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갱생 옥내급수관 수돗물에서 비스페놀-A 분포 및 위해성 평가
Distribution and Risk Assessment of Bisphenol-A in Tap Water from Rehabilitated Indoor Water Service Pipe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8 no.7, 2016년, pp.371 - 376  

정관조 (서울특별시 서울물연구원) ,  손보영 (서울특별시 서울물연구원) ,  이인자 (서울특별시 서울물연구원) ,  안치화 (서울특별시 서울물연구원) ,  김준일 (서울특별시 서울물연구원) ,  문보람 (서울특별시 서울물연구원) ,  이수원 (서울특별시 서울물연구원) ,  안재찬 (서울특별시 서울물연구원) ,  김복순 (서울특별시 서울물연구원) ,  정득모 (서울특별시 서울물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 수지 갱생 옥내급수관 수돗물에 대해 비스페놀-A 실태조사를 실시하였고, 비스페놀-A가 수돗물 음용에 있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원수 중 비스페놀-A는 50~118 ng/L로 채취된 모든 시료에서 정량한계 10 ng/L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이것은 주변지역의 하수 방류수나 지천에 의한 비스페놀-A 유입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정수에서의 비스페놀-A는 불검출되었으며, 고도정수처리 공정에서 모두 제거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응집-침전과정과 오존 및 염소에 의해 산화되어 제거되거나 다른 산화 부산물질로 변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옥내급수관 수돗물의 경우, 에폭시 갱생공사를 실시하지 않은 수돗물 모두에서 비스페놀-A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에폭시 갱생공사를 실시한 옥내급수관 수돗물에서 비스페놀-A가 불검출에서 최대 521 ng/L로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채취된 시료의 68%가 정량한계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검출된 비스페놀-A의 최대값(521 ng/L)에 대한 위해도 지수 산정 결과, 위해도 지수(HQ)는 약 0.004로 수돗물 섭취에 의한 위해판단 기준값 0.1 이하로 나타나 음용에 안전한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survey of bisphenol-A in indoor water service pipes rehabilitated with epoxy resin was conducted and the risk assessment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human health to drink tap water. Bisphenol-A in raw water was detected in a range of 50~118 ng/L in all samples, wh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 갱생 옥내급수관 수돗물을 대상으로 비스페놀-A 실태조사를 실시하였고, 위해성 평가(risk assessment)를 실시하여 수돗물 중 비스페놀-A 농도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과 관리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폭시 갱생공사 유무에 따른 옥내급수관에 대한 비스페놀-A의 오염수준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응집-침전과정과 오존 및 염소에 의해 산화되어 제거되거나 다른 산화 부산물질로 변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옥내급수관 수돗물의 경우, 에폭시 갱생공사를 실시하지 않은 수돗물 모두에서 비스페놀-A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에폭시 갱생공사를 실시한 옥내급수관 수돗물에서 비스페놀-A가 불검출에서 최대 521 ng/L로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채취된 시료의 68%가 정량한계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검출된 비스페놀-A의 최대값(521 ng/L)에 대한 위해도 지수 산정 결과, 위해도 지수(HQ)는 약 0.
비스페놀-A 생산량의 대부분은 어느 분야에 사용되는가? 1,2) 비스페놀-A는 1891년 디아닌(Dianin)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고, 1905년 Zincke에 의해 페놀과 아세톤으로 합성되었다.2) 비스페놀-A 생산량의 약 95%는 에폭시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 제조의 단량체로서 사용되며 에폭시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세계적인 수요의 꾸준한 증가로 2015년에는 약 5백만 톤으로 성장했다.3,4) 에폭시 수지는 주로 금속과 직접 접촉하는 식품과 음료를 보호하기 위해 식품, 음료 캔의 내부 코팅제 및 수도관 부식방지용 내부 코팅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은 투명 플라스틱으로 식품과 음료 포장재나 아기젖병, 렌즈 등 일상생활용품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비스페놀-A이란 무엇인가? 비스페놀-A (Bisphenol-A, BPA)는 2,2'-bis(4-hydroxyphenyl)propane, 4,4'-(propane-2,2-diyl)diphenol와 같이 2개의 페놀구조(C15H16O2)를 가진 유기화합물이다.1,2) 비스페놀-A는 1891년 디아닌(Dianin)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고, 1905년 Zincke에 의해 페놀과 아세톤으로 합성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en, M. Y., Ike, M. and Fujita, M., "Acute Toxicity, Mutagenicity, and Estrogenicity of Bisphenol-A and Other Bisphenols," Environ. Toxicol., 17(1), 80-86(2002). 

