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0-2014년 한국에서 수행된 백신 유용성 평가 연구
Vaccine Evaluation Studies Performed in Korea from 2000 to 2014 원문보기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PIV, v.23 no.2, 2016년, pp.117 - 127  

차지혜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김한울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백신효능연구센터) ,  이소영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조혜경 (가천의과학대학교 소아과학교실) ,  안종균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김경효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2000년부터 식품의약품안전처 주관 하에 국내 주요 백신의 안전성과 면역원성에 대한 임상평가 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백신 평가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백신의 면역원성, 효능, 효과, 안전성 및 다른 평가분야에 대해 수행된 연구 및 보고서들을 고찰하여 각 백신 별 유용성 평가 자료를 찾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지난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백신 유용성 평가" 과제가 수행되었다. 백신 유용성 평가 자료들의 결과 및 성과들을 고찰하여 향후 국내 백신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각 백신은 백신 평가 영역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고 체계화하였다. 결과: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주요 백신에 대해 총 83개의 연구과제가 수행되었다. 각 백신 별로는 BCG 8개, DTaP/Td 14개, 폴리오 1개, Hib 5개, 폐구균 3개, 인플루엔자 11개, A형 간염 3개, MMR 11개, 수두 11개, 일본뇌염 16개였다. 평가 영역은 안전성, 면역원성, 면역도, 면역지속능, 효능평가, 효과평가, 유효성 평가기술, 품질평가 및 기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론: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백신 유용성 평가 연구를 통해 유용한 자료가 도출되어 향후 국내 백신 평가 사업, 백신 정책 수립 및 대중/전문가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Vaccine evaluation studies were initiated from 2000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o produce proper data about the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vacci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studies and reports on evaluation of vaccine such as immunogenicity, efficacy, effec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폐구균 백신 평가에 사용 가능한 다양한 표준혈청 제조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A형 간염 백신은 국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백신들에 대한 안전성, 면역원성 및 면역도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향후 광범위한 국가 예방접종 지침 결정 및 시행 시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게 되었다.
  • . 또한 BCG 백신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BCG 백신 접종에 따른 이상반응 중 림프절염 발생과 면역 결핍 간의 상관성을 밝혔다. 그리고 출생 4주에 BCG 접종을 할 때 B형간염 백신과 동시접종을 하여도 된다는 근거 자료가 연구 결과 마련되었다.
  • 면역 도에 관한 연구는 DTaP, Td, A형 간염, MMR, 수두 및 일본 뇌염에 대해 수행되었고 면역지속능에 관한 연구는 DTaP, Td, 인플루엔자, 일본뇌염 등 3가지 백신에 대해서 수행 되었다. 백신의 효능에 관한 연구는 인플루엔자, MMR, 수두 등 3가지 백신에 대해서, 백신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BCG, 인플루엔자, MMR, 수두에 대해서 연구되었다. 한편 백신의 면역원성을 측정할 수 있는 유효성 평가기술 관련 연구는 BCG, DTaP, Td, Hib, 폐구균, 인플루엔자, 수두 및 일본뇌염에 대해 개발, 확립되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백신 유용성 평가 사업’이라는 목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 주관으로 2006년 이후 주로 수행된 그 동안의 연구들과 그 결과들을 조사하고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통해 향후 백신 유용성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 조사된 자료들은 BCG, DTaP, Td, 폴리오, Hib, 폐구균, 인플루엔자, A형 간염, MMR, 수두, 일본뇌염 등 총 11종 백신들에 대한 안전성, 면역원성, 면역도, 면역지속능, 효능평가, 효과평가, 유효성 평가기술, 품질평가 및 기타 등의 백신 평가 영역에 따라 연구 결과를 분류 정리하였다. 유용성 사업 결과를 분석하여 연구 결과가 가지는 의미와 활용 가치를 정리하였고, 각 백신 별로 향후 연구가 필요한 분야를 검토하였다. 또한 현재까지 수행한 연구 결과에 따른 구체적인 백신 유용성 평가 사업의 활용 사례를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처음 백신 접종을 한 년도와 그 백신은 무엇인가? 백신 접종은 감염 및 감염과 관련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전략으로 비용 효과 측면에서도 가장 우수한 방법이다1). 우리나라에서 예방접종은 1912년 두창과 콜레라 백신이 처음 실시된 이래 DPT, 폴리오, 홍역, 일본뇌염, MMR 백신 등이 외국에서 도입되어 사용되었다2). 이후 B형 간염 백신이 1985년에 국내에서 생산되어 접종이 가능해졌고 1997년 인플루엔자 백신이 도입되었으며 그 후 다양한 백신들이 현재까지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2).
백신 유용성 평가의 개념과 활용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또한 백신 시장의 성장에 따라 국내 백신개발에 대한 적극적 지원이 요구되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국내 주요백신에 대한 임상평가 자료를 확보하고 국내 임상평가 인프라 및 평가기술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2006년에서 2014년 까지 11종의 국내 필수ᆞ·비필수 예방접종 백신에 대한 면역원성, 안전성 평가 및 면역원성 평가기술 개발 등 표준화 기반구축 연구인 ‘백신 유용성 평가 사업’을 수행하게 되었다3). ‘백신 유용성 평가’란 국내 유통 중인 백신에 대한 안전성ᆞ·유효성 평가로 면역원성, 면역지속능, 효능ᆞ·효과평가, 안전성 평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를 통해 인구 집단의 질병부담률, 국가의 사회 경제적 상태 및 비용효과 분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국가의 백신정책 수립에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3).
백신 유용성 평가 항목 중 백신의 효능은 무엇인가? 면역지속능(persistence of immunity)은 백신 투여에 의해 생성된 접종자의 항체 보유 및 면역원성의 지속력을 의미한다. 백신의 효능(efficacy)은 대조군 대비 백신 투여 군의 질환 발생 위험비를 뜻하고, 효과(effective ness)는 지정집단에서 백신 접종에 따른 방어 비율로 직접적 방어와 간접적 방어 즉 백신 접종 집단에 의한 미접 종자의 방어 모두를 포함한다. 개발된 백신의 품질을 평가 하는 방법 기술 및 분석은 유효성 평가기술 영역으로 분류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7)

