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과 자색 건조 돼지감자의 식품 성분 및 항산화 활성
Food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ried Jerusalem Artichoke with White and Purple Color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8, 2016년, pp.1114 - 1121  

정복미 (전남대학교 식품영양과학부) ,  신태선 (전남대학교 식품영양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반과 자색 건조 돼지감자의 일반성분, 무기질 함량, 유리아미노산 함량, 색도,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돼지감자의 일반성분은 품종과 관계없이 탄수화물, 조단백, 회분, 수분 함량 순으로 높았으며, 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돼지감자의 품종과 관계없이 가장 높은 무기질은 칼륨이었고, 다음으로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철분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시료가 자색시료보다 높은 무기질은 칼슘, 마그네슘, 철분, 아연이었고 자색이 일반보다 높은 것은 칼륨, 나트륨, 구리, 망간으로 나타났으나 품종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돼지감자에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은 품종과 관계없이 arginine이었고, 다음으로 asparagine, aspartic acid, ${\gamma}-amino-n-butyr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시료보다 자색시료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난 아미노산은 cystine, leucine, tyrosine이었고, 일반시료가 자색시료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난 아미노산은 phosphoethanolamine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L, a, b 모두 일반시료보다 자색시료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항산화 활성에서는 방법론 중 ABTS assay를 제외하고는 모든 활성에서 자색시료가 일반시료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일부 FRAP와 ORAC assay의 경우 추출물의 낮은 농도에서는 일반시료와 자색시료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색시료의 경우 높은 농도에서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od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ried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with white and purple colors. For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dried Jerusalem artichoke, regardless of color, carbohydrate content was highest, followed by crude protein,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당뇨 환자들의 경우 하루 총 섭취열량이 중요하므로 돼지감자가 일반 감자보다 당뇨에 효과적이라 하더라도 섭취량이 많아지면 좋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일반 및 자색 돼지감자로 구분하여 성분 분석 또는 항산화 활성이 보고된 연구가 없으며, 돼지감자를 이용하는 당뇨 환자에게 영양성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자료를 제공하고, 건조한 돼지감자의 품종에 따른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한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눌린이 당뇨병에 좋은 식자재로 알려진 이유는 무엇인가? 6°C에서 생장하므로 우리나라 기후 조건에도 적합하여 전국 각지에 자생하고 있다(1). 돼지감자라고 알려진 덩이줄기는 이눌린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눌린은 장내 효소로는 소화되지 않고 소화관을 통과하므로 혈당을 급격히 올리는 것을 지연시키는 작용이 있어 돼지감자가 당뇨병에 좋다고 알려지게 된 이유는 바로이 때문이다. 최근 들어 당뇨병과 다이어트에 좋다고 알려지면서 식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2).
돼지감자의 무기질 성분 중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무엇인가? 돼지감자의 일반성분은 품종과 관계없이 탄수화물, 조단백, 회분, 수분 함량 순으로 높았으며, 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돼지감자의 품종과 관계없이 가장 높은 무기질은 칼륨이었고, 다음으로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철분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시료가 자색시료보다 높은 무기질은 칼슘, 마그네슘, 철분, 아연이었고 자색이 일반보다 높은 것은 칼륨, 나트륨, 구리, 망간으로 나타났으나 품종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자색 건조 돼지감자가 일반 건조 돼지감자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아미노산은 무엇인가? 또한, 일반시료보다 자색시료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난 아미노산은 cystine, leucine, tyrosine이었고, 일반시료가 자색시료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난 아미노산은 phosphoethanolamine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hin SH, Kwon SJ, Jo HJ, Go D, Han J. 2012. Extraction and analysis of inulin from Jerusalem artichoke. Food Science and Industy 45(4): 50-58. 

  2. Kim SH. 2014. Jerusalem artichoke and inulin. J Korean Diabetes 15: 227-231. 

  3. Jhon DY, Kim MH. 1988. Studies inulase from Jerusalem artichoke. J Korean Soc Food Nutr 17: 205-210. 

  4. Chae EM, Chol EH. 1991. Optimization for alcohol fermentation by Kluyveromyces marxianus using Jerusalem artichoke powder.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19: 265-271. 