  2. Huang, Y. Q., Wong, C. K. C., Zheng, J. S., Bouwman, H., Barra, R., Wahlstrom, B., Neretin, L. and Wong, M. H., "Bisphenol A (BPA) in China: A review of sources, environmental levels, and potential human health impacts," Environ. Int., 42, 91-99(2012). 

  3. Santhi, V. A., Sakai, N., Ahmad, E. D. and Mustafa, A. M., "Occurrence of bisphenol A in surface water, drinking water and plasma from Malaysia with exposure assessment from consumption of drinking water," Sci. Total Environ., 427-428, 332-338(2012). 

  4. Yamazaki, E., Yamashita, N., Taniyasu, S., Lam, J., Lam, P. K. S., Moon, H. B., Jeong, Y. S., Kannan, P., Achyuthan, H., Munuswamy, N. and Kannan, K., "Bisphenol A and other bisphenol analogues including BPS and BPF in surface water samples from Japan, China, Korea and India," Ecotoxicol. Environ. Safety, 122, 565-572(2015). 

  5. Umar, M., Roddick, F., Fan, L. and Aziz, H. A., "Application of ozone for the removal of bisphenol A from water and wastewater-A review," Chemosphere, 90, 2197-2207(2013). 

  6.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EFSA), scientific opinion on bisphenol-A, EFSA(2015). 

  7. Yuksel, S., Kabay, N. and Yuksel, M., "Removal of bisphenol A (BPA) from water by various nanofiltration (NF) and reverse osmosis (RO) membranes," J. Hazard. Mater., 263, 307-310(2013). 

  8. Staples, C. A., Dom, P. B., Klecka, G. M., O'Blook, S. T. and Harris, L. R., "A Review of the environment fate, effects, and exposures of bisphenol-A," Chemosphere, 36(10), 2149-2173(1998). 

  9. Tisler, T., Krel, A., Gerzelj, U., Erjavec, B., Dolenc, M. S. and Pintar, A., "Hazard identification and risk characterization of bisphenols A, F and AF to aquatic organisms," Environ. Pollut., 212, 472-479(2016). 

  10. Guo, L., Li, Z., Gao, L. P., Hu, H. and Gibson, M.,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bisphenol A in surface waters of China based on both traditional and reproductive endpoints," Chemosphere, 139, 133-137(2015). 

  11. EFSA Panel on Food Contact Materials, Enzymes, Flavourings and Processing Aids, "Scientific Opinion on the risks to public health related to the presence of bisphenol A (BPA) in foodstuffs: Executive summary," Europ. Food Safety Authority J., 13(1), 1-23(2015). 

  12. Rochester, J. R., "Bisphenol A and human health :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product. Toxicol., 42, 132-155(2013). 

  13. Tan, B. L. L., Hawker, D. W., Muller, J. F., Leusch, F. D. L., Tremblay, L. A. and Chapman, H. F., "Modelling of the fate of selected endocrine disruptors in a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South East Queensland, Australia," Chemosphere, 69, 644-654(2007). 

  14. Kuch, H. M. and Ballschmiter, K., "Determination of Endocrine-Disrupting Phenolic Compounds and Estrogens in Surface and Drinking Water by HRGC-(NCI)-MS in the Picogram per Liter Range," Environ. Sci. Technol., 35, 3201-3206(2001). 

  15. Stackelberg, P. E., Gibs, J., Furlong, E. T., Meyer, M. T., Zaugg, S. D. and Lippincott, R. L., "Efficiency of conventional drinking-water-treatment processes in removal of pharmaceuticals and other organic compounds," Sci. Total Environ., 377, 255-272(2007). 

  16. Lane, R. F., Adams, C. D., Ahmad, E. D., Randtke, S. J. and Carter, Jr, R. E., "Chlorination and chloramination of bisphenol A, bisphenol F, and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in drinking water," Water Res., 79, 68-78(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