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뽕잎과 오디분말을 이용한 육류용 소스 제조 및 품질평가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ce for Meat prepared with Mulberry Leaf Powder and Mulberry Fruit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9 no.4, 2016년, pp.513 - 520  

김애정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  이정애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  김민주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  강미숙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  김현복 (국립농업과학원) ,  임정대 (강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s including high blood pressure and heart disease has increased with increased meat consumption in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ratio among ratios of 0, 1:0, 0:1, 1:1, 2:1, and 1:2 of mulberry leaf powder to mulberr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염증 개선 효과가 검증된 뽕잎분말과 오디분말을 이용하여 기능성이 강화된 육류용 소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육류 섭취 시 함께 섭취하는 소스에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뽕잎과 오디 혼합분말을 첨가하여 기능성과 관능평가가 우수한 육류용 소스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항염증능이 가장 우수한 뽕잎과 오디분말의 최적 혼합비율을 알아내고자 NO와 TNF-α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뽕잎분말과 오디분말이 2:1로 혼합된 ML2MF1에서의 NO와 TNF-α 생성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육류 식품섭취 증가로 인한 과잉 에너지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육류 식품섭취 증가로 인한 과잉 에너지는 비만뿐만 아니라, 성호르몬 불균형,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및 심혈관질환을 일으켜 때로는 사망에 이르는 결과를 초래하여 김애정 이정애 김민주 514 강미숙 김현복 임정대 한국식품영양학회지(KAST 2011), 만성질환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주목받게 되었다(Lee & Sobal 2002; Gupta 등 2014). 특히 육류섭취 과다로 체내 포화지방산 함량이 증가되면 인술린 저항성으로 당 대사 불균형이 생겨 만성 염증상태가 지속될 수 있다(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998).
뽕잎분말과 오디분말을 2:1로 혼합한 ML2MF1에서 TNF-α 발현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92 pg/mL)에서 TNF-α 발현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는 NO 생성에서 나타난 것과 마찬가지로 뽕잎의 당단백질(Shim 등 2007)과 오디의 안토시아닌(Wang & Mazza 2002) 간의 시너지 효과로 생각된다.
육류섭취 과다로 체내 포화지방산 함량이 증가되면 나타나는 현상은 무엇인가? 이러한 육류 식품섭취 증가로 인한 과잉 에너지는 비만뿐만 아니라, 성호르몬 불균형,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및 심혈관질환을 일으켜 때로는 사망에 이르는 결과를 초래하여 김애정 이정애 김민주 514 강미숙 김현복 임정대 한국식품영양학회지(KAST 2011), 만성질환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주목받게 되었다(Lee & Sobal 2002; Gupta 등 2014). 특히 육류섭취 과다로 체내 포화지방산 함량이 증가되면 인술린 저항성으로 당 대사 불균형이 생겨 만성 염증상태가 지속될 수 있다(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998). 이와 같이 식품 섭취의 불균형은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등 만성질환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균형이 잡힌 식품 섭취는 만성질환 예방이나 건강증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Yoon SH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ndreakos E, Foxwell B, Feldmann M. 2004. Is targeting Tolllike receptors and their signaling pathway a useful therapeutic approach to modulating cytokine-driven inflammation? Immunol Rev 202:250-265 

  2. Asano N, Oseki K, Tomioka E, Kizu H, Matsui K. 1994. Ncontaining sugars from Morus alba and their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Carbohydrate Res 259:243-255 

  3. Ding AH, Nathan CF, Stuehr DJ. 1988. Release of reactive nitrogen intermediates and reactive oxygen intermediates from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Comparison of activating cytokines and evidence for independent production. J Immunol 141:2407-2412 

  4. Gupta SC, Tyagi AK, Deshmukh-Taskar P, Hinojosa M, Prasad S, Aggarwal BB. 2014. Down regula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and other proinflammatory biomarkers by polyphenols. Arch Biochem Biophysics 559:91-99 

  5. Hwang KY, Kim YH, Cho YS, Park YS, Lee JY, Kang KD, Kim K, Joo DK, Ahn DK, Seong SI. 2008. Hypoglycemic effect of fermented soybean culture mixed with mulberry leaves on neonatal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452-458 

