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domestic commercial white wines. Four sample win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pH, total acidity, volatile acidity, alcohol content, soluble solid, free $SO_2$, total $SO_2$, color, free sugar co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국내에서 화이트 와인에 관한 연구로는 Yoo 등(1984)이 국내 재배 화이트품종과 레드 품종 포도를 이용하여 와인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본 연구와 Jeong 등(2001)이 백포도주 양조에 있어서 포도주 효모의 발효 특성을 살펴보았고, 수입포도인 레드글로브와 탐슨시들리스를 이용한 백포도주의 발효특성과 관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Kim & Kang 2008), 레드 품종인 캠벨얼리로 효모를 달리하여 백포도주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본 연구(Kim & Han 2011)가 있으며, 농촌진흥청에서 선발한 청수 품종을 이용하여 세포벽 분해효소와 침용시간에 따른 와인 특성과 수확시기에 따른 와인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Jeon 등 2013; Chang 등 2014)가 있을 뿐이며, 국산 시판 화이트 와인에 관한 보고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국산 와인의 품질 모니터링을 위해 충북 영동에서 시판되고 있는 화이트 와인의 품질 특성을 살펴 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와인을 생산하는 곳 중 급격히 성장한 지역은 어디인가? 레드 와인의 소비가 독보적이었다면 점차 화이트 와인과 스파클링 와인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스파클링 와인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Han KE 2016). 국내에도 2011년 기준 70여개의 중소형 업체가 와인을 생산하고 있고, 급격히 성장하는 곳은 충북 영동, 경북 영천, 전북 무주를 들 수 있으며, 영동지역은 주로 캠벨얼리 포도를 사용하고, 경북 영천은 MBA(Muscat Baily A), 전북 무주의 경우 개량머루를 사용하여 레드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Kim 등 2012). 이와 같이 주로 레드 와인을 생산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소비자의 기호를 반영한 화이트 와인 및 아이스 와인, 그리고 스파클링 와인을 생산하는 곳도 늘고 있다.
화이트 와인의 종류에 따라 총산 함량이 다르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56%이었다는 보고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Jeon 등 2013). 이러한 결과는 품종 및 수확시기에 따른 차이뿐만 아니라, GomezMiguez 등(2007)이 동일한 포도를 사용해도 발효전 포도의 침용온도 및 시간에 의해서 최종 와인의 총산 함량이 0.49%와 0.62%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보고와 같이 양조방법도 영향을 줄 수 있다. 화이트 와인의 휘발산 함량은 0.
국산 시판 화이트 와인의 가용성 고형물이 이탈리아 시판 화이트와인인 청수로 만든 드라이 화이트 와인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는 이유는 무엇인가? 7~7.1 °Brix였다는 보고(Jeon 등 2013)에 비해 높은 값으로, 이는 국산 시판 화이트 와인의 유형이 대부분 스위트 와인이기 때문이다. 아황산은 주로 와인을 만들 때 항산화제이며, 항균제로 사용된다(Graham HF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merine MA, Ough CS. 1980. Methods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e. Wiley & Sons, New York. pp. 176-180 

  2. Baiano A, Terracone C, Longobardi F, Ventrella A, Agostiano A, Del Nobile MA. 2012. Effects of different vinification technologies on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auvignon blanc wines. Food Chem 135:2694-2701 

  3. Bauer R, Dicks LMT. 2004. Control of malolactic fermentation in wine: A review. S Afr J Enol Vitic 25:74-88 

  4. Blio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81:1199-1200 

  5. Chang EH, Jung SM, Hur YY. 2014. Changes in the aromatic composition of grape cv. Cheongsoo wine depending on the degree of grape ripening. Food Sci Biothchnol 23:1761-1771 

  6. Cosme F, Capao I, Ribeiro-Filipe L, Bennett RN, Mendes-Faia A. 2012. Evaluating potential alternatives to potassium caseinate for white wine fining: Effects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Food Sci Technol 46:382-387 

  7. Gomez-Miguez MJ, Gonzalez-Miret ML, Hernanz D, Fernandez MA, Vicario IM, Heredia FJ. 2007. Effect of prefermentative skin contact conditions on colour and phenolic content of white wines. J Food Eng 78:238-245 

