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안침식방지사업의 해양물리분야 평가실태 및 개선방안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Ocean Physics for Coastal Erosion Projects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8 no.4 = no.82, 2016년, pp.947 - 956  

탁대호 (국립수산과학원 해역이용영향평가센터) ,  오현택 (국립수산과학원 해역이용영향평가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sed the documents of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of JongChun and ApHae located in West Coast of Korea and NaJeong located in East Coast of Korea in order to find out problems of site surveys and numerical simulations for coastal erosion projects of ocean physics, and sugges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안침식방지를 위한 해양물리분야의 조사항목 및 평가기법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연안침식방지사업의 사례를 분석하고 합리적인 평가가 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그러나 연안침식과 관련한 많은 연구 중에 침식의 원인규명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역이용협의 검토사례를 중심으로 연안침식에 대한 해양물리학적 평가실태를 분석하고, 침식원인을 진단하고 침식을 저감할 수 있는 대책수립을 위한 평가기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연안침식방지사업 시에 이루어지고 있는 해양물리 관련 평가실태를 현황조사, 영향예측, 저감방안 및 해양환경영향조사에 대해서 분석하고, 나타난 문제점에 대해 다섯 가지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서해에서도 연안침식과 관련해서는 파랑도 중요한 외력요소이나 동해에서 국한되어 조사가 수행되고 있었다.
  • 해역이용협의서 3건의 분석을 통해, 해양물리분야의 현황조사, 영향예측, 저감방안 그리고 해양환경영향조사에 대한 해역이용협의서 작성 시 해양물리분야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분석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객관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안정비사업이 해역이용협의 대상이 될 때, 평가 받는 항목은 무엇이 있는가? 연안정비사업이 공유수면에서 시행될 경우, 연장이 150 m 이상 또는 면적이 3,000 ㎡ 이상이면 해역이용협의 대상이 된다. 해역이용협의는 계획의 적정성및 행위로 인해 예상되는 해양환경영향을 사전에 검토ㆍ평가하는 제도로 평가항목은 해양물리, 해양화학, 해양지형지질, 해양퇴적물, 부유생태계, 저서생태계, 수산자원 및 어류, 경관 및 위락 그리고 보호종 및 보호구역 등에 대해서 평가하도록 규정되어 있다(MOF, 2008). 물론 모든 사업에 대해서 9개 항목을 모두 평가하란 것이 아니라, 사업유형별 특성에 따라 필요항목을 선정하여 평가하면 되나, 대부분의 협의서는 사업유형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항목에 대해 일반적인 접근을 수행하고 있어 중점평가 되어야 할 항목에 대한 평가가 부족한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Tac et al.
연안정비사업이 해역이용협의 대상이 되는 기준은 무엇인가? 연안침식방지사업은 연안관리법에 따라 시행되며, 사업의 주요내용은 해일, 파랑, 해수 또는 지반의 침식 등으로부터 해안선을 보호하고 훼손된 해안을 정비하는 연안정비사업이다. 연안정비사업이 공유수면에서 시행될 경우, 연장이 150 m 이상 또는 면적이 3,000 ㎡ 이상이면 해역이용협의 대상이 된다. 해역이용협의는 계획의 적정성및 행위로 인해 예상되는 해양환경영향을 사전에 검토ㆍ평가하는 제도로 평가항목은 해양물리, 해양화학, 해양지형지질, 해양퇴적물, 부유생태계, 저서생태계, 수산자원 및 어류, 경관 및 위락 그리고 보호종 및 보호구역 등에 대해서 평가하도록 규정되어 있다(MOF, 2008).
연안침식방지사업은 어떠한 사업인가? 연안침식방지사업은 연안관리법에 따라 시행되며, 사업의 주요내용은 해일, 파랑, 해수 또는 지반의 침식 등으로부터 해안선을 보호하고 훼손된 해안을 정비하는 연안정비사업이다. 연안정비사업이 공유수면에서 시행될 경우, 연장이 150 m 이상 또는 면적이 3,000 ㎡ 이상이면 해역이용협의 대상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pHae(2015). A Document of Consultation on Utilization of Sea Area of Project for Protecting Coastal Erosion of ApHae district in ShinAn County of South Korea, 2015. 

