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수내 비소제거를 위한 전기투석 막여과 운전인자 연구
Operating parameters in electrodialysis membrane processes for removal of arsenic in groundwater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30 no.4, 2016년, pp.449 - 457  

최수영 (건국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근영 (건국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승주 (건국대학교 환경공학과) ,  최단비 (건국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기영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김희준 (지우이앤이주식회사) ,  권지향 (건국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electrodialysis in removing inorganic arsenic from groundwater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the electrodialysis, operating parameters such as treatment time, feed concentration, applied voltage and superficial velocity were experimentally inv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4)은 수돗물에 50~700 μg/L의 비소를 추가하여 ED 막여과를 수행한 결과 약 45분간의 운전을 통해 평균4 μg/L의 처리수를 생산할 수 있음을 밝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하수 조건에서 ED를 적용함에 있어 운전에 필요한 운전시간, 전압조건, 원수내 비소농도에따른 제거효율 등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비소가 검출된 국내 지하수를 취수하여 실제지하수 조건에서 ED를 적용하여 비소제거효율을 파악하고자 한다.
  • 구동력이 일정한 상황에서 비소보다 전기적 이 동력이 큰 여타 이온들의 농도가 높으면 ED에 의한 비소제거가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자연수계 환경에서 염이온농도가 비소제거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일감인공수를 조제하여 막여과를 수행하였다. 일 감지하수에 염화물과 비소를 첨가한 일감인공수의 수질은 Table 4에 제시되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하수 조건에서 ED를 적용함에 있어 운전에 필요한 운전시간, 전압조건, 원수내 비소농도에따른 제거효율 등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비소가 검출된 국내 지하수를 취수하여 실제지하수 조건에서 ED를 적용하여 비소제거효율을 파악하고자 한다.
  • 막표면에서 막면유속을 증가 시킬 경우 용액상의 농도가 균일해지고 계면두께가 얇아져 ED에 의한 이온제거율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본 실험은 희석조와 농축조의 막면유속 변화에 따른 비소제거 특성을 고찰하고자 인공수도수를 이용하여 막여과를 수행하였다. 희석조의 막면유속은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기투석 막여과의 구성과 작동 원리는? 전기투석 막여과(electrodialysis, ED)는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용존 이온을 분리하는 막여과 공정이다. ED시스템 모듈의 양쪽 끝단에 양극과 음극이 장착되어 있고, 이 양쪽 전극에 전압을 걸어주면 수중에 존재하는 양이온은 음극으로, 음이온은 양극으로 움직인다. 이 때 막 모듈 내 교대로 설치되어 있는 양이온 교환막 그리고 음이온 교환막에서 양이 온만 혹은 음이온만 선택적으로 분리막을 통과함으로써 한쪽 격실에서는 이온이 농축되고, 다른 쪽 격실에서는 이온제거가 일어난다(Benjamin and Lawler, 2015).
전기투석 막여과란? 전기투석 막여과(electrodialysis, ED)는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용존 이온을 분리하는 막여과 공정이다. ED시스템 모듈의 양쪽 끝단에 양극과 음극이 장착되어 있고, 이 양쪽 전극에 전압을 걸어주면 수중에 존재하는 양이온은 음극으로, 음이온은 양극으로 움직인다.
나노여과나 역삼투막여과와 비교하여 ED공정의 장점은? 정수처리에 사용되는 여타 막여과 공정이 막간압력 차이를 이용하는 것과는 달리 ED공정은 막간전위차를 사용하기 때문에, 차압을 유지하기 위해 고압펌프를 사용하는 나노여과나 역삼투막여과에 비해 전력사용량이 적은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안정적인 제거효율을 나타내며, 사용되는 분리막의 선택성에 따라 일가이온과 다가이온의 분리가 가능하고, 운전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이온 분리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n, J.S., Ko, K.S., Chon, C.M. (2007) Arsenic Occurrence in Groundwater of Korea, Korean Society of Soil Groundwater Environmental, 12(5), pp. 64-72 

  2. Ali, I., Khan, T.A., Asim, M. (2011) Removal of arsenic from water by electrocoagulation and electrodialysis techniques, Separation & Purification Reviews, 40, pp. 25-42. 

