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Fish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tuna purse seine fishery in the Pacific Ocean were investigated using logbook data compiled from captain onboard and the statistical data from 1980 to 2014. Changes in fishing ground and correlation between marine environmental factors and fishing patterns were investigated using Oceanographic index. The proportion of unassociated set was higher than that of associated set. The catch proportion of yellowfin was higher in the unassociated set, while that of skipjack and bigeye was higher in the associated set. Due to vessels, fishing gears and Korean captains' high-level of skills in fishing technology optimized for the unassociated set and preference of large fishes, especially large yellowfin tuna, it showed unique fishing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unassociated set. As for fishing distributions of Korean tuna purse seine fishery and impacts of oceanographic conditions on the fishery, the main fishing ground was concentrated on the area of
#Tuna purse seine fishery #Pacific Ocean #Unassociated set #Fishing characteristic #distribution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FAD의 사용 | FAD의 사용의 영향은? |
선망어업의 조업 방식뿐만 아니라 어획 효율, 어획물의 종조성 및 부수어획 문제에도 영향을 주었다
, 2004), 자연 유목물체의 발견이 어려운 먼 바다에서도 인위적 설치가 가능하여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FAD의 사용은 선망어업의 조업 방식뿐만 아니라 어획 효율, 어획물의 종조성 및 부수어획 문제에도 영향을 주었다(Bromhead et al., 2003; Leroy et al. |
조업 수역에 따라 주 대상어종 | 다랑어선망어업은 조업 수역에 따라 주 대상어종이 어떻게 나타나는가? |
인도양, 대서양, 동부태평양 열대 수역에서는 다랑어선망어업의 주 대상어종이 가다랑어와 황다랑어인 것에 반하여 (Miyake et al., 2010), 중서부태평양은 선망어업의 전체 어획량 중 70∼75% 이상을 가다랑어가 차지하고 있다
다랑어선망어업은 열대·온대 수역의 표층과 혼합층에 서식하는 다랑어 및 다랑어 유사종을 대상으로 전 대양에서 조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조업 수역에 따라 주 대상어종이 다르다. 즉 인도양, 대서양, 동부태평양 열대 수역에서는 다랑어선망어업의 주 대상어종이 가다랑어와 황다랑어인 것에 반하여 (Miyake et al., 2010), 중서부태평양은 선망어업의 전체 어획량 중 70∼75% 이상을 가다랑어가 차지하고 있다 (Lehodey, 2000). 따라서 중서부태평양 수역에서 조업하는 다랑어선망어업의 조업 어장은 가다랑어 어군의 이동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
어군유집장치 | 어군유집장치의 특징은? |
육지에서 떠내려 온 대나무, 야자수 잎 및 해양 쓰레기 등의 자연 유목(log)에 비해 어군 유집 효율성이 높고 (Itano et al., 2004), 자연 유목물체의 발견이 어려운 먼 바다에서도 인위적 설치가 가능
, 2003)하게됨에 따라 조업 효율성이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어탐으로 조업 어장 역시 확대되었다. 특히 1990년대 말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된 어군유집장치 (fish aggregating device, FAD)는 육지에서 떠내려 온 대나무, 야자수 잎 및 해양 쓰레기 등의 자연 유목(log)에 비해 어군 유집 효율성이 높고 (Itano et al., 2004), 자연 유목물체의 발견이 어려운 먼 바다에서도 인위적 설치가 가능하여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FAD의 사용은 선망어업의 조업 방식뿐만 아니라 어획 효율, 어획물의 종조성 및 부수어획 문제에도 영향을 주었다(Bromhead et al.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