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정 에탄올 추출물의 비만 조절 유전자에 대한 효과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Polygonatum sibiricum rhizome on obesity-related gen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4, 2016년, pp.384 - 391  

전우진 (일동제약(주) 중앙연구소) ,  이도섭 (일동제약(주) 중앙연구소) ,  손서연 (일동제약(주) 중앙연구소) ,  서윤지 (일동제약(주) 중앙연구소) ,  연승우 (일동제약(주) 중앙연구소) ,  강재훈 (일동제약(주) 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선행연구(12,13)에 따르면 10주간 ID1216을 투여한 비만 마우스에서 체중과 체지방이 감소하였고 이는 SIRT1-$PGC1{\alpha}$의 발현을 조절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SIRT1-PGC1{\alpha}-PPAR{\alpha}$의 하위 기전인 UCPs, ACO, aP2의 발현 조절에 ID1216이 영향을 미쳐 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추가로 확인한 것에 의미가 있다. 또한 10주간 ID1216을 투여한 비만 마우스의 혈액 분석 결과에서도 혈중 중성지방, LDL, HDL total cholesterol등의 혈중 지방질 수치가 개선됨과 동시에 free fatty acid의 농도는 감소하였는데 이는 ID1216이 HSL과 같은 지방질분해효소의 활성을 조절하여 중성지방의 분해과정에 관여하기는 하나 에너지 대사와 지방산 산화 과정에도 복합적으로 관여하여 최종적으로 나타내는 비만 대사 조절 효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ID1216은 $SIRT1-PGC1{\alpha}-PPAR{\alpha}$ pathway를 촉진시켜 세포와 조직 수준에서 열발생(thermogenesis)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UCP1, UCP2, UCP3의 발현을 증가시켰고 ${\beta}$-oxidation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ACO와 aP2의 발현도 증가시켰으며 또한 지방분해(lypolysis)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ATGL과 HSL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나타내어 체지방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previous studies, we confirmed that the ethanol extract of Polygonatum sibiricum (ID1216) has anti-obesity effects on high-fat diet-fed mice. To identify the obesity-related genes affected by ID1216, we studied its effects both in vivo and in vitro. In mice, single administration of ID1216 inc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선행연구에서 ID1216은 비만과 관련된 바이오마커인 SIRT1과 PGC1α를 부고환지방조직에서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13). 따라서 본연구는 선행연구(13)와 동일한 모델 및 투여 농도로 ID1216을 단회 투여하여 ID1216이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된 SIRT1-PGC1α pathway와 관련된 하위 단계들의 유전자들에 ID1216이 어떤 영향을 주어 에너지 대사와 지질대사를 조절하는지 이해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ICR 마우스에 ID1216 500 mg/kg을 경구 투여하고 8시간 뒤에 부고환지방조직(epididymal adipose tissue), 갈색지방조직(brown adipose tissue)과 근육조직(soleus muscle tissue)으로부터 SIRT1과 PGC1α 유전자 발현을 mRNA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 특히 ID1216은 비만 유도 동물 모델과 비만 예방 동물 모델에서 체중 증가를 억제하였고, 비만과 대사 질환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SIRT1 (sirtuin1), PGC1α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oactivator 1α) 및 PPARα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α)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2,13). 본 연구는 ID1216이 SIRT1과 PGC1α 유전자들의 발현 유도가 비만 조절과 관련된 하위 단계의 유전자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고자 ID1216를 투여한 마우스의 지방과 근육조직, 그리고 ID1216을 처리한 3T3-L1 지방세포를 대상으로 유전자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 동반할 수 있는 합병증은? 비만은 식이 섭취량과 에너지 소비량의 불균형으로 인해 체지 방이 축적되면서 나타나는 대사성 질환이다. 비만은 그 자체의 심각성보다는 비만이 동반할 수 있는 합병증인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병, 지방간 등이 더 큰 문제가 된다(1). 현재 전세계적으로 비만 인구는 꾸준한 증가 추세에 있으며 우리 나라의 경우도 비만 유병율이 해마다 증가하여 1998년 26%에서 최근에는 31-32%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2).
비만은 어떤 질환인가? 비만은 식이 섭취량과 에너지 소비량의 불균형으로 인해 체지 방이 축적되면서 나타나는 대사성 질환이다. 비만은 그 자체의 심각성보다는 비만이 동반할 수 있는 합병증인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병, 지방간 등이 더 큰 문제가 된다(1).
황정은 백합과(Li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의 뿌리줄기로 그 종은 무엇이 있는가? 황정은 백합과(Li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의 뿌리줄기로 중국, 일본과 한국에서 주로 서식한다. 그 종으로는 층층갈고리 둥글레(Polygonatum sibiricum), 진황정(P. falcatum), 전황정(P. kingianum) 또는 다화황정(P. crytonema)이 있다. 국내에서 재배되는 황정으로는 층층갈고리둥글레(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Thorp AA, Schlaich MP. Relevance of 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ation i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J. Diabetes Res. 2015: 341583 (2015)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5.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2015) 

