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거기반실무(Evidence-based Practice) 자기효능감, 교과목 요구도, 장애요인 및 촉진요인 탐색을 위한 혼합연구: 교수 및 임상실습 프리셉터를 중심으로
Mixed Method Research Investigating Evidence-Based Practice Self-efficacy, Course Needs, Barriers, and Facilitators: From the Academic Faculty and Clinical Nurse Preceptor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4, 2016년, pp.501 - 513  

오의금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김모임 간호학연구소) ,  양유리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유재용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임지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간호국) ,  성지현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김모임 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current challenges faced by nurses in providing high quality and evidence-based practice (EBP) supported care require profound changes in nursing education. To understand the changes needed to strengthen EBP education, the researchers examined EBP self-efficacy, course needs, barrie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근거기반실무 교과목은 임상현장 중심의 교과목이므로 학교 교육이 임상현장 교육과 효과적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임상현장 교육자의 관점에서 근거기반실무의 장애요인 및 촉진요인, 교육 준비도 등을 확인하는데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이 1차적으로 질문의 초안을 만들고, 근거기반실무 교과 운영 경험이 있는 교수 1인, 10년 이상의 임상경험이 있는 경력간호사 1인, 질적 연구 경험이 있는 간호학 박사 1인의 전문가 집단을 통해 최종 인터뷰 질문을 구성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학 교수를 대상으로 근거기반실무 자기효능감 및 교과목 요구도, 장애요인 및 촉진요인을 양적으로 파악하고, 임상실습 프리셉터를 대상으로 근거기반실무의 장애요인 및 촉진요인을 포커스 그룹을 통해 질적으로 탐색하여 이를 함께 비교 분석하는 혼합연구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향후 간호학부생을 위한 근거기반실무 교과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근거기반실무 교과목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학교 및 임상현장의 간호교육자를 대상으로 EBP 자기효능감 및 교과목 요구도, 장애요인 및 촉진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혼합연구로, 학부과정의 EBP 교과 필요성에는 어느 정도의 합의에 이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교과 적용 시기 및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에는 다소 의견차이가 있어 이는 지속적인 논의 및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간호 교육제공자의 EBP 자기효능감 수준은 중간 이상이었으나 EBP 수행 영역은 상대적으로 낮았고, EBP 교과 개발 및 적용에 있어 인적·물리적 자원 확보 및 조직문화개선, 학교 및 의료기관 간의 협력적 지지체계 구축, 단계별 교육 등이 요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의료의 질과 효율을 강조하는 의료환경 변화에 따른 교육적 요구를 반영하여, 학부과정에서 운영할 수 있는 EBP 교과목 개발을 위한 선행 단계로서, 학교 및 임상현장의 간호교육자를 대상으로 EBP 자기효능감, 교과목 요구도, 장애요인 및 촉진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혼합연구로써, 학교 및 임상현장 교육자 관점에서 EBP 교육에 대한 보다 총체적이고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학부 중심의 근거기반실무 교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파악이며, 근거기반실무 교과목 요구도 측정을 위해 개발된 도구가 없는 상황이므로 본 연구팀에서 자체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의학 및 간호학에서 이루어진 교과개발 관련 선행 연구 및 근거기반실무 교육 관련 문헌고찰을 토대로 본 연구팀에서 1차 문항을 구성한 후 근거기반실무 경험이 있는 간호학 교수 3인, 근거기반실무 관련 연구 및 교육 경험이 있는 박사생과 임상간호사 2인의 전문가 집단을 통해 예비 문항에 대한 이해도와 문항 내용을 확인하고 의견 수렴하는 과정을 거쳤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및 임상현장의 간호교육자를 대상으로 근거기반실무 자기효능감 수준을 확인하고 근거기반실무 교과목 요구도 및 장애요인과 촉진요인을 탐색함으로써, 근거기반실무 활성화를 위한 교과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간호대학협회를 비롯하여 국내 간호 교육계에서는 학부 간호교육의 목표를 어떻게 설정하였는가? 근거기반실무란, 대상자의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임상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최상의 과학적 근거, 자원의 활용가능성, 실무자의 전문성, 대상자의 가치와 선호를 통합하는 것으로[1], 의료의 질 격차 해소, 의료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질 향상을 위한 핵심전략으로 강조되고 있다[3]. 미국간호대학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 of Nursing)를 비롯하여 국내 간호교육계에서도 ‘다양한 지식에 근거한 간호술의 통합적 실무 적용, 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간호과정의 적용 및 임상적 추론 실행, 연구의 기획 및 수행’ 등을 학부 간호교육의 목표로 설정하고, 근거기반실무 역량을 전문직 간호를 위한 학부 교육의 핵심 역량 중 하나로 제시하였다[4,5].
학부과정에서부터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교육이 가능하도록 기존의 간호학교과과정과 근거기반실무의 통합에 초점을 두고 변화를 모색할때 무엇이 요구되는가? 따라서, 간호교육자들은 의료환경변화 및 간호교육의 새로운 요구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학문 후속 세대의 역량 향상을 위한 준비를 갖추어야 하며, 학부과정에서부터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교육이 가능하도록 기존의 간호학 교과과정과 근거기반실무의 통합에 초점을 두고 변화를 모색해야 하는 중요한 전환의 시기에 있다[6-11]. 이를 위해서는 기존 교과과정과 근거기반실무 핵심역량의 통합 방안 모색, 또는 근거기반실무 교과목의 개발과 운영,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된다[6-12]. 또한 근거기반 중심의 간호교육과 실무로의 성공적 전환을 위해서는 간호교육자의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역량을 이해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며[12-14], 임상현장 교육자가 인식하는 근거기반실무의 장애요인 및 촉진요인에 대한 파악[9,10,12,15,16]이 함께 요구된다. 왜냐하면, 간호교육자들은 근거기반실무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태도와 신념을 가지고 있는 반면 지식과 기술을 포함한 역량은 그에 미치지 못하고[12], 교육자 스스로가 근거기반실무 교육에 있어 주요 장애요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16].
근거기반실무란 무엇인가?  대상자 중심의 질적 간호와 최선의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간호 제공에 대한 요구는 의료의 질과 효율을 강조하는 보건의료의 환경 변화에 따라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최근 임상 및 교육 현장에서도 근거기반실무(Evidence-Based Practice, EBP)의 확산 및 적용을 위해 다각적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1,2]. 근거기반실무란, 대상자의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임상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최상의 과학적 근거, 자원의 활용가능성, 실무자의 전문성, 대상자의 가치와 선호를 통합하는 것으로[1], 의료의 질 격차 해소, 의료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질 향상을 위한 핵심전략으로 강조되고 있다[3]. 미국간호대학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 of Nursing)를 비롯하여 국내 간호교육계에서도 ‘다양한 지식에 근거한 간호술의 통합적 실무 적용, 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간호과정의 적용 및 임상적 추론 실행, 연구의 기획 및 수행’ 등을 학부 간호교육의 목표로 설정하고, 근거기반실무 역량을 전문직 간호를 위한 학부 교육의 핵심 역량 중 하나로 제시하였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ackett DL, Rosenberg WM, Gray JA, Haynes RB, Richardson WS. Evidence based medicine: What it is and what it isn’t. BMJ: British Medical Journal. 1996;312(7023):71-72. 