  1. Plotkin SL, Plotkin SA, Plotkin SA, Orenstein W. A short history of vaccination. Vaccines 2004;5:1-16. 

  2.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 4th ed. Cheongju: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3. 

  3. Kang JH. Study to evaluate safety and efficacy of marketed vaccine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6. 

  4. Kim HJ, Oh SY, Lee JB. Comparison of each strains (Pasteur, Danish, Tokyo) of BCG efficacy using tuberculin test and adverse reaction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5. Kim JH. Evaluation for the usefulness of BCG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7. 

  6. Kim HJ. Enhancement of immunogenicity of BCG by genetic manipulatio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7. Kim JH. Evaluation for the usefulness of BCG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8. 

  8. Kim JH. Evaluation for the usefulness of BCG vaccine - a survey for immune status in children with BCG lymphadeniti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9. 

  9. Kim JH. Evaluation for the usefulness of BCG vaccine: a survey for immunogenicity of hepatitis B vaccine according to the immunization time of BCG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1. 

  10. Jung JW. Development of alternative identification test for BCG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1. 

  11. Kim YK. Establishment of assay for cell-mediated immunity against tuberculosis and varicell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12. Kang JH. Age related immunoseroepidemiological study to diphtheria and tetanus among Korean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0. 

  13. Kang JH. Age related immunoseroepidemiological study to tetanus and pertussis in Korean populatio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1. 

  14. Kang JH. Age related seroepidemiological study to pertussis via standardization of pertussis immunoassay among Korean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2. 

  15. Kang JH. The assessment of DTaP vaccine usefulnes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7. 

  16. Kang JH. The assessment of DTaP vaccine usefulnes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8. 

  17. kang JH. The assessment of DTaP vaccine usefulnes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9. 

  18. Kang JH. The seroepidemiologic study of tetanus and pertussi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1. 

  19. Han HW. Seroprevalence of diphtheria and tetanus antibodies and considerations on the Td booster vaccination among adults in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20. Choi JH. The assessment of adult Td vaccine usefulnes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7. 

  21. Choi JH. The assessment of adult Td vaccine usefulnes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8. 

  22. Baek SY. Manufacture and establishment of national reference of tetanus antitoxi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0. 

  23. Jung JW. Standardization of specific toxicity for acellular pertussis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1. 

  24. Kim JG.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 material for pertussis toxin and standard pertussis strai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25. Lee HC. Study on the alternative method for potency test of acellular pertussis vaccine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26. Hong YJ. Immunogenicity and safety of enhanced inactivated polio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0. 

  27. Kim KH. A study for immunization schedule assessment of Hib vaccine in Korea.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4. 

  28. Kim KH. Comparison of the schedules for Hib immunization in other countri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5. 

  29. Kim KH. A study of strategies development for immunization policy of H. influenzae type b (Hib) vaccin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30. Baek SY. Study of test for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conjugate vaccine by analysis of free saccharide content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9. 

  31. Kim JG.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reference material for Haemophilus influenzae tybe b polysacchari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32. Kim KH. A study of evaluation indexes for antibody production in sera after immunizatio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5. 

  33. Kim KH. A study of analysis method for pneumococcal serotyping and immunogenicity of pneumococcal vaccine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1. 

  34. Kim KH. Immunogenicity study of 23-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in Korean elderly peopl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35. Sung BL. Studies on standardization of genetic stability test of reassortant live influenza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6. 

  36. Lee HJ. Evaluation of efficacy of influenza vaccine in childre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7. 

  37. Kim WJ. Immunogenicity and safety evaluation of influenza vaccine among adult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8. 

  38. Cheong HJ. Guideline for manufacture and quality control of pandemic influenza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8. 

  39. Kim DH. Assessment of persistence of immunity after immunization with influenza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9. 

  40. Ahn C-Y. Development of physicochemical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haemagglutinin in influenza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0. 

