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속미(粟米)·출미(秫米))를 이용한 식치방(食治方)의 문헌(文獻) 조사 -1300년대에서 1600년대 한국 의서(醫書)를 중심으로-
Literary Investigation of Food-Therapy(食治方) Using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Beaur) - Korean Medicine Literature in 1300's-1600's -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5 no.5, 2015년, pp.791 - 805  

박순애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한방식품학과) ,  최미애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김미림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300년대부터 1600년대까지 발간된 10권의 의서 및 식이요법서 문헌에서 조를 이용한 식치방을 조사한 결과 기록 횟수는 총 63회이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의 식치 기록은 총 21회로 조사한 문헌 중 횟수가 가장 많았고, 식료찬요(食療纂要)는 두 번째로 식치방 기록은 총 16회이다. 식치의 조리방법별 분류에는 죽(粥) 조리방법이 가장 많았고 탕(湯) 조리방법, 밥(飯) 조리방법, 즙(汁) 조리방법, 환(丸) 조리방법 순으로 기록되었다. 죽과 탕의 조리법이 많은 것은 소화기에 주는 부담이 적고 흡수가 용이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조와 같이 사용된 식재료는 총백(蔥白), 생강, 계란, 해백, 술, 참새, 수탉간, 시, 붕어, 붉은 팥, 흰 수탉 등이고, 조와 같이 사용된 약재는 인삼(人蔘), 복령(茯笭), 당귀(當歸), 대추(大棗), 맥문동(麥門冬), 백출(白朮), 육계(肉桂), 토사자(免絲子) 등이다. 특히 한국 전통음료로 조를 발효시킨 장수(漿水)를 약 전처리나 법제에 사용하고 약재와 같이 복용하였다. 조를 이용한 식치방의 증상별 분류를 보면 비위(脾胃) 반위(反胃)에 12회, 대소변난(大小便難)에 11회, 곽란에 6회, 허증(虛症) 보익(補益)에 6회 기록되었다. 비위(脾胃) 반위(反胃), 대소변난(大小便難), 곽란, 허증(虛症) 보익(補益) 등의 식치방에 여러 번 기록된 것은 약재가 귀했던 시기에 식치(食治)로 비위(脾胃)를 보(補)하고 대소변(大小便)을 좋게 하여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중점을 두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소갈(消渴), 중풍(中風), 산후제질(産後諸疾), 소아제병(小兒諸炳), 기침 해수(咳嗽) 등 증상 치료에도 기록되어 조 식치방은 남녀노소에게 두루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민족의 경험의학이 바탕이 되는 조 식치방을 활용한다면 현대인들에게 좋은 약선 메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Beaur) is a native Korean herbal medical food and a native millet, and Koreans have eaten it as a substitute for rice since ancient times. Foods using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Beaur) have been recorded not only in cookbooks but also in Korean tradition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는 한국의 향약음식이자 우리 민족이 오래전부터 쌀 대용식으로 먹었던 토종잡곡으로(Kim JS 2010) 음식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질병을 치료하는 식치방(食治方)에도 사용되었고 그 기록은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 『식료찬요(食療撰要)』 , 『구급방(救急方)』 , 『동의보감(東醫寶鑑)』 , 『경험방(經驗方)』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향약 이용이 활발했던 1300년대에서 『동의보감(東醫寶鑑)』이 편찬된 1600년대까지 의서 등 문헌에 기록된 조 식치방(粟․秫米食治方)을 조사하고 약선적(藥膳的) 효능과 조리법을 정리하여 약선 메뉴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hn MS (2012) Herbal Medicinal Designs. Uiseongdang, Seoul Korea. pp 276, 315. 

  2. Ahn SY, Lee MH, Pyo BY, Ha JY, Ahn SW (2008) Research on alimentotherapy definitions and applied theories. Korean Jounal of Oriental Medicine 14: 27-33. 

  3. Ahn SW (2007a) Singanuigapilyong(writtin by YunChunnYeon).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aejun Korea. pp 124-126. 

  4. Ahn SW (2007b) Sauikyeongheombang(writtin by ChaeDeuKi, Bak Ryeom, Heo Im YiSeikKan).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aejun Korea. pp 174-178. 

  5. Ahn SW, Lee YH (2010) Yagsanhogojongbangchwalyo(writtin by Gangio).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aejun Korea. p 119. 

  6. Ahn SW, Oh JH (2010) Sigisiggam(writtin by JamEn).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aejun Korea. pp 3, 21, 29, 35, 37, 50, 60. 

  7. Ahn SW, Pak SY, Yoon SH, Hwang JW, Noh SW (2010) LeeSeikKankyeongheombang(writtin by LeeSeikKan).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aejun Korea. p 86. 

  8. Baek SE (2004) The medicinal Effects of grains in Dongeuebogam.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 196-206. 

  9. Bok HJ (2007) The literary investigation on types and cooking method of bap (Boiled Rice) during Joseon Dynasty (1400'-1900'). Korean J Food Culture 22: 721-741. 

