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평양 수역 우리나라 다랑어선망어업의 조업 특성 및 해양환경에 따른 어장 변동

Changes in fishing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s of Korean tuna purse seine fishery by oceanographic conditions in the Pacific Ocean

한국어업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v.52 no.2, 2016년, pp.149 - 161  

이미경 (국립수산과학원 원양자원과) ,  이성일 (국립수산과학원 원양자원과) ,  이춘우 (부경대학교 해양생산시스템관리학부) ,  김장근 (국립수산과학원 원양자원과) ,  구정은 (국립수산과학원 원양자원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sh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tuna purse seine fishery in the Pacific Ocean were investigated using logbook data compiled from captain onboard and the statistical data from 1980 to 2014. Changes in fishing ground and correlation between marine environmental factors and fishing patterns were in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원양어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태평양 수역 다랑어선망어업의 조업 특성을 파악하고, 시대별 어획물의 종조성과 조업 형태의 변화에 따른 어장 분포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엘니뇨 및 라니냐와 같은 해양환경의 변화가 우리나라 다랑어선망 선단의 어장 분포 및 조업 동향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AD의 사용의 영향은? , 2004), 자연 유목물체의 발견이 어려운 먼 바다에서도 인위적 설치가 가능하여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FAD의 사용은 선망어업의 조업 방식뿐만 아니라 어획 효율, 어획물의 종조성 및 부수어획 문제에도 영향을 주었다(Bromhead et al., 2003; Leroy et al.
다랑어선망어업은 조업 수역에 따라 주 대상어종이 어떻게 나타나는가? 다랑어선망어업은 열대·온대 수역의 표층과 혼합층에 서식하는 다랑어 및 다랑어 유사종을 대상으로 전 대양에서 조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조업 수역에 따라 주 대상어종이 다르다. 즉 인도양, 대서양, 동부태평양 열대 수역에서는 다랑어선망어업의 주 대상어종이 가다랑어와 황다랑어인 것에 반하여 (Miyake et al., 2010), 중서부태평양은 선망어업의 전체 어획량 중 70∼75% 이상을 가다랑어가 차지하고 있다 (Lehodey, 2000). 따라서 중서부태평양 수역에서 조업하는 다랑어선망어업의 조업 어장은 가다랑어 어군의 이동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어군유집장치의 특징은? , 2003)하게됨에 따라 조업 효율성이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어탐으로 조업 어장 역시 확대되었다. 특히 1990년대 말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된 어군유집장치 (fish aggregating device, FAD)는 육지에서 떠내려 온 대나무, 야자수 잎 및 해양 쓰레기 등의 자연 유목(log)에 비해 어군 유집 효율성이 높고 (Itano et al., 2004), 자연 유목물체의 발견이 어려운 먼 바다에서도 인위적 설치가 가능하여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FAD의 사용은 선망어업의 조업 방식뿐만 아니라 어획 효율, 어획물의 종조성 및 부수어획 문제에도 영향을 주었다(Bromhead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 DH, Moon DY, Koh JR, Cho KD and Kim DS. 2003. Effect of El Nino event on the distribution of Korean tuna purse seine fishery in the western central Pacific Ocean. J Korean Soc Fish Res 6(1), 32-40. 

  2. Bayliff W.H. 1998. Growth of skipjack, Katsuwonus pelamis, and yellowfin, Thunnus albacares, tunas in the eastern Pacific Ocean, as estimated from tagging data. Inter-American Tropical Tuna Commission, Bulletin, 19(4). 307-385. 

  3. Bromhead D, Foster J, Attard R, Findlay J and Kalish J. 2003. A review of the impact of fishing aggregating devices (FADs) on tuna fisheries, Final report to the Fisheries Resources Research Fund. Bureau of Rural Science, Canberra, Australia. 

  4. Hyun JS, Lee BG, Kim HS and Yae YH. 1992. Development of Tuna Purse Seine fishery in Korea and Countries Concerned. Korean Soc Fish Mar Sci Edu 4(1), 30-46. 

