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 배유 특성별 분말 즉석 죽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owdery Instant Porridge by Characteristics of Endosperm of Foxtail Mill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9 no.4, 2016년, pp.465 - 473  

고지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송석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최명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우관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최지명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곽도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김기영 (농촌진흥청) ,  정태욱 (농촌진흥청) ,  고종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오인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양 및 기능성이 높은 조의 다양한 수요 창출을 위하여 배유 특성이 다른 조를 대상으로 분말 즉석 죽을 제조하고, 이화학적 특징 및 조리 특성 등의 품질과 항산화 활성의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대상으로 사용한 조 원료곡은 메조 삼다메, 차조 삼다찰을 사용하였고, 물만 부어 바로 섭취할 수 있도록 전분의 호화 후 노화를 막는 가공처리로서 1) 건조곡 볶음, 2) 수침곡 볶음, 3) 찐 후 급속냉동, 4) 팽화처리하고 대조로 5) 원곡을 사용하였다. 재료의 수분 흡착능을 알아보는 WAI는 팽화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원료곡에 따라서는 차조가 높았다. 즉석 죽 가루의 RVA 특성은 메조의 경우, 가공처리 후 전체적으로 점도 및 setback이 저하되어 열과 수분에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차조는 가공 처리된 즉석 죽을 재호화함에 따라 점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즉석 죽 가루에 뜨거운 물에 부었을 때의 점도는 건조곡 볶음가루 죽은 원료곡 가루죽과 점도 차이가 크게 없었고, 메조는 팽화처리, 차조는 찐 후 냉동건조, 수침곡 볶음 및 팽화처리 분말에서 즉석 죽으로 이용하기에 충분한 점성을 지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 함량 및 ABTS 라디컬 소거능은 찐 후 냉동건조를 제외하고는 가공처리에 의해 뚜렷이 증가하였으며, 가공처리 중에는 팽화처리 시 원료곡 폴리페놀 함량 및 ABTS 라디컬 소거능의 1.5배, 1.7배로 가장 증가가 컸다. 배유 특성 및 가공처리별 즉석 죽의 관능검사 결과, 메조 삼다메를 팽화처리한 분말 즉석 죽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뜨거운 물에도 엉김 현상 없이 잘 녹아 가공적성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죽의 점도 및 수분흡착능은 차조 삼다찰이 높았으나, 항산화 활성, 열과 수분에 대한 안정성, 기호도 및 물에 풀었을 때 엉김 현상을 고려할 경우, 메조 삼다메가 더 우수하였으며, 가공처리방법으로는 팽화처리가 모든 항목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capabil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porridge made of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Beauv.) from different varieties with different endosperm characteristics and processing using different methods. The two foxtail mi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영양 및 기능성이 우수한 조의 새로운 소비 수요 창출에 이바지하고자 배유 특성이 다른 차조와 메조를 이용하여 전통적 식품가공의 일종인 죽을 현대인의 식생활에 적합한 분말 즉석 죽으로 개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의 외형적 특징은 무엇인가? 조(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의 원산지는 중앙아시아로서 신석기시대부터 중동, 중국 등 유라시아 대륙 전역에서 재배되면서 근대까지 식량작물의 하나로서 이용되어온 곡물이다(Seong & Kwon 2011). 식물체의 길이는 1.0~1.5 m, 곡식알맹이 천 알의 무게는 2.5~3.0 g, 종피색은 황색, 회색, 오렌지색, 흑색 등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낟알색은 회녹색과 노란색이 주를 이루고 있다. 조의 지역적 적응성은 온대에서 아열대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으로, 출수기와 식물체 높이, 이삭 모양 등의 농업적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각 지역마다 여러 종류의 재래종이 분포하고 있다(Yoon & Xu 2008).
조란 무엇인가? 조(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의 원산지는 중앙아시아로서 신석기시대부터 중동, 중국 등 유라시아 대륙 전역에서 재배되면서 근대까지 식량작물의 하나로서 이용되어온 곡물이다(Seong & Kwon 2011). 식물체의 길이는 1.
조의 영양성분 조성은 어떠한가? 밀렛류는 쌀, 밀, 옥수수 등 다른 화본과 곡물에 비하여 알맹이가 작아, 영양 및 기능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호분층 및 배아의 비율이 17%로 다른 곡류(쌀 3%, 소맥 2%)에 비하여 높다는 특징이 있다. 조의 영양성분은 단백질함량 9~12%, 조섬유 6.7%, 칼슘 14~30 mg/100 g, 철분 2.8~5.3 mg/100 g, 비타민 B 1 0.59 mg/100 g 등으로 주식으로 섭취되는 쌀에 비하여 식이섬유 3~10배, 칼슘 3~5배, 철분 3배 더 높은 영양학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FAO 1995). 그 외에도 폴리페놀 및 피트산 등 항산화 물질이 많아 콜레스테롤 저하, 당뇨 예방 등 성인병에 대한 광범위한 예방 효과가 있음이 알려지고 있다(Amadou 등 2013; Woo 등 2012; Ko 등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MS. 1984. Effects of reaction temperature, time and presence of organic acids or their salts on the antioxidants activity of caramelization mixtures. Ph.D. Thesis, Korea Univ. Seoul. Korea 

