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달맞이꽃 발효액을 이용한 양념육 소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at seasoning sauce containing fermented Oenothra biennis ju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3 no.4, 2016년, pp.516 - 521  

안유복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신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달맞이꽃 발효액의 식품소재로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달맞이꽃 발효액을 이용한 양념육 소스의 제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발효액을 각각 5%, 10%, 15% 첨가한 양념육 소스의 pH는 5.23~5.37을 나타내었고, 유리당 함량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색도는 L, a, b값 모두 발효액 첨가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지방산패억제능은 발효액 첨가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총균수는 3.35~3.69 log CFU/g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나,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발효액 5% 첨가 양념육 소스가 맛, 색 그리고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발효액첨가 양념육 소스의 $10^{\circ}C$에서 25일간 저장 기간중 소스의 pH는 뚜렷한 변화를 나타나지 않았으며, 산도 역시 저장 초기수준(0.6%)을 유지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총균수는 급격한 증가현상은 관찰되지 않아 저장 25일째에 총균수는 3.62~3.83 log CFU/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중 대장균군은 모든 처리구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changes of sauces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5, 10, and 15%) of fermented Oenothra biennis juice (FOBJ) were studied for its potential as a new meat seasoning suace. pH of the seasoning sauce was ranged from 5.23 to 5.37. Sugar content of seasoning sauce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산야초 발효액은 야생에 존재하는 약용식물에 당을 첨가한 후 숙성과정을 통해 제조되며, 이때 각종 식물 자체가 함유한 각종 효소가 활성화되어 발효과정을 거치는 동안 식물체의 성분들이 소화, 흡수되기 쉬운 형태로 전환된다(13), 달맞이꽃에는 불포화 오메가 지방산인 감마리놀렌산(γ-linolenic acid)을 비롯하여 리놀산(linoleic acid) 및 올레익산(oleic acid)과 같은 성분들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항염작용을 비롯한 고혈압, 항균, 항암과 같은 여러 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14). 따라서 본 연구는 산야초 발효액의 식품소재로써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달맞이꽃 발효액 첨가량을 달리한 양념육 소스의 품질특성과 저장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스의 역할은? 소스(sauce)는 음식의 맛과 색상 개선을 위하여 사용되어온 액체 또는 반 유동상의 조미료로써 ‘소금을 기본으로한 조미용액’을 의미하는 라틴어의 ‘Salsa’에서 유래되었다. 이러한 소스는 음식의 맛, 냄새 및 색상을 개선시켜 식욕증진과 영양가를 높이고 음식의 수분을 유지시켜주며 조리과정 중 재료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1,2). 양념육은 식육에 식염, 조미료, 향신료 등을 양념하고 냉장 또는 냉동한 것으로 식육 함량이 60% 이상이어야 한다고 식품공전(KFDA, 2002)에 규정되어 있다(3).
소스란 무엇인가? 소스(sauce)는 음식의 맛과 색상 개선을 위하여 사용되어온 액체 또는 반 유동상의 조미료로써 ‘소금을 기본으로한 조미용액’을 의미하는 라틴어의 ‘Salsa’에서 유래되었다. 이러한 소스는 음식의 맛, 냄새 및 색상을 개선시켜 식욕증진과 영양가를 높이고 음식의 수분을 유지시켜주며 조리과정 중 재료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1,2).
발효액 첨가 양념육 소스의 지방산패 억제능이 대조구에 비해 발효액 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05). 이러한 결과는 달맞이꽃에 함유되어있는 다량의 linoleic acid, γ-linolenic acid 및 oleic acid와 같은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여러 성분(14)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육제품은 저장 및 조리 가공 중에 지방 산화로 인해 형성된 과산화물이나 각종 2차 산화물에 의해 이취에 의한 품질저하가 발생되며 이러한 식품섭취로 인해 노화, 발암, 동맥경화 등의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어(22) 지방산화를 억제시킬 수 있는 달맞이꽃 발효액 첨가 소스는 양념육 소스로서의 가치가 충분히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i SK, Choi HS, Lee JS (2001) The characteristics of brown stock prepared by high pressure cook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 281-288 

  2. Lim KR, Kim KY, Choi SK, Kim YS, Lee KH (2010)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made with various amount of Chungkukjang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263-271 

  3. Korean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2) Food code. Munyoungsa, Seoul, Korea, p 212-213 

  4. Oh DH (1986) Studies on the quality of cured meat in the processing. Ph D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p 34-38 

  5. Minussi RC, Rossi M, Bologna L, Cordi L, Rotilio D, Pastore GM, Duran N (2003) Phenolic compounds and total antioxidant potential of commercial wines. Food Chem, 82, 409-416 

  6. Montesinos-Herrero C, del Rio MA, Pastor C, Brunetti O, Palou L (2009) Evaluation of brief potassium sorbate dips to control postharvest Penicillium decay on major citrus species and cultivars. Postharvest Biol Technol, 52, 117-125 

  7. Cassen RG (1995) Use of sodium nitrite in cured meats today. Food Technol, 49, 72-80 

  8. Shahidi F, Janita PK, Wanasundara PD (1992) Phenolic antioxidants. Crit Rev Food Sci Nutr, 32, 67-103 

  9. Lee SH, Jeong EJ, Jung TS, Park LY (2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seasoning sauces prepared with Geranium thunbergii sieb. et Zucc. and Crataegi fructus and the quality changes of seasoned pork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57-63 

  10. Cho JL, Lee SC, Kim JM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Bulgogi marinade prepared with mul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r, 40, 1589-1596 

  11. Nam JS, Choi Sk, Kim DS (2010)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ulgogi sauce with various amount of Omija extract juice. Korean J Culinary Res, 16, 247-259 

  12. Lee SH, Park ML, Lee SH, Kim HR, Choi SK, Choi S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ulgogi seasoning sauce prepared with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and salted liquid of Prunus mume. Korean J Culinary Res 16, 247-263 

  13. Park SW, Byun GI (2014) Development of Bulgogi sauce added with concentrated Curcuma longa L.. Korean J Culinary Res, 20, 143-158 

  14. Taniguchi S, Imayoshi Y, Yabu-uchi R, Ito H, Hatano T, Yoshida T (2002) A macrocylic ellagitannin trimer, oenotherin $T_1$ , from Oenothera species. Phytochemistry, 59, 191-195 

  15. Ahn YB, Kang KM, Kim JH, Park LY, Lee SH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Oenothera biennis juice fermen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sugar concent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746-751 

  16. Kim IS, Jin SK, Kang SN, Hur IC, Choi SY (2009) Effect of olive-oil prepared tomato powder (OPTP) and refining lycopene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raw pork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9, 334-339 

  17.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69-74 

  18.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 Bueg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s Enzymol, 52, 302-310 

  20. Kim HS (2007) A study on the effect of Rubus coreanus Miquel on the taste of Demi-glace based sauce. MS Thesis, Woosong University, Korea, p 19-45 

  21. Kim IS (2007) A study on the consumers' use of processed food of Prunus mume and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Korea, p 59-73 

  22. Sung NJ (2000) Formation of cholesterol oxidation products in food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 10-20 

  23. Kum JS, Han O (1997)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and Doenjang prepared with extrudated wheat flour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601-605 

  24. Park SY, Chin KB (2007)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in pork patties containing Bokbunja (Rubus coreanus) extract.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7, 432-4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