  5. Itano D, Fukofuka S and Brogan D. 2004. The development, design and recent status of anchored and drifting FADs in the WCPO. 17th Meeting of the Standing Committee on Tuna and Billfish. Working paper INF-FTWG-3. 

  6. Kumasi B, Usu T, Baje L and Kumoru L. 2010. Preliminary analsys of length frequency for FAD associated catch in the archipelagic waters of Papua New Guinea from port sampling data. WCPFC-SC6-2010/FT-IP-06. 

  7. Lee MK, Lee SI, Kim ZG, Ku JE, Park HW and Yoon SC. 2015. The fish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tuna purse seine fishery in the Pacific Ocean. J Korean Soc Fish Technol 51(3), 414-423. (DOI:10.3796/KSFT.2015.51.3.414) 

  8. Lee SI, Kim ZG, Shon HS, Yoo JT, Kim MJ, Lee DW, Kim DN and Moon DY. 2011. Pilot research on species composition of Korean purse catch at cannery. J Korean Soc Fish Technol 47, 390-402. (DOI:10.3796/KSFT.2011.47.4.390) 

  9. Lehodey P. 2000. Impacts of the El Nino Southern Oscillation on tuna populations and fisheries in the tropical Pacific Ocean. Secretariat of the Pacific Community No. RG-1. 

  10. Lehodey P, Bertignac, M, Hampton, J, Lewis A and Picaut J. 1997. El Nino Southern Oscillation and tuna in the western Pacific. Nature. 389(6652), 715-718. 

  11. Leroy B, Phillips JS, Nicol S, Pilling GM, Harley S, Bromhead D, Hoyle S, Caillot S, Allain V and Hampton J. 2013. A critique of the ecosystem impacts of drifting and anchored FADs use by purse-seine tuna fisheries in the western and central Pacific Ocean, Aquat Living Resour 26, 49-61. 

  12. Matsumoto WM, Skillman RA and Dizon AE. 1984. Synopsis of biological data on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FAO Fisheries synopsis no. 136, NOAA Technical Report NMFS Circular 451, 20-21. 

  13.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2015. Report on statistical research of Distant Water fisheries in 2015. 16-35. 

  14. Miyake M. Guillotreau P, Sun C-H and Ishimura G. 2010. Recent developments in the tuna industry: stocks, fisheries, management, processing, trade and markets. FAO Fisheries and Aquaculture Technical Paper. 543, 5-9. 

  15. Moon DY, Lee JU and Kim JB. 1996. On the Log-Associated School Fishery of Korean tuna purse seiners. J. Korean Fish Soc 29(2), 197-207. 

  16. Moon DY, Yang WS, Kim SS, Koh JR and Kim EJ. 2005.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una purse seine fisheryj in the western and central Pacific Ocean. J Korean Soc Fish Technol 41(4), 263-270. 

  17. NOAA. National Water Service Center(http://www.cpc.ncep.noaa.gov/data/indices). 

  18. Park SW. 1984. On the tuna schools associated with the drift objects or animals in the western equatorial Pacific waters. Bull Korean Fish Soc 17(1), 47-54. 

  19. Park YC, Lee JW, Kim JB and Moon DY. 1998. Fishing grounds and fishing efficiency by using of helicopter for the Korean tuna purse seine fishery in the western tropical Pacific Ocean. J Korean Soc Fish Res 1(1), 59-66. 

  20. Ryu KJ, Lee YW and Kim HS. 2015. A change of rigging method for purse seine gear of Korean tuna purse seine fishery in the western and central Pacific Ocean. J Korean Soc Fish Technol 51(1), 50-60. (DOI:10.3796/KSFT.2015.51.1.050) 

  21. Schaefer KM. 1998. Reproductive biology of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in the eastern Pacific Ocean. Inter-American Tropical Tuna Commission, Bull 21(5), 205-221. 

  22. UCAR. Climata Data Guide(http://climatedataguide.ucar.edu/climate-data/multivariate-enso-index). 

  23. Williams P and Terawasi P. 2015. Overview of tuna fisheries in the western and central Pacific Ocean, including economic conditions-2014. WPCFC SC11-2015/GNWP-1 rev.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