  2. Amadou I, Gounga M, Le GW. 2013. Millets: Nutritional composition, some health benefits and processing-A review. Emir J Food Agric 25:501-508 

  3. Bok HJ. 2007. The literary investigation on types and cooking method of bop (boiled rice) during Josen dynasty (1400's-1900's). Korean J Food Culture 22:721-741 

  4. Chinnaswamy R, Hanna MA. 1990. Macromolecular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native and extrusion-cooked corn starch. Cereal Chem 67:490-499 

  5.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381-387 

  6. Choi YY, Osada K, Ito Y, Nagasawa T, Choi MR, Nishizawa N. 2005. Effect of dietary protein of Korean foxtail millet on plasma adiponectin, HDL-cholesterol, and insulin levels in genetically type 2 diabetic mice. Biosci Biotechnol Biochem 69:31-37 

  7.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4959-4964 

  8. Dorothy MG. David K. and Aurea MA. 1997. Improved corn and millet based weaning food: Formation, viscosity, and nutrition and microbial quality. J Food PRO Preservation 21:507-524 

  9.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a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10. FAO. 1995. Sorghum and millets in human nutrition. FAO Food and Nutrition series 27. Rome, Italy. p 119 

  11. Ha YD, Lee SP. 2001. Characteristic of proteins in Italian millet, sorghum and common millet.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182-192 

  12. Han O, Lee SH, Lee HY, Kim YM, Min BY. 198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ice flour gelatinized by extrusion cook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0:470-475 

  13. Kim CH, Kim C, Ryu GH. 2012. Effects of moisture content on physical properties of extruded cereal flou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603-1610 

  14. Kim KA. 199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onwaxy and waxy brown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12:557-561 

  15.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626-632 

  16. Ko JY, Song SB, Lee JS, Kang JR, Seo MC, Oh BG, Kwak DY, Nam MH, Jeong HS, Woo KS. 2011.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with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128-1135 

  17. Ko JY, Woo KS, Kim JI, Song SB, Lee JS, Kim HY, Jung TW, Kim KY, Kwak DY, Oh IS. 2013. Effects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ry noodles with added sorghum flour by characteristics of endosper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227-1235 

  18. Ko JY, Woo KS, Song SB, Seo HI, Kim HY, Kim JI, Lee JS, Jung TW, Kim KY, Kwak DY, Oh IS. 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rghum tea according to milling type and pan-fried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546-1553 

  19. Konik-Rose CM, Moss R, Rahhman S, Appels R, Stoddard F, McMaster G. 2001. Evaluation of 40 mg swelling test for measuring starch functionality. Starch 53:14-20 

  20. Lee CH, Han O, Kum JS, Bak KH, Yoo BK. 1995.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rice cake by the addition of gelatinized rice flour. Korean J Dietary Culture 10:101-106 

  21. Lee HM, Lee YT. 2013. Pasting properties of corn, potatos, sweet potato starches and wheat flours with partial rice starch substitution. Food Eng Prog 17:238-244 

  22. Lee JS, Kang YH, Kim KK, Yun YK, Lim JG, Kim TW, Kim DJ, Won SY, Bae MH, Choi HS, Choe M. 2014. Exploration of optimum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saccharogenic mixed grain beverages and assessment of anti-diabetic activity. J Nutr Health 47:12-22 

  23. Matveev YI, Van Soest JJG, Nieman C, Wasserman LA, Protserov VA, Ezernitskaja M, Yuryev VP.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rmodynamic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low and high amylose maize starches. Carbohydr Polym 44:151-160 

  24. Oh IS, KO JY, Kwak DY, Kim KY, Kim JI, Kim HJ, Park CY, Bae SD, Song SB, Woo KS, Yoon YN, Yoon ES, Lee JS, Jung KY, Jung TW, Choi YD, Hwang JB, and Hyeon JN. 2013. Recently developed miscellaneous cereal varieties and cultural methods. RDA. pp123 

  25. Seong MH, Kwon DH. 2011. Survey on marketing of coarse grain. Research report P145.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Korea. p 81 

  26. Song SB, Ko JY, Kim JI, Lee JS, Jeong TW, Kim KY, Kwak DY, Oh IS, Woo KS. 2013.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dzuki bean and adzuki bean tea depending on the variety and roasting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317-324 

  27. We GJ, Lee IA, Kanf TW, Min JH, Kang WS, Ko SH. 201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rice flours and wheat flour substitute for cookie application. Food Engi Progress 15:404-412 

  28. Woo KS, Lee JS, Ko JY, Song SB, Seo HY, Seo MC. Oh BG, Kwak DY, Nam MH, Oh IS, Jeong HS. 2012. Antioxidant activities of different varieties of foxtail millet and proso millet according to cultivation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302-309 

  29. Yoon ST, Xu ZY. 2008. Crop characteristics of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Beauvois) resources. Korean J Intl Agri 30: 211-215 

  30. Yoon ST. 2011. Review of coarse grain export by coarse grain project diagnosis. Research report of RDA. p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