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간 (食癎)으로 진단된 영아기 환아 1례에 대한 증례 보고
A Case Report of Infant Diagnosed as Sik-Gan (食癎)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30 no.3, 2016년, pp.61 - 68  

이은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이보람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이지홍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장규태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a case of one infant patient diagnosed as Sik-Gan (食癎) who was treated by Korean medical treatment. Methods We diagnosed an infant patient as Sik-Gan (食癎) and treated him with herbal medicine, acupuncture, moxa and chuna therapy while correcting h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기의 증례에서 저자는 食癎으로 진단된 환아에 대하여 한의학적 치료와 식습관 교정을 통해 발작 횟수 감소와 소화기계 증상 호전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므로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의 蔘出健脾湯加味方을 이용한 증례가 있었으나, 다른 癎證에 비해 食癎에 대한 증례 보고나 연구가 적었으며, 모두 유아기 (early childhood) 환아의 증례 보고 였다. 이에 저자는 食癎으로 진단된 영아기 (infancy) 환아의 증례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학교 한방병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에서 3례 이하 증례 보고로 심의 면제를 받아 진행되었다 (IRB File No.
  • 그러나 소아는 약물에 대한 반응이 성인에 비해 민감하고 즉각적이므로 不可呆滯, 不可重墜, 不可壅實이 요구된다2). 이에 저자는 한의학적 치료를 통해 食癎으로 진단된 영아기 환아에 대해 유효한 효과를 보아 이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의학에서 食癎은 어떤 질환이며, 왜 생기는가? 원인은 胎驚의 선천적 인자와 驚, 風, 痰, 熱, 食 등의 후천적 인자가 작용하며 病位는 心, 肝, 脾, 腎에 있다고 보았다. 그 중 食癎은 소화기계 증상과 동반하여 나타나는 경련 발작을 일컫는 증후학적 용어로 체한 후 濕과 熱이 성하여 痰을 발생시켜 경락과 장부의 升降之道를 막아서 발생한다2).
뇌전증은 어떤 질환인가? 뇌전증 (epilepsy)은 자발적으로 반복되는 발작을 주증상으로 하는 신경학적 질환6)으로 간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전 세계적으로 약 5천만명 정도의 뇌전증 환자가 있고 새롭게 뇌전증으로 진단받는 환자의 1/4이상이 소아이다7) .
한의학에서 소아의癎證의 원인을 무엇으로 보았는가? 한의학에서의 뇌전증은 癎證에 해당되는데, 소아의癎證은 時發時止하고 깨어난 후에는 평상시와 같은 간헐적인 질환이다. 원인은 胎驚의 선천적 인자와 驚, 風, 痰, 熱, 食 등의 후천적 인자가 작용하며 病位는 心, 肝, 脾, 腎에 있다고 보았다. 그 중 食癎은 소화기계 증상과 동반하여 나타나는 경련 발작을 일컫는 증후학적 용어로 체한 후 濕과 熱이 성하여 痰을 발생시켜 경락과 장부의 升降之道를 막아서 발생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HS. Hong CH Textbook of pediatrics, 10th ed. Seoul: Mirae-n Publishing Co. 2012:1001-2, 1011. 

  2. Kim KB, Kim DG, Kim YH, Kim JH, Min SY, Park EJ, Baek JH, Sung HK, Yu SA, Lee SY, Lee JY, Lee HJ, Chang GT, Jeong MJ, Chai JW, Cheon JH, Han YJ, Han JK. Hanbangsoacheongsonyeonuihak. Seoul: UiSungDang Publishing Co. 2015:30-2, 132, 177, 242, 479, 510-1. 

  3. Kim YH, Han JK, Kim YH. A case of epileptic children quitted taking anticonvulsant. J Korean Orient Pediatr. 2004;18(2):263-71. 

  4. Son MJ, Han JK, Kim YH. Two case report of epileptic children diagnosed as Sik-Gan. J Korean Orient Pediatr. 2012;24(2):22-30. 

  5. Kim EJ, Min SY, Kim JH. A case report regarding a treatment includes lots of different version of Samchulkunbi-tang (蔘朮健脾湯) to two pediatric patients diagnosed as Sik-Gan (食癎). J Pediatr Korean Med. 2013;27(4):1-9. 

