008). 초등학생의 교실 침묵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Lee, S. M. (2008). A study on classroom silence of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the degree of master thesis.) 

  3. 이진규 (2016).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학생 질문의 활용 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4), 223-342.(Lee. J. G. (2016). Exploring a utilization plan of student questions for a learner-centered clas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4), 223-242.) 

  4. 박홍문.김원경 (2008). 학생 질문 강화 수업의 효과 분석. 교원교육, 24(2), 252-271.(Park, H. M.,& Kim, W.K. (2008). An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 to enhance students' questioning. Korena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4(2), 252-271.) 

  5. 정주자 (2008). 초등학교 수학 학습 환경에 관한 인식 및 선호 조사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Jung, J. J. (2008).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actual and preferred elementary mathematics learning environment. Unpublished doctoral thesis.) 

  6. Biddulph, F. (1996). Children's questions in mathematics: An initial exploration.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Paper, 74-92. 

  7. Chin, C., & Brown, D. E. (2002). Student-generated question: a meaningful aspect of learning in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5), 521-549. 

  8. Cobb, P., Wood, T., & Yackel, E.(1993). Discourse, mathematical thinking, and classroom practice. In N. Minick, E. Forman, & A. Stone(Eds.), Education and Mind: Institutional, Social, and Developmental Process(pp. 91-119).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9. Cobb, P., & Yackel, E. (1996). Constructivist, emergent,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 in the context of developmental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2(3), 175-190. 

  10. Dillon, J. T. (1986). Levels of problem finding versus problem solving. Questing Exchange: A multi disciplinary review, 2(2), 105-116. 

  11. Dillon, J. T.(1986). Questioning and teaching: A manual of practice. London and Cydney: Croom Helm Ltd. 

  12. King, A. (1994). Guiding knowledge construction in the classroom: Effect of teaching children how to question and how to explain. Americal Education al Research Journal, 31(2), 338-368. 

  13. Ram, A. (1991). A theory of questions and question asking.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13(4), 273-318. 

  14. Thomas, G. (1992). Helping one another learn: Discussion in junior mathematics. Research Information for Teacher, 2(3). 56-64. 

  15. Webb, N. M. (1989). Peer interaction and learning in small group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3, 21-39. 

  16. Wong, K. Y., & Quek, K. S. (2010). Promote student questioning in mathematics lesson. Math Buzz, 11(1), Available from http://math.nie.edu.sg/ame/ 

  17. Yackel, E., & Cobb, P. (1996). Sociomathematical norms, argumentation, and autonomy in mathematics. JRME, 27(4), 458-47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