  6. Jeong SJ, Shin MJ, Jeong SY, Yang HJ, Jeong DY. 2014. Characteristic analysis and production of short-ripened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dded with rice br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550-556 

  7. Ju MJ, Kwon JH, Kim HK. 2009.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ulberry leaf and fruit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6:442-448 

  8. Jung HH, Cho KJ, Han KH. 2006. The impact of brightness, polarity, and hue difference on legibility and emotional effect of word in visual display. Korean J of Cognitive Sci 17:337-356 

  9. KAST. 2011. Countermeasure of obesity-effects of obesity in adolescence on adult metabolic disorders-. The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10. Kim HB. 2003. Bioactive components and their functional properties of mulberry fruits as food resources.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11. Kim HB, Kang CK, Sung GB, Kang SW, Lee JR. 2007. Antioxidative capacity of mulberry leaf and its tea. Korean J Seric Sci 49:18-23 

  12. Kim HB, Seok YS. 2013. Manufacturing and characterization evaluation of mulberry concentrate for food additive. Korean J Seric Sci 51:180-184 

  13. Kim JH, Kim HC, Shin JG. 2014. The Investigation about 5 kinds of mother sauce study on western cuisine-focused on former domestic study. J Foodservice Industry 10:55-66 

  14. Kim SY, Lee WC, Kim HB, Kim AJ, Kim SK. 1998.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mulberry leaves in cholesterol-induced hyperlipidemia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1217-1222 

  15. Kim YS, Song CR. 2001.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made with pork bone. Culinary Research 7:119-133 

  16. KNHANES. 201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2 

  17. KREI. 2015. Demand change factor analysis in the Hanwoo and pork industr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p. 23-36 

  18. Lee JE, An SH, Park G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miglace sauce with added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Food cookery Sci 27:531-543 

  19. Lee KW. 2010. Analysis of anthocyanidin in mulberry of Cu complex compound and natural dyeing on Sangju silk. J Korean Soc Industrial Application 13:191-196 

  20. Lee SK, Sobal J. 2002. Socioeconomic, dietary, activity, nutrition and body weight transitions in South Korean. Public Health Nutr 6:665-674 

  21. Lee YJ, Choi SW. 2013.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functional constituents of four different mulberry (Morus alba L.) fruit juic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768-777 

  22. Moon HK, Lee SW, Moon JN, Yoon SJ, Lee S, Kim GY.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mulberry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8:797-804 

  23. Na YS. 1995. Hotel Western Cook. Baeksan pp. 218-223 

  24. Nathan C. 1992. Nitric oxide as a secretory product of mammalian cells. The FASEB 6:3051-64 

  25.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998. Clinical guidelines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the evidence report 98:4083 

  26. Noh BS, Kim SJ, Kim YS, Lee GG, Lee JH. 2014. Food analysis. pp. 330-333. Soohaksa 

  27. Rocca B, FitzGerald GA. 2002. Cyclooxygenases and prostaglandins: Shaping up the immune response. Int Immunopharmacol 2:603-30 

  28. Shim JU, Lee SJ, Oh PS, Lim KT. 2007. Glycoprotein isolated from Morus indica Linne has an antioxidative activity and inhibits signal factors induced by bisphenol A in raw 264.7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209-216 

  29. Strieter R, Kunkel S, Bone R. 1993. Role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disease states and inflammation. Critical Care Medicine 21:S447-S463 

  30. Thaher F, Plankenhorn S, Klein R. 2011. Differential effects of the cancer necrosis factor alpha-blocker infliximab and etanercept on immunocompetent cells in vitro. Int Immunopharmacol 11:1724-1731 

  31. Wang J, Mazza G. 2002. Inhibitory effects of anthocyanins and other phenolic compounds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LPS/IFN-gamma-activated RAW 264.7 macrophages. J Agric Food Chem 50:850-857 

  32. Ye EJ, Bae MJ. 2010. Comparison of components between mulberry leaf tea and fermented mulberry leaf tea. J Korean Food Sci Nutr 39:421-427 

  33. Yoon SH. 2014. Trend in energy intake food of energy intake among Korean adults. Public Health Weekly Report 7:829-8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