  6. Shneker BF, Fountain NB. Epilepsy. Dis Mon. 2003;49:426-78. 

  7. Hauser WA, Hesdorffer DC. Epilepsy: frequency, causes and consequences. New York: Demos publications. 1990:197-243. 

  8. The Korea Academy of Oriental NeuroPsychiatry Medicine. Oriental neuropsychiatry medicine. Jipmundang. 2010:327-8. 

  9. So WB. Sossijebyeongwonhuchongnon. Mungwangdoseo. 1977:181-2. 

  10. Jeon E. Soayakjeungjikgyeol. Seoul: Yeogang Publishing Co. 2002:49. 

  11. Ro BS. Yeongdongbaengmun. Beijing: Inmin-wisaeng Publishing. 1983:577. 

  12. Ju S. Bojebang. Hanseongsa. 1981:24. 

  13. Lee JH. Donguiimsang internal medicine. Seoul: Bubinbooks. 1999:271-8. 

  14. The Korea Academy of Acupuncture.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1. Gyeonggi: Jipmundang. 2008:302, 306, 308. 

  15. Micael H, Norbert K, Karl H. Handbook of acupuncture. Seoul: Hansol medical book. 2010:264, 268. 

  16. Liu Y, Cao G, Shi J, Du J, Liang L. TCM mechanism of chiropractic therapy for children. Chin Med Mod distance Educ Chin. 2014;12(16):1-2. 

  17.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Korean herbology. Korean herbology. Seoul: Younglimsa. 2011:345-6. 

  18. Kim YU, Keum KS. A comparative study on the flowery knotweed root and auriculate swallowwort root in medical texts. J Korea Institute Orient Med Inform. 2009;5(2): 77-91. 

  19. Kase Y, Saitoh K, Ishige A, Komatsu Y. Mechanisms by which Hange-shashin-to prostaglandin E2 levels. Biol Pharm Bull. 1998;21(12):1277-81. 

  20. Kase Y, Hayakawa T, Aburada M, Komatsu Y, Kamataki T. Preventive effects of Hange-shashin-to on irinotecan hydrochloride-caused diarrhea and its relevance to the colonic prostaglandin E2 and water absorption in the rat. Jpn J Phamacol. 1997;75(4):407-13. 

  21. Ryu BH, Park DW, Chang IK, Ryu KW. The experimental comparative studies on the effects of Banhasasimtang, Saengkangsasimtang, Gamchosasimtang and Banhasasimtang insurance medicine. Kyunghee Univ Orient Med J. 1989;12:1-17. 

  22. Jeong MJ. Effects of the Hyangsayukgunja-tanggamibang on childhood abdominal pain. Dongeui Univ. 2007. 

  23. Kim DH, Lee TH. A study of effects on secretion of gastric juice activity, transport of intestinal contents with Hyangsayukgunja-tang. J Korean Orient Med Pathol. 1998;3:71-7. 

  24. Kong KH, Baik TH. The effects of Hyangsayukgunja-tang extract on Indomethacin-induced gatric mucosal lesions. Korean J Orient Int Med. 2001;22(4):589-99. 

  25. Lee SJ. Research trends on the effect of Sagunzatang and Samultang. Dajeon Univ. 2011;20(1):175-82. 

  26. Nam YJ, Hawng WJ, Park GY. A literature study of effect of Sagunzatang. Herb Formula Sci. 1991;2(1): 85-95. 

  27. The Korea Academy of Acupuncture.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2. Gyeonggi: Jipmundang. 2008:362, 533. 

  28. Ju H. A study of the efficacy of pediatric Tuina. Joongbu Univ. 2011. 

  29. Korean Epilepsy Society. Clinical epilepsy. Seoul: E-public. 2009:282, 296-8. 

  30. Moore MT. Paroxymal abdominal pain: a form of focal symptomatic epilepsy. J American Med Associ. 1994: 124, 561-3. 

  31. The Korean Child Neurology Society. Pediatric neurology. Seoul: Koonja Publishing Co. 2008:24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