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남녀에서 라면 섭취에 따른 대사적 지표 평가 : 2013~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Association of instant noodle intake with metabolic factors in Korea: Based on 2013~2014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9 no.4, 2016년, pp.247 - 257  

연지영 (서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윤정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2013~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정량적 식품섭취빈도조사로 분석된 라면의 섭취 빈도 및 섭취량에 근거하여, 성인 남녀의 라면 섭취 실태 및 라면 섭취 정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 상태, 대사적 지표를 비교하고 이들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성인에서 라면의 섭취 빈도는 주당 1.2회 (남성 1.4회, 여성 0.9회)였으며, 섭취량은 주당 1.2개 (남성 1.5개, 여성 0.8개)로 나타났다. 주당 1개 이상의 라면을 섭취하는 군 (라면 고섭취군)과 미만으로 섭취하는 군 (라면 저섭취군)으로 분류하여 분석시, 라면 고섭취군의 경우 라면 저섭취군에 비해 연령은 유의적으로 낮았고, 허리둘레, 혈중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영양소 섭취에서 라면 고섭취군은 라면 저섭취군에 비해 총 열량 및 지방, 나트륨 및 비타민 $B_2$의 섭취 밀도는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 탄수화물, 인, 철, 칼륨, 비타민 A, 비타민 $B_1$, 나이아신비타민 C의 섭취 밀도는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전체 대상자에서 교란인자의 보정 후 라면 섭취가 가장 높은 Q4군은 라면 섭취 정도가 가장 낮은 Q1군에 비해 고혈당의 odds ratio가 1.4 (95% CI: 1.1~1.8)였으며 (p for trend = 0.003), 여성에서는 라면 섭취 정도가 가장 높은 Q4군에서 Q1군에 비해 복부비만의 위험률이 60% (95% CI: 1.2~2.2)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for trend = 0.03). 이와 같은 결과는 라면의 섭취가 상대적으로 높은 우리나라에서 라면의 질적, 양적 섭취와 대사적 위험성을 의미하는 지표와의 관련성을 제안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될 수 있으며, 향후 라면 섭취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영양교육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ant noodle intake and metabolic factors in Korean adults. Methods: Study subjects were 5,894 (male 2,293, female 3,601) aged 19~6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2013~2014 KNHANES. Information on frequency and consump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에서 활용한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는 cross-sectional study 자료로써 라면의 양적, 질적 섭취와 대사적 지표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원인-결과의 관계를 명확히 구분할 수 없다는 제한점도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만성질환의 주요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는 나트륨의 주요 급원식품인 라면에 대하여, 국가 규모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라면의 질적, 양적 섭취에 따른 체내 대사적 지표를 분석한 연구로써의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매끼니 섭취되는 식품이 아닌 식품의 경우 24시간 회상법을 통한 데이터보다는 정량적 식품섭취빈도조사 데이터가 좀더 평상시 섭취량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정량적 식품섭취빈도조사 자료를 활용한 본 연구의 중요성은 좀 더 클 수 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가단위 대규모 데이터 중 정량적 섭취빈도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성인들을 대상으로 라면의 질적, 양적 섭취 상태 및 라면 섭취와 대사적 지표와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한 연구이다. 질적, 양적 부분을 고려하여 주당 1개 이상의 라면을 섭취하는 군 (라면 고섭취군)과 미만으로 섭취하는 군 (라면 저섭취군)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을 때, 라면 고섭취군의 경우 라면 저섭취군에 비해 연령이 유의적으로 낮았던 반면, 허리둘레, 혈중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총 열량 및 지방, 나트륨의 섭취 밀도도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2013~2014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정량적 식품섭취빈도조사를 통해 도출된 라면의 섭취 빈도 및 섭취량에 근거하여, 성인 남녀의 라면 섭취 실태 및 라면 섭취 정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 상태, 대사적 지표를 비교하고 이들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4년 자료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1년간 라면의 소비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라면의 소비는 식품시장에 매우 큰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2014년 자료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1년간 라면이 약 1,027억 4천만 개 소비되었으며, 주된 소비국가로써 중국 (444억 개), 인도네시아 (134억 3천만 개), 일본 (55억 개)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는 1년간 소비한 라면이 35억 9천만 개로 7위를 차지하였다.1 또한 전 세계적으로 1인당 라면 소비량은 연간 14.
라면이란? 라면은 간식이나 한 끼 식사 대용으로 우리나라에서 섭취 빈도가 높은 가공식품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라면의 소비는 식품시장에 매우 큰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라면은 정크푸드 혹은 건강하지 못한 식품으로 인식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같이 라면의 섭취량 및 라면을 통한 영양소의 섭취 비율이 크지만, 라면은 정크푸드 혹은 건강하지 못한 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가공식품이라는 라면의 특성상 패스트푸드이며, 1개 (serving)당 지방과 나트륨의 함량은 높은 반면 기타 무기질의 함량은 낮기 때문이다. 이에 라면 섭취와 관련된 영양섭취상태에 대한 선행연구가 일부 보고되고 있는데,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아동 및 청소년,4 성인5에서 라면 섭취군과 비섭취군의 영양섭취상태를 조사한 결과, 라면 섭취군에서 칼슘, 인, 철, 비타민 C와 같은 영양소의 영양섭취기준 대비 섭취율이 비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World Instant Noodles Association (WINA). Global demand for instat noodles [Internet]. Osaka: World Instant Noodles Association; 2014 [cited 2016 May 7]. Available from: http://instantnoodles. org/en/noodles/market.html. 