  41. Kim DH. Evaluation on efficacy and safety of influenza vaccine for childre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1. 

  42. Sung BL. Development of antigen evaluation system for influenza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1. 

  43. Cheong HJ. Evaluation of immnogenicity of A/H1N1 2009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1. 

  44. Ahn C-Y. Development of RP-HPLC method for quantitation of haemagglutinin in influenza vaccine (III).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45. Kim DH. Evaluation of field protective efficacy of seasonal influenza vaccine in children, adolescent and elderly.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46. Kim KH.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seroepidemiology survey for vaccine preventable diseas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47. Kim KH. Evaluation of immunogenicity and safety of hepatitis A vaccine in adolescent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48. Kim JH. Evaluation for the usefulness of hepatitis A vaccine in childre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49. Ki M. Risk analysis of aseptic meningitis after measles, mumps and rubella (MMR)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1. 

  50. Ki M. MMR vaccine effective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cohort which had a measles epidemi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1. 

  51. Lee GS. An evaluation of school entry immunization certificates in South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4. 

  52. Choi BY. Development of goal and strategy of mumps vaccination program.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5. 

  53. Ki M. Vaccine effectiveness of mumps i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6. 

  54. Park HS. Research on the measles vaccination and vaccination policy.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55. Kim KH. Evaluation of efficacy of MMR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7. 

  56. Kim KH. Evaluation of MMR vaccines in Korea.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8. 

  57. Kim KH. Evaluation of MMR vaccines in Korea - evaluation of immune status of MMR vaccine in different age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9. 

  58. Kim KH. Evaluation of MMR vaccines in Korea - efficacy evaluation of the mumps component of the MMR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0. 

  59. Lee HR. Survey on efficacy and safety of varicella vaccine as a regular vaccine i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5. 

  60. Oh SH. Evaluation of effect of varicella vaccination on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the diseas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6. 

  61. Oh SH. Evaluation of varicella vaccine utility.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7. 

  62. Oh SH. Evaluation of varicella vaccine utility - evaluation for immunogenecity and safety of varicella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8. 

  63. Park S. Manufacturing project of a national standard for live varicella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8. 

  64. Kim JO. Establishment of the 2nd national standard for varicella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9. 

  65. Park HS. Evaluation of varicella vaccine effectivenes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9. 

  66. Oh SH. Planning research for appraisal of effectiveness of varicella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67. Oh HJ.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virus concentration test for varicella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68. Park GY, Ju YR, Choi WY, Choi TK, Cho JH, Nam JH, et al.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antibodies against viral proteins of Japanese encephalitis virus isolated in Korea. National Institue of Health, 2002. 

  69. Cheong HK. A study on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Japanese encephalitis and rabi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5. 

  70. Hong YJ. Immunogenicity and protective efficacy after Japanese encephalitis vaccinatio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6. 

  71. Park CW. Manufacture of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reference for potency tes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6. 

  72. Hong YJ. The assessment of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usefulnes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7. 

  73. Hong YJ. Adverse reaction of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74. Hong YJ. The assessment of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usefulnes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8. 

  75. Hong YJ. The assessment of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effectivenes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9. 

  76. Hong YJ. Analysis of the current development status and national policies regarding JE vaccin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77. Kim JO. Construction of recombinant Japanese encephalitis virus (JEV) E antigen and neutralizing JEV E monoclonal antibodie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9. 

  78. Nam JH. Development of in vitro potency assay of antigen titer for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using monoclonal antibody.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0. 

  79. Hong YJ. The assessment of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usefulnes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0. 

  80. Kim JO. Establishment of in vitro potency assay for Japanese encephalitis (inactivated) vaccine - Collaborative study on quantitative assay for Japanese encephalitis virus (JEV) antigen using neutralizing JEV monoclonal antibodie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1. 

  81. Hong YJ. Neutralizing antibody titer above 15 years old in Korea.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82. Ahn C-Y. Study of neutralization assay for Japanese encephaliti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83. Oh HJ. The collaborative study on establishment of national standard (3rd) and potency assay for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84.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Immunization recommenda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im KH, et al. editors. Immunization guideline. 8th ed. Seoul.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15:2-3. 

  85. Yeo MJ, Choi KH, Kang SH, Kim SH, Lee SY, Song MH, et al. Japanese encephalitis in Korea, 2010. Case reports and epidemiology. J Korean Neurol Assoc 2011;29:335-8. 

  86. Yun KW, Lee HJ, Kang JH, Eun BW, Kim YJ, Kim KH, et al.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a freeze-dried, Vero cell culture-derived, inactivated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KD-287, $ENCEVAC^{(R)}$ ) versus a mouse brain-derived inactivated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in children: a phase III, multicenter, double-blinded, randomized trial. BMC Infect Dis 2015;15:7. 

  87. Lee YT, Kim KH, Ko EJ, Lee YN, Kim MC, Kwon YM, et al. New vaccines against influenza virus. Clin Exp Vaccine Res 2014;3:12-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