  3. Benjamin, M. M., Lawler, D.F. (2013) Water quality engineering: physical/chemical treatment processes. Wiley, New Jersey 

  4. Chakraborti, D., Mukherjee, S.C., Pati, S., Sengupta, M.K., Rahman, M.M., Chowdhury, U.K., Lodh, D., Chanda, C.R., Chakraborti, A.K., Basu, G.K. (2003) Arsenic groundwater contamination in Middle Ganga Plain, Bihar, India: A future danger?,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1, pp. 1194-1201. 

  5. Chan, P.C., Huff, J. (1997) Arsenic carcinogenesis in animals and humans: Mechanistic, experimental, and epidemiological evidence, Environmental Carcinogenesis & Ecotoxicology Reviews, C15(2), pp. 83-122. 

  6. Chen, Y.C., Su, H.J.J., Guo, Y.L.L., Hsueh, Y.M., Smith, T.J., Ryan, L.M., Lee, M.S., Christiani, D. C. (2003) Arsenic methylation and bladder cancer risk in Taiwan. Cancer Causes Control, 14, pp. 303-310. 

  7. Choi, J.H. (2004) Concentration of RO retentate by electrodialysis,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6(4), pp. 410-416. 

  8. Choi, S.Y., Kweon, J.H. (2013) Selectivity of cations in electrodialysis and its desalination efficiency on brackish wa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27(4), pp. 445-456. 

  9. Eum, O.B. (2015) Small-scale water-supply arsenic detection 'shock' http://www.gn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284588 (April 4, 2016) 

  10. Han, S.B., Zhang, F., Zhang, H., An, Y., Whang, Y., Wu, X., Wang, C. (2013)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groundwater arsenic in shallow and deep groundwater of Yinchuan plain, China, Journal of Geochemical Exploration, 135, pp.71-78 

  11. Kartinen, E.O., Martin, J. C. (1995) An overview of arsenic removal processes, Desalination, 103, pp.79-88. 

  12. Kim, J.H., Song, S.H., Lee, K.S., Lee, B.S., Kim, Y.I. (2010) Project report of groundwater under influence of seawater research,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13. Kim, Y.G., Walker, W. S., Lawler, D.F. (2012) Competitive separation of di- vs. mono-valent cations in electrodialysis: Effects of the boundary layer properties, Water Research, 46, pp. 2042-2056. 

  14.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Soil and Groundwater Information System,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2012), https://sgis.nier.go.kr/newsgis/do?CGwWsWl&A1110, (April, 15, April) 

  15. Lee, G.H., Lee, G.C. (2009) Effects of Operating Parameters on the Removal Performance of Nitrate-nitrogen by Electrodialysis, Clean Technology., 15(4), pp. 280-286. 

  16. Lide,D.R. (2000)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80st ed, CRC Press, London 

  17. Mendoza, R.M.O., Kan, C.C., Chuang, S.S., Pingul-Ong, S.M.B., Dalida, M.L.P., Wan, M.W. (2014) Feasibility studies on arsenic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s by electrodialysi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Health, Part A 49, pp. 545-554. 

  18. Min, J.H., Kim, H.S. (2008) The nitrate removal operation from ground water by electrodialysis,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22(3), pp. 307-313. 

  19. Oremland, R.S., Stolz, J.F. (2003) The ecology of arsenic, Scince, 300, pp. 939-944. 

  20. Sadrzadeh, M., Mohammadi, T. (2008) Sea water desalination using electrodialysis, Desalination, 221, pp. 440-447. 

  21. Han, S.B., Zhang, F., Zhang, H., An, Y., Wang, Y., Wu, X., Wang, C. (2013) Spatical and temoral patterns of groundwater arsenic in shallow and deep groundwater of Yinchuan Plain, China, Journal of Geochemical Exploration, 135, pp. 71-78 

  22. Strathmann, H. (1981)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Journal of Membrane Science, 9, pp. 121-189. 

  23. Tiwari, S., Sarangi, B.K., Pandey, R.A. (2014) Efficacy of three different plant species for arsenic phytoextraction from hydroponic system,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19(2), pp. 145-149. 

  24. Walker, M.S., Kim, Y.G., Lawler, D.F. (2014) Treatment of model inland brackish groundwater reverse osmosis concentrate with electrodialysis-Part I: sensitivity to superficial velocity, Desalination, 344, pp. 152-162. 

  25. Yeon, K.H., Moon, S.H. (1999) Removal of nitrate from drinking water by electrodialysis or electrodeionization,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1(1), pp. 97-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