  5. Rosengard BR, Cochrane DE. 1983. Complement-mediated cytolysis: a quick, simple method for determining levels of immunoglobulin E bound to mast cells. J Histochem Cytochem 31: 441-444. 

  6. Jeong HJ, Kim JS, Sa YJ, Kim MO, Yang J, Kim MJ. 2011. Antioxidant activity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methanol extracts by heat treatment conditions. Korean J Med Crop Sci 19: 257-263. 

  7. Kang SI, Han JI, Kim KY, Oh SJ, Kim SI. 1993. Changes in soluble neutral carbohydrates composition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tubers according to harvest date and storage temperature. J Korean Agric Chem Soc 36: 304-309. 

  8. Kim YS, Lee SJ, Hwang JW, Kim EH, Park PJ, Jeon BT. 2011.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Helianthus tuberosus L. leaves on t-BHP induced oxidative stress in chang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525-1531. 

  9. Kim JW, Kim JK, Song IS, Kwon ES, Youn KS. 2013.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Jerusalem artichoke leaves with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68-75. 

  10. Park H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the addition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6: 259-267. 

  11. Park HY, An NY, Ryu HK. 2013.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hypoglycemic effect cookies containing Helianthus tuberosus powder.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4: 233-241. 

  12. Shin JY, Byun MW, Noh BS, Choi EH. 1991. Noodle characteristics of Jerusalem artichoke added wheat flour and improving effect of texture modifying ag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538-545. 

  13. Park GS. 2014. Optimization of muffin preparation upon addition of jerusalem artichoke powder and oligosaccharid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ult 29: 101-110. 

  14. Cieslik E, Gebusia A, Florkiewicz A, Mickowska B. 2011. The content of protein and of amino acids in Jerusalem artichoke tubers (Helianthus tuberosus L.) of red variety Rote Zonenkugel. Acta Sci Pol Technol Aliment 10: 433-441. 

  15.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31. 

  16.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s Enzymol 299: 152-178. 

  17. Thaipong K, Boonprakob U, Crosby K, Cisneros-Zevallos L, Byrne DH. 2006. Comparison of ABTS, DPPH, FRAP, and ORAC assays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from guava fruit extracts. J Food Compos Anal 19: 669-675. 

  1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Seoul, Korea. 

  19. Jeon TW, Cho YS, Lee SH, Cho SM, Cho HM, Chang KS, Park HJ. 2005.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igments extracted from Korean purple-fleshed potato.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47-254. 

  20. Kim GC, Kim HS, Jo IH, Kim JS, Kim KM, Jang YE. 2013. Qualitative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uchimgaru supplemented with Jerusalem artichoke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065-1070. 

  21. Tchone M, Barwald G, Annemuller G, Fleischer LG. 2006.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Sci Aliments 26: 394-408. 

  22. Kim MK, Lee EJ, Kim KH. 2014. Effects of Helianthus tuberosus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sponge cakes. Korean J Food Cult 29: 195-204. 

  23. Jeong HJ, Kim JS, Sa YJ, Kim MO, Yang J, Kim MJ. 2011. Antioxidant activity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methanol extracts by heat treatment conditions. Korean J Med Crop Sci 19: 257-263. 

  24. Jeon G, Han J, Choi Y, Lee SM, Kim HT, Lee J. 2008.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pepper (Capsicum annuum L.)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079-1083. 

  25. Yuan X, Gao M, Xiao H, Tan C, Du Y. 2012.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bioactive substances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leaves. Food Chem 133: 10-14. 

  26. Kwak JH, Choi GN, Park JH, Kim JH, Jeong HR, Jeong CH, Heo HJ. 2010.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 of purple sweet potato extract. J Agric Life Sci 44: 57-66. 

  27. Jang HY, Park HS, Kwon KR, Rhim TJ. 2008.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antioxidant effects among wild ginseng, cultivated wild ginseng, and cultivated ginseng extracts. J Pharmacopuncture 11: 67-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