  3. Cheung BMY, Cheung TT, Samaranayake NR. Safe of antiobesity drugs. Ther. Adv. Drug Saf. 4: 171-181 (2013) 

  4. Shen Y, Song SJ, Keum NR, Park TS. Olive leaf extract attenuates obesity in high-fat diet-fed mice by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molecules involved in adipogenesis and thermogenesis. Evid.-Based Sed. Compl. Alt. 2014: 971890 (2014) 

  5.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The study on amendment of pesticide maximum residues limit for oriental medicine (II).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 68 (2002) 

  6. Chen K, Li C. Recent advances in studies on traditional Chinese anti-aging materia medica. J. Tradit. Chin. Med. 13: 223-226 (1993) 

  7. Choi SB, Park SM. A steroidal glycoside from Polygonatum odoratum (Mill.) Druce. improves insulin resistance but does not alter insulin secretion in 90% pancreatectomized rats. Biosci. Biotechnol. Biochem. 66: 2036-2043 (2002) 

  8. Toshihiro M, Atsushi K. The difference in hypoglycemic action between polygonati rhizoma and polygonati officinalis rhizoma. Biol. Pharm. Bull. 18: 1605-1606 (1995) 

  9. Gu M, Zhang y, Fan S, Ding X, Ji G, Huang C. Extracts of Rhizoma Polygonati odorati prevent high-fat diet-induced metabolic disorders in C57BL/6 Mice. PLoS One 8: e81724 (2013) 

  10. Debnath T, Park SR, Kim DH, Jo JE, Lim B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olygonatum sibiricum rhizome extracts. Asian Pac. J. Trop. Dis. 3: 308-313 (2013) 

  11. Shu X, Lv J, Chen D, Chen Y. Anti-diabetic effects of total flavonoids from Polygonatum sibiricum red in induced diabetic mice and induced diabetic rats. Herald J. Biochem. Bioinform. 1:14-19 (2012) 

  12. Ko JH, Kwon HS, Yoon JM, Yoo JS, Jang HS, Kim JY, Yeon SW, Kang JH. Effects of Polygonatum sibiricum rhizome ethanol extract in high-fat diet-fed mice. Pharm. Biol. 53: 563-570 (2015) 

  13. Ko JH, Jeon WJ, Kwon HS, Yeon SW, Kang JH. Anti-obesity effects of ethanolic extract of Polygonatum sibiricum rhizome in high-fat diet-fed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499-503 (2015) 

  14. Scarpulla RC, Vega RB, Kelly DP. Transcriptional integration of mitochondrial biogenesis. Trends Endocrin. Met. 23: 459-466 (2012) 

  15. Jager S, Handschin C, St-Pierre J, Spiegelman BM.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ction in skeletal muscle via direct phosphorylation of PGC-1alpha. P. Natl. Acad. Sci. USA 104: 12017-12022 (2007) 

  16. Reznick RM, Shulman GI. The role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in mitochondrial biogenesis. J. Physiol. 574: 33-39 (2006) 

  17. Medina-Gomez G, Gray S, Vidal-Puig A. Adipogenesis and lipotoxicity: Role of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 $PPAR{\gamma}$ ) and PPAR $\gamma$ coactivator-1 (PGC1). Public Health Nutr. 10: 1132-1137 (2007). 

  18. Villarroya F, Iglesias R, Giralt M. PPARs in the control of uncoupling proteins gene expression. PPAR Res. 2007: 74364 (2007) 

  19. Park EY, Kim MH, Kim EH, Lee EK, Park IS, Yang DC, Jun HS. Efficacy comparison of Korean ginseng and American ginseng on body temperature and metabolic parameters. Am. J. Chin. Med. 42: 173-187 (2014) 

  20. van Baak MA, Hul GBJ, Toubro S, Astrup A, Gottesdiener KM, DeSmet M, Saris WHM. Acute effect of L-796568, a novel beta 3-adrenergic receptor agonist, on energy expenditure in obese men. Clin. Pharmacol. Ther. 71: 272-279 (2002) 

  21. Goto T, Lee JY, Teraminami A, Kim YI, Hirai S, Uemura T, Inoue H, Takahashi N, Kawada T. Activat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alpha stimulates both differentiation and fatty acid oxidation in adipocytes. J. Lipid Res. 52: 873-884 (2011) 

  22. Kersten S, Desvergne B, Wahli W. Roles of PPARs in health and disease. Nature 405: 421-424 (2000) 

  23. Fuchs CD, Claudel T, Trauner M. Role of metabolic lipases and lipolytic metabolites in the pathogenesis of NAFLD. Trends Endocrin. Met. 25: 576-585 (2014) 

  24. Lafontan M, Langin D. Lipolysis and lipid mobilization in human adipose tissue. Prog. Lipid Res. 48: 275-297 (2009) 

  25. Rodgers JT, Lerin C, Gerhart-Hines Z, Puigserver P. Metabolic adaptations through the PGC-1a and SIRT1 pathways. FEBS Lett. 582: 46-53 (2008) 

  26. Lee MS, Kim CT, Kim IH, Kim YH. Inhibitory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 on the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Phytother. Res. 23: 1088-1091 (2009) 

  27. Lee MS, Kim CT, Kim IH, Kim YH. Effects of Capsaicin on lipid catabolism in 3T3-L1 adipocytes. Phytother. Res. 25: 935-939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