  10. Cha GH (2003) A study on regional foods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through Domundaejac. Korean J Dietary Culture 18(4): 379-395. 

  11. Ha YD, Lee SP (2001) Characteristics of proteins in italian millet, sorghum and common meillet.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187-192. 

  12. Jo HY, Tae CD, Lee SH, Kim DI (1999) Uilimchwalyo(writtin by YangYeSu) 1. Haedongchulpansa, Seoul Korea. pp 3-4. 

  13. Jung DM (1996) BangyakHappyeon(writtin by WhangDoYun). Galimchulpansa, Seoul Korea. p 66. 

  14. Jung MH, Kim JK (2009) Imwonsibyugi-Bonliji(writtin by Seo-YuGu) 2. Sowadang, Seoul Korea. pp 503, 517. 

  15. Kim DS (2007) Gugeubganibang(writtin by GwonJungHwa). Sejongdaewangginyeomsaeobhoe, Seoul Korea. pp 7-9. 

  16. Kim IS (2006) Jeminyosul(writtin by Gasahyeob). Rural Development, Gyonggido. Korea. pp 580-586. 

  17. Kim JE, Ji MS (2013) Studies of the gruel as medicated diet for the regimenyangsaeng of the elderly- in Yang-lo-bongchin-seo(養老奉親書) -.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6: 99-129. 

  18. Kim JS (2010) Joseon-ui gugeubbang 1. Rural Development, Gyonggido Korea. p 360. 

  19. Seoul University (1995) Dangokgyeongheombangcho(writtin by auther unknown). Seoul Korea. pp 66-67. 

  20. Kim SM, Lee SW (1992)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famine relief food of chosun-dynast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 35-55. 

  21. Kweon KT (2012) A research on management system of herbal medicine in common use for food and medicine. Kor J Herbology 27:25-29. 

  22. Kwok DK, Kim MR, Kim JW, Kim HS (2003) Dictionary of Food Cook Science. Gyomunsa, Seoul Korea. pp 269-270. 

  23. Kwon YC (1988) Old references related to regriculture in Korea - II. Kinds and varieties of cereal crops (1492-1886).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20: 341. 

  24. Lee HJ, Cho SH, Jung NW, Cha KH (2007) Imwonsibyugi-Jeongjoji(writtin by SeoYuGu). Gyomunsa, Seoul Korea. pp 190-191. 

  25. Lee JH, Kim ML, Min HS, Lee YE, Song ES (2008) The Food & Principle of Cookery. Gyomunsa, Seoul Korea. p 63. 

  26. Lee KH (2010) Classification and notation research of words of gra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109(3): pp 99-121. 

  27. Lee KR (2013) Hyangyakjesaengjipseongbang(writtin by Gwon-JungHwa). Sejongdaewangginyeomsaeobhoe, Seoul Korea. pp 6-10, 61. 

  28. Lee SY (2008) The study of medicinal tea in Joseon Dynasty. Namdominsogyeongu 17: 243-267. 

  29. Oh Jh (2013) Analysis on the traditional knowledge appearing in "Yi, SeikKan experience prescriptions" which is a book on medicine in Joseon dynasty in the 16th century: With a focus on medical treating with eating foods using porridge and rice. Kor J Oriental Prevent Med Soc 17: 125-135. 

  30. Oh SI (2011) Distribution Status of Cereal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Daejun Korea. pp 22-27. 

  31. Park SH (2005)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Yak-Sun (Oriental medicinal cuisine). Korean J Oriental Physioly & Pathol 19: 1520-1527. 

  32. Shin JH, Song JC, Eom DM (2011) Pork as food therapy in Shikryochanyo.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4: 87-98. 

  33. Yeogang chulpansa (1992) Jejungsinpyeon(writtin by Kang Myung gil). Yeogang chulpansa, Seoul Korea. pp 57-58. 

  34. Yeogang chulpansa (1994) Donguibogam(writtin by Heo Jun). Yeogang chulpansa, Seoul Korea. pp 2764-2767. 

  35. Yoon ES (2012) Welbing-Cereals Cultivation Techniques of Foxtail Millet, Sorghum. Rural Development Association, Suwon, Korea. p 173. 

  36. Yoon SJ (2009) Food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Goryeo Dynasty. PhD Dissertation Sookmyung University, Seoul. pp 10-13, 26-27. 

  37. Yoon SK (1998) Suunjabbang(writtin by Kim Yu). Singwangchulpansa, Seoul Korea. pp 193, 205. 

  38. Yoon SS (1991) The Term Food in Korea. Minumsa, Seoul Korea. p 48. 

  39. Yeo MK, Yin L, Hwang SJ, Lee BW, Kim KW (2014) Food therapy analysis of the primary ailments from the Shik-LyoChanYo(食療纂要).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27(1): 61-76. 

  40. http://www.foodnews.co.kr Accessed December 11. 2014. 

  41. http://www.news.chosun.com Accessed September 24. 2011.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