  2. Cho, K. W..Maeng, J. H..Shin, H. H. and Joo, Y. J.(2009). A Preliminary Stud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f Coastal Eros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 Ocean Engineers, 21(2), 174-181. 

  3. Chu, Y. S..Kweon, S. J..Bahk, J. J. and Park Y. A.(1996). Seasonal Variations of Beach Sedimentation in the Middle Western Coast of Korea Ocean Research, 18(1), 37-45. 

  4. Chun, S. S..Lee, H. J..Ryu, S. O. and Yang, B. C.(1998). Seasonal and local variation of sedimentation on the wave-dominated tidal flasts, southwestern coast of Korea:comparison between inner-bay and open tidal flats.15th International Sedimentological Congress. Alicante, Spain. 

  5. Jang, J. H. and Choi, J. Y.(1998). Seasonal Accumulation Pattern and Preservation Potential of Tidal-flat Sediments: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3), 149-157. 

  6. JongChun(2015). A Document of Consultation on Utilization of Sea Area of Project for Protecting Coastal Erosion JongChun distric in Seochon County of South Korea, 2015. 

  7. Kang, Y. K..Park, H. B. and Yoon, H. S.(2010). Shoreline Changes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Coastal Erosion Control Structure at the Youngrang Coast in Sockcho East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13(4), 296-304. 

  8. Kim, C. W..Shin, Y. H. and Yu, K. B.(2015), Changes of beach profiles and sediment properties in Baeksajang sandspit beach, west ccoast of Korea, during winter season,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49(1), 117-131. 

  9. Kim. D. S.(2013). Long-term changes of shoreline at East Coast in South Korea 2-South East Coast,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20(3), 27-39. 

  10. Kim, K. H. Yoo, H. S. and Joung, E. J.(2008). Disaster Overall Prediction System for Beach Erosion and its Applic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0(6), 602-610. 

  11. Kim, I. C..Jeon, K. A..Eom, K. H..Kim Y. T. and Choi, B. R.(2014). Improvement for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n the Coastal Development Project Ty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al & Safety, 20(2), 157-164. 

  12. Lee, H. J..Chu, Y. S. and Park, Y. A.(1999). Sedimentary process of fine-grained material and the effect of seawall construction the the Daeho marotidal flat-nearshore area, northern west coast of Korea, Marine Geology, 57(3), 171-184. 

  13. Lee, H. J..Park, E. S..Lee, Y. G..Jeong, K. S. and Chu, Y. S.(2000). Summer-Time Behaviour and Flux of Suspended Sediments at the Entrance to Semi-Closed Hampyoung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5(2), 105-118. 

  14. Lee, M. S. and Park, S. W.(2007). A Stud on Improvement of Management Framework for Coastal Erosion Prediction, Ocean and Polar Research, 20(2), 155-165. 

  15. Maeng, J. H. and Cho, K. W.(2010). A Study on the Prior Environmental Reviews System in a Coastal Improvement Proje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9(2), 179-187. 

  16. MLTM(2010).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Affairs. Coastal Improvement Project Desgin Guidebook, p. 507. 

  17. MOF(2008).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Regulations regarding the sea area utilization conference. 

  18. MOF(20014).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Coast Management Act. 

  19. NaJeong(2015). A Document of Consultation on Utilization of Sea Area of Project for Protecting Coaastal Erosion of NaJeong district in GyeongJu city of South Korea, 2015. 

  20. Ryu, S. O..You, H. S. and Lee, J. D.(1999).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and Accumulation Rate on the Intertidal Flats in Hampyong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2), 127-135. 

  21. Shin, S. H. and Hong, K.(2004), An Experimental Study of Sediment Transport Patterns behind offshore 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7(4), 207-215. 

  22. Shepard. F. P.(1950). Beach Cycles in Southern California(No. TM-20). Corpsof engineers washington D.C. beach erosion board. 

  23. Tac, DaeHo.(2008). Season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 Circulation in Haeundae Beach, Ph. D. Dissertation, Pukyung National University, Busan in Korea. 

  24. Tac, Dae-Ho.Oh, Hyun-Taik.Kim, Gui-Young and Lee, Dae-In(2015).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Documentation Status on the Statement for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according to the Project of Ports and Fishery Harb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al & Safety, 21(4), 361-3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