  2. World Instant Noodles Association (WINA). Instant noodles at a glance [Internet]. Osaka: World Instant Noodles Association; 2015 [cited 2016 May 7]. Available from: http://instantnoodles.org/en/ noodles/report.html.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Sej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4. Lee JS, Kim J, Hong KH, Jang YA, Park SH, Sohn YA, Chung HR. A comparison of food and nutrient intakes between instant noodle consumers and non-consumers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Nutr 2009; 42(8): 723-731. 

  5. Park J, Lee JS, Jang YA, Chung HR, Kim J. A comparison of food and nutrient intake between instant noodle consumers and noninstant noodle consumers in Korean adults. Nutr Res Pract 2011; 5(5): 443-449. 

  6. Shin HJ, Cho E, Lee HJ, Fung TT, Rimm E, Rosner B, Manson JE, Wheelan K, Hu FB. Instant noodle intake and dietary patterns are associated with distinct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n Korea. J Nutr 2014; 144(8): 1247-1255. 

  7. Yu KJ, Jung HS, Yoon HH.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intake patterns and expenditures on ramyun among adults in metropolitan areas of Korea. Korean J Culinary Res 2013; 19(1): 204-214. 

  8. Jung HS, Yoon HH. Effects of instant noodle (Ramyun)'s selection attribution upon satisfaction: focus o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Food Cult 2012; 27(1): 49-56. 

  9. Kim YY, Bae YJ, Choi MK. Sodium content and daily intake of instant noodle in Korean adolescents and adults. Trace Elem Electrolytes 2015; 32(4): 197-203. 

  10. Kim HS, Lee EY, Kim K, Kim KW, Pyun J, Chung SJ, Kwon YH, Yeo I, Lee S, Nam K. Survey on dietary behaviors and intakes of instant noodle (Ramyeon) soup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4): 365-371. 

  11. Grundy SM, Cleeman JI, Daniels SR, Donato KA, Eckel RH, Franklin BA, Gordon DJ, Krauss RM, Savage PJ, Smith SC Jr, Spertus JA, Costa F; American Heart Association;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cientific Statement. Circulation 2005; 112(17): 2735-2752. 

  12. Lee S, Park HS, Kim SM, Kwon HS, Kim DY, Kim DJ, Cho GJ, Han JH, Kim SR, Park CY, Oh SJ, Lee CB, Kim KS, Oh SW, Kim YS, Choi WH, Yoo HJ. Cut-off points of waist circumference for defining abdominal obesity in the Korean population. Korean J Obes 2006; 15(1): 1-9. 

  13. Lee JE, Kim JH, Son SJ, Ahn Y, Lee J, Park C, Lee L, Erickson KL, Jung IK. Dietary pattern classifications with nutrient intake and health-risk factors in Korean men. Nutrition 2011; 27(1): 26-33. 

  14. Kim JH, Kim BS, Park GY, Kim ES, Lee GH.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ommercial fatty processed food(II): fried instant nood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8; 27(1): 35-37. 

  15. Yun EK, Heo YR, Lim HS. Effects of Sasa Borealis leaf extract on the glucose tolerance of major foods for carbohydrate. Korean J Nutr 2010; 43(3): 215-223. 

  16. Song S, Choi H, Lee S, Park JM, Kim BR, Paik HY, Song Y. Establishing a table of glycemic index values for common Korean foods and an evaluation of the dietary glycemic Index among the Korean adult population. Korean J Nutr 2012; 45(1): 80-93. 

  17. Wirfalt E, Hedblad B, Gullberg B, Mattisson I, Andren C, Rosander U, Janzon L, Berglund G. Food patterns and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men and women: a cross-sectional study within the Malmo diet and cancer cohort. Am J Epidemiol 2001; 154(12): 1150-1159. 

  18. Woo HD, Shin A, Kim J. Dietary patterns of Korean adults an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 cross-sectional study. PLoS One 2014; 9(11): e111593. 

  19. Ding EL, Song Y, Malik VS, Liu S. Sex differences of endogenous sex hormones and risk of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2006; 295(11): 1288-1299. 

  20. Carbone L, Johnson KC, Huang Y, Pettinger M, Thomas F, Cauley J, Crandall C, Tinker L, LeBoff MS, Wactawski-Wende J, Bethel M, Li W, Prentice R; Findings From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Sodium intake and osteoporosis. J Clin Endocrinol Metab 2016; 101(4): 1414-1421. 

  21. Grimes CA, Bolhuis DP, He FJ, Nowson CA. Dietary sodium intake and overweight and obesity in children and adults: a protocol fo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yst Rev 2016; 5(1):7. 

  22. Provenzano LF, Stark S, Steenkiste A, Piraino B, Sevick MA. Dietary sodium intake in type 2 diabetes. Clin Diabetes 2014; 32(3): 106-112. 

  23.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KR). Korean standard food composition table, the 8th revision [Internet]. Jeonju: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12 [cited 2016 May 7]. Available from: http://koreanfood.rda.go.kr/eng/fctFoodSrch- Eng/engMain. 

  24. Lee YN, Kim CI, Jang YA, Lee HS, Lee HJ, Moon JJ, Han KJ, Sohn JW. Development of food and nutrient database: food portion/ weight database [Internet]. Seoul: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7 [cited 2016 May 7]. Available from: http://www.khidi.or.kr/board/view?linkId100456&menuId MENU000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