  8. Graham HF. 1993. Wine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In: Sulfur Dioxide and Wine Microorganisms. Harwood Academic Publishers GMbH, Switzerland. pp. 373-393 

  9. Han KE. 2016. An analysis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imported wine consumption.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 Seoul, Korea 

  10. Jeon JA, Park SJ, Yeo SH, Choi JH, Choi HS, Kang JE, Jeong ST. 2013. Effect of cell wall degrading enzyme and skin contact time on the brewing characteristics of Cheongsoo grape. Korean J Food Preserv 20:846-853 

  11. Jeong ST, Goto N, Choi J. 2001.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ine yeast strains for white wine making. Korean J Postharvest Sci 8:326-330 

  12. Kim DH, Kang BS. 2008.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white wine using imported Chilean grape. Korean J Food Preserv 15:150-154 

  13. Kim KH, Han GD. 2011. White wine making using Campbell Early grapes with different kinds of yeasts. Korean J Culinary Res 17:162-171 

  14. Kim YJ, Song KC, Lee YH, Jang KH, Jeong ST, Jeong C. 2012. Fruit Wine: Science and Application. Soohaksa. Seoul, Korea. pp. 357-360 

  15. Losada MM, Lopez JF, Anon A, Andres J, Revilla E. 2012. Influence of some oenological practices on the aromatic and sensorial characteristics of white Verdejo wines. Int J Food Sci Technol 47:1826-1834 

  16. Martuscelli M, Arfelli G, Manetta AC, Suzzi G. 2013. Biogenic amines content as a measure of the quality of wines of Abruzzo (Italy). Food Chem 140:590-597 

  17. Medina K, Boido E, Farina L, Gioia O, Gomez ME, Barquet M, Gaggero C, Dellacassa E, Carrau F. 2013. Increased flavor diversity of Chardonnay wines by spantaneous fermentation and co-fermentation with Hanseniaspora vineae. Food Chem 141:2513-2521 

  18. NTSTSI. 1999. Alcoholic liquors analytical rule: National tax sercvice technical service instructions.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Seoul, Korea. pp. 37-38 

  19. Olejar KJ, Fedrizzi B, Kilmartin PA. 2015. Influence of harvesting technique and maceration process on aroma and phenolic attributes of Sauvignon blanc wine. Food Chem 183:181-189 

  20. Onda T, Komatsu M, Nakayama T. 2013.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and chemical analysis of wines presented to Yamanashi wine exhibition 2012. Research Report of the Yamanashi Pref Ind Technol Center (in Japanese) 27:97-102 

  21. Ribereau-Gayon P, Dubordieu D, Donecge B, Lonvaud A. 2006. The microbiology of wine and vinification. In P. Ribereau-Gayon (Ed.). Handbook of Enology (2nd ed.) (Vol 1). Chichester, England: Wiley 

  22. Salinas MR, Garijo J, Pardo F, Zalacain A, Alonso GL. 2005. Influence of prefermentative maceration temperature on the colour and the phenolic and volatile composition of rose wines. J Sci Food Agric 85:1527-1536 

  23. Stavek J, Papouskova B, Balik J, Bednar P. 2012.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various parameters of colour and the anthocyanin profile of rose wines. Int J Food Proper 15: 1133-1147 

  24. Yoo JY, Seon HM, Shin DH, Min, BY. 1984. 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rape and quality evaluation of their wine. Korean J Appl Microbiol Bioeng 12:185-190 

  25. Yoo KS, Kim JE, Moon JS, Jung JY, Kim JS, Yoon HS, Choi HS, Kim MD, Shin CS, Han NS. 2010. Evaluation of a volatile aroma preference of commercial red wines in Korea. Sensory and gas chromatography characterization. Food Sci Biotechnol 19:43-49 

  26. Yoo KS, Kim JS, Jin Q, Moon JS, Kim MD, Han NS. 2008. Chemical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of commercial red wines in Korea. Korean J Food Technol 40:430-4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