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첨가 재료에 따른 저장 중 죽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ve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uels during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2 no.2, 2020년, pp.162 - 166  

심예은 (가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금준석 (한국식품연구원) ,  안용식 (한국식품연구원) ,  박종대 (한국식품연구원) ,  최현욱 (전주대학교 바이오기능성식품학과) ,  서동호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병호 (가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장 중 죽류의 이화학적 품질 변화는 90일이 경과되면서 초기 값에 비해 색도는 잣죽의 L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반면 a와 b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북어죽, 콩죽과 닭죽의 L값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a,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버섯죽은 L, a, b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기간 중 북어죽, 버섯죽, 닭죽, 콩죽의 ΔE값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잣죽의 경우 30일이 경과되면서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직감의 변화는 gumminess, cohesiveness, adhesiveness, hardness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점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adhesiveness의 경우 북어죽, 닭죽, 잣죽, 콩죽, 버섯죽의 순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초기 아밀로오스 함량은 북어죽 28.73%, 닭죽 26.23%, 버섯죽 24.98%, 콩죽 22.87%, 잣죽 22.38%의 순으로 아밀로오스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저장 90일째에도 아밀로오스 함량에는 북어죽, 닭죽, 버섯죽, 콩죽, 잣죽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당의 함량은 잣죽, 콩죽, 버섯죽, 닭죽과 북어죽이 각각 36.48, 36.33, 36.24, 35.28, 34.82%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 90일 이후의 전당의 함량은 버섯죽, 콩죽, 잣죽, 닭죽, 북어죽의 순으로 나타났고, 북어죽을 제외한 죽의 전당의 범위는 31.62-33.54%로 나타났다. 또한 5가지 죽 모두 포화지방산은 증가한 반면 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죽류의 저장 중 이화학적 품질은 저장 30일까지 큰 변화 없이 완만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렇듯 HMR 식품으로서 가치가 있는 죽의 저장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서양식 위주로 발전하고 있는 HMR 시장에 한식을 널리 보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dditiv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uels during storage. The color, a-value, and b-value of fine-nut, dried pollack, soybean, and chicken gruels increased, while the L-value and whiteness decreased. In addition, the a-value, b-value, and L-value of oys...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현대적인 소비 취향에 부응하는 품질의 고급화 및 제품의 다양한 개발이 부족 하고 대량생산 및 자동화할 수 있는 제조기술 및 공정상의 기술 축적이 부족하며, 죽류 제품의 저장 중 품질변화에 대비한 포장 형태의 다양화, 살균공정 등 기술적 보안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죽의 제조모델로 제조한 잣죽, 북어죽, 느타리 버섯죽, 콩죽과 닭죽의 첨가 재료를 달리하여 죽류의 물리적, 화학적 품질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죽류의 품질 특성 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죽의 편의 식품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따라서 죽의 편의 식품화가 필수적이며 다양성 및 기호성을 높여 전통식품으로서 자리 잡을 필요가 있으며, 최근에는 죽에 관한 연구는 전통적인 방법과 설문을 통한 가정 전래의 비법 등이 많이 연구되어 이를 기초로 하는 일부 원료 배합과 제조방법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Kim 등, 2004; Kim 과 Sung, 2010; Lee와 Jurn, 2000). 하지만, 현대적인 소비취향에 부응하는 품질의 고급화 및 제품의 다양한 개발이 부족하고 대량생산 및 자동화할 수 있는 제조기술 및 공정상의 기술 축적이 부족하며, 죽류 제품의 저장 중 품질변화에 대비한 포장 형태의 다양화, 살균공정 등 기술적 보안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죽의 제조모델로 제조한 잣죽, 북어죽, 느타리 버섯죽, 콩죽과 닭죽의 첨가 재료를 달리하여 죽류의 물리적, 화학적 품질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죽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죽의 조리 형태적 특징은? 이러한 죽이 갖는 조리 형태적 특징은 첫째 가열시간이 길어 오랫동안 끓여서 소화되기 좋은 상태로 조리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물을 많이 사용한다는 점으로 많은 물을 붓고 끓여 양을 많게 하므로 소량의 재료로 많은 사람이 먹을 수 있게 된다. 셋째는 주된 재료는 곡물이지만 다른 어떤 재료도 죽의 소재가 될 수 있어 그 적용의 폭이 넓다는 점이다(Lee 등, 1991b). 그러나 최근 경제 발전과 더불어 급격한 생활양식의 변화로 소비자 기호성에 맞는 식품의 맛과 높은 영양가, 조리의 간편성 등이 요구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수입 자유화로 인한 편의성을 갖고 있는 외국의 식품과 음식들이 범람하고 있다.
저장 중 죽류의 이화학적 품질 변화는 어떤 경향을 나타내고 있나요? 저장 중 죽류의 이화학적 품질 변화는 90일이 경과되면서 초기 값에 비해 색도는 잣죽의 L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반면 a와 b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북어죽, 콩죽과 닭죽의 L값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a,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ourne MC. Texture profile analysis. Food Technol. 32: 62-66 (1978) 

