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돼지감자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diabetic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9 no.1, 2016년, pp.128 - 133  

이창훈 (대전보건대학교 의무부사관과) ,  이연리 (대전보건대학교 식품영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돼지감자 꽃, 잎, 뿌리가 가진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다양한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돼지감자 꽃, 잎, 뿌리의 폴리페놀 함량은 32.80 mg GAE/extract g, 43.46 mg GAE/extract g, 24.53 mg GAE/extract g으로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5.64, 18.67, 11.65 mg GAE/extract g으로 나타났다. 돼지감자 꽃, 잎, 뿌리의 메탄올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은 각각 77.78%, 66.07%, 26.93%로 나타났으며, hydroxyl radical 소거능 활성은 각각 55.33%, 38.30%, 34.89%로 나타났다. 돼지감자 꽃, 잎, 뿌리메탄올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돼지감자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활성 역시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돼지감자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5 mg/mL)의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꽃, 잎, 뿌리에서 각각 41.08%, 55.67%, 60.76%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났으며, ${\alpha}-amylase$ 저해활성은 꽃, 잎, 뿌리에서 각각 49.95%, 59.88%, 66.25%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antioxidative and antidiabetic activities of the flowers, leaves, and roots of the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leav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flowers and roots. However, the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돼지감자 꽃, 잎, 뿌리가 가진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다양한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돼지감자 꽃, 잎, 뿌리의 폴리페놀 함량은 32.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돼지감자의 꽃, 잎, 뿌리의 이용을 활성화시키고,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돼지감자의 꽃, 잎, 뿌리에 대해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여 돼지감자 부산물의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3)The concentrations of ascorbic acid was measured at 1 mg/m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사회에서 각종 만성퇴행성질환 발병률이 증가한 이유는? 현대사회에 들어 서구화된 식습관, 환경오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각종 만성퇴행성질환 발병률이 증가하였다. 특히 인체 내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여러 가지 질병과 노화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Jang 등 2011).
돼지감자의 주요 성분은? )는 다년생 식물로 국화과 해바라기속에 속하고, 일명 ‘뚱딴지’라고 불리며, 원산지가 북아메리카로 우리나라의 기후 조건에 맞아 전국 각지에서 자생한다(Jeon 등 2013). 돼지감자의 주요 성분은 fructose 분자 들이 β-2,1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inulin이며, 인간의 위에서는 분해되지 않고 장내 미생물에 의하여 발효되어 배변기능 촉진에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해되어도 혈당치를 급격하게 상승시키지 않고 열량이 낮아, 비만 개선 효과와 중성지질의 감소효과 등이 보고되었다(Carabin & Flamm 1999; Kim 등 2010).
inulin이 비만 개선 효과와 중성지질의 감소효과를 가지는 이유는? 돼지감자의 주요 성분은 fructose 분자 들이 β-2,1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inulin이며, 인간의 위에서는 분해되지 않고 장내 미생물에 의하여 발효되어 배변기능 촉진에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해되어도 혈당치를 급격하게 상승시키지 않고 열량이 낮아, 비만 개선 효과와 중성지질의 감소효과 등이 보고되었다(Carabin & Flamm 1999; Kim 등 2010). 또한 돼지감자의 덩이줄기는 예로부터 당뇨병과 류마티스의 치료를 위한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고, 변통을 순조롭게 하고 간으로부터 담즙의 분비를 촉진하며, 이뇨제, 건위제, 강장제 효과와 같은 다양한 약리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Yuan 등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1199-1203 

  2. Bloknina O, Virolainen E, Fagerstedt KV. 2003. Antioxidants, oxidative damage and oxygen deprivation stress. Ann Bot 91:179-194 

  3. Carabin IG, Flamm WG. 1999. Evaluation of safety of inulin and oligofructose as dietary fiber. Regul Toxicol Pharmacol 30:268-282 

  4. Cho YJ, Ju IS, Chun SS, An BJ, Kim JH, Kim MY, Kwon OJ. 2008.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flow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276-281 

  5. Ferreres F, Gomes D, Valentao P, Goncalves R, Pio R, Chagas EA, Seabra RM, Andrade PB. 2009. Improved loquat (Eribotrya japonica Lindl.) cultivars: Vari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tive potential. Food Chem 114:1019-1027 

  6.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ohomolybdic compounds as colour reagents. J Biol Chem 12:239-249 