  2. Chang MS. The nutritional study of Korean traditional gruels (I)-chemical proportions of the typical Korean gruels. Fam. Environ. Res. 13: 3-11 (1975) 

  3. Dubois, M., K. A. Gilles, J. K. Hamilton, P. t. Rebers, F. Smith.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 350-356 (1956) 

  4. Juliano, B.O.: A simplified assay for milled-rice amylose, Cereal Sci. Today 16: 334-338 (1971) 

  5. June JH, Yoon JY, Kim H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odojook'. J. Korean Soc. 13: 509-518 (1998a) 

  6. June JH, Yoon JY, Kim HS.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Jook'. J. Korean Soc. 13: 497-507 (1998b) 

  7. Kim MJ. Characteristics of ordinary diets in present. J. Korean Home Econ. Assoc. 44: 151-160 (2006) 

  8. Kim KH, Cho HS.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ook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skate (Raja kenojei) flour. J. East Asian Soc. Diet. Life 18: 207- 213 (2008) 

  9. Kim GY, Lee CJ, Park HW.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terature of the cooking product of grain (rice, gruel) in Imwonshibyukji (I). J. East Asian Soc. Diet. Life 8: 360-378 (1998) 

  10. Kim JM, Suh DS, Kim YS, Kim KO.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rice gruels and cake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ginkgo nut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10-415 (2004) 

  11. Kim JW, Sung KH.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wigruel with added kiwi concentrate.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 313-320 (2010) 

  12. Kramer JKG, Blackadar CB, Zhou J. Evaluation of two GC columns (60-m SUPELCOWAX 10 and 100-m CP sil 88) for analysis of milkfat with emphasis on CLA, 18 1, 18 2 and 18 3 isomers, and short-and long-chain FA. Lipids 37: 823-835 (2002) 

  13. Lee SW, Bae SK, Rhee C.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ine nut's gruel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40-146 (2000) 

  14. Lee HJ, Chang PS, Lee YH. Classification and category determ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cereal foods. Food Sci. Ind. 36: 47-65 (2003) 

  15. Lee HY, Chung LN, Yang IS. Conceptualizing and prospecting for home meal replacement (HMR) in Korea by Delphi technique. J. Nutr. Health 38: 251-258 (2005) 

  16. Lee HJ, Jurn JI. Research of kinds of rice porridges and recipes of it. J. Korean Soc. Food Sci. Nutr. 13: 281-290 (2000) 

  17. Lee HO, Kim ES, Jang MS. Effect of different methods of cooking on sensory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Kongjook. Korean J. Food Cook. Sci. 7: 35-40 (1991b) 

  18. Lee YN, Sin MJ, Kim BN.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traditional food. J. Korean Soc. 6: 71-81 (1991a) 

  19. Lee JE, Suh MH, Lee HG, Yang CB. Characteristics of Job's tear gruel by various mixing ratio, particle size and soaking time of Job's tear and rice flour. Korean J. Food Cook. Sci. 18: 193-199 (2002) 

  20. Sim EY, Lee JY, Cho JH, Yoon MR, Kwak JE, Kim NG, Jeon YH, Lee CK, Lee, JS, Hong HC.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ridge made from different Korean rice varieties including high yield tongil-type rice. Korean J. Food Preserv. 25: 651-658 (2018) 

  21. Zhang X, Lee FZ, Kum JS, Ahn TH, Eun JB. The effect of processing condition on preference in sensory quality of pine nut gru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33-37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