  7. Gordon JM, Derek S. 2005. The inhibitory effects of berry polyphenols on digestive enzymes. BioFactors 23:189-195 

  8. Halliwell B. 2009. The wanderings of a free radical. Free Rad Biol Med 46:531-542 

  9. Han EK, Lee JY, Jung EJ, Jin YX, Chung CK. 2010.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officina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580-1586 

  10. Heo SI, Wang MH.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effect of extracts from Taraxacum mongolicum H. Kor J Pharmacogn 39:255-259 

  11. Hochestein P, Atallah AS. 1988. The nature of oxidant and antioxidant systems in the inhibition of mutation and cancer. Mutation Res 202:363-375 

  12. Hwang IT, Hwang JS, Lim HK, Park NJ. 2010. Biorefinery based on weeds and agricultural residues. Kor J Weed Sci 30:340-360 

  13. Jang JR, Hwang SY, Lim SY. 2011. Inhibitory effect of extra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the ballon flower) on oxidation and nitric oxide production. Korean J Food Preserv 18:65-71 

  14. Jeon SM, Kim SY, Kim IH, Go JS, Kim HR, Jeong JY, Lee HY, Park DS. 2013.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cessed deoduck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924-932 

  15.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1333-1338 

  16.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333-338 

  17. Kim HY, Lim SH, Park YH, Ham HJ, Lee KJ, Park DS, Kim KH, Kim S. 2011. Screening of ${\alpha}$ -amylase, ${\alpha}$ -glucosidase and lipase inhibitory activity with Gangwon-do wild plants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308-315 

  18. Kim JL, Bae CR, Cha YS. 2010. Helianthus tuberosus extract has antidiabetes effects in HIT-T15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31-35 

  19. Kim JW, Kim JK, Song IS, Kwon ES, Youn KS. 2013.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Jerusalem artichoke leaves with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68-75 

  20.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626-632 

  21. Leaf CD, Vecchio AJ, Roe DA, Hotchkiss JH. 1987. Influence of ascorbic acid dose on N-nitrosoproline formation in humans. Carcinogenesis 8:791-795 

  22. Lee BB, Park SR, Han CS, Han D, Park EJ, Park HR, Lee SC.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of Viola mandshuric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405-409 

  23. Lee SJ, Lee KI, Rhee SH, Park KY. 2004. Physiological activity in Doenjang added with various mushroom. Korean J Food Cookery Sci 20:365-370 

  24. Lim AK, Kim JO, Jung MJ, Jung HK, Hong JH, Kim DI. 2008. Functional biological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araxaci Herb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231-1237 

  25. Miliauskas G, Venskutonis PR, van Been TA. 2004. Screening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ome medicinal and aromatic plants extracts. Food Chem 85:231-237 

  26. Oh SJ, Hong SS, Kim YH, Koh SC. 2008.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in fern plants native to Jeju island. Korean J Plant Res 21:12-18 

  27. Osawa T. 1994. Novel natural antioxidants for utilization in food and biological systems. In Post Harvest Biochemistry of Plant Food-Materials in the Tropics 

  28. Park MS, So JS, Bahk GH. 2015.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coreanum Nakai cultivated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1234-1240 

  29. Park WM, Kim GH, Hyeon JW. 1995. New synthetic medium for growth of mycelium of Pleurotus species. Korean J Mycol 23:275-283 

  30. Que F, Mao L, Zhu C, Xie G. 2006. Antioxidant properties of Chinese yellow wine, its concentrate and volatiles. LWT - Food Sci Technol 39:111-117 

  31. Song MH, Shin JH, Sung NJ. 2000. The effect of citrus juice on nitrite scavenging and NDMA formation. J Inst Agric & Fishery Develop Gyeongsang Nat'l Univ 19:7-14 

  32. Stirpe F, Corte ED.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44:3855-3863 

  33. Tibbot BK, Skadsen RW. 1996.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ibberellin-inducible, putative ${\alpha}$ -glucosidase gene from barley. Plant Mol Biol 30:229-241 

  34. Wong SP, Leong LP, Koh JH. 2006. Antioxidant activities of aqueous extracts of selected plants. Food Chem 99:775-783 

  35. Yuan X, Gao M, Xiao H, Tan C, Du Y. 2012.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bioactive substances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leaves. Food Chem 133:1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