  2. Choe MA, Bang KS, Park YH, Kang HJ.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for futur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nursing in Korea.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1;8(2):129-138. 

  3.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Costing method in health care[Internet]. Seoul: Author; 2013[cited 2015 August 3]. Available from: http://neca.re.kr/eng/publication/report_view.jsp?boardNoEE&seq6659&q626f6172644e6f3d4545. 

  4.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The essentials of baccalaureate education for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Internet]. Washington, DC: Author; 2008[cited 2015 September 9]. Available from: http://www.aacn.nche.edu/education-resources/BaccEssentials08.pdf. 

  5.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standards: Evaluation criteria and indicators [Internet]. Seoul: Author; 2013[cited 2014 January 23]. Available from: http://www.kabon.or.kr/eng/index.php. 

  6. Hussein AHM, Hussein RG. Nursing educators’ knowledge, skills in evidence-based practice and their critical thinking skills: Self report study. Journal of Education and Practice. 2014;5(27):86-94. 

  7. Fineout-Overholt E, Johnston L. Teaching EBP: A challenge for educators in the 21st century.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2005;2(1):37-39. http://dx.doi.org/10.1111/j.1524-475X.2005.04098.x 

  8. Heye ML, Stevens KR. Using new resources to teach evidencebased practice.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9;48(6): 334-339. http://dx.doi.org/10.3928/01484834-20090515-06 

  9. Llasus L, Angosta AD, Clark M. Graduating baccalaureate students' evidence-based practice knowledge, readiness, and implementation.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4;53(9 Suppl): S82-S89. http://dx.doi.org/10.3928/01484834-20140806-05 

  10. Finotto S, Carpanoni M, Turroni EC, Camellini R, Mecugni D. Teaching evidence-based practice: Developing a curriculum model to foster evidence-based practice in undergraduate student nurse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2013;13(5):459-465. http://dx.doi.org/10.1016/j.nepr.2013.03.021 

  11. Burke LE, Schlenk EA, Sereika SM, Cohen SM, Happ MB, Dorman JS. Developing research competence to support evidencebased practice.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05;21(6):358-363. http://dx.doi.org/10.1016/j.profnurs.2005.10.011. 

  12. Stichler JF, Fields W, Kim SC, Brown CE. Faculty knowledge, attitudes, and perceived barriers to teaching evidence-based nursing.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11;27(2):92-100. http://dx.doi.org/10.1016/j.profnurs.2010.09.012 

  13. Allinder RM.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curriculum-based measurement and student achievement.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1995;16(4):247-254. http://dx.doi.org/10.1177/074193259501600408 

  14. Nugent KE, Bradshaw MJ, Kito N. Teacher self-efficacy in new nurse educator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1999;15(4): 229-237. http://dx.doi.org/10.1016/S8755-7223(99)80009-X 

  15. Ciliska D. Educating for evidence-based practice.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05;21(6):345-350. http://dx.doi.org/10.1016/j.profnurs.2005.10.008 

  16. Ciliska D, Pinelli J, DiCenso A, Cullum N. Resources to enhance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AACN Clinical Issues. 2001;12 (4):520-528. 

  17. Chang AM, Crowe L. Validation of scales measuring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in evidence-based practice.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2011;8(2):106-115. http://dx.doi.org/10.1111/j.1741-6787.2011.00215.x 

  18. McSherry R, Artley A, Holloran J. Research awareness: An important factor for evidence-based practice? Worldviews on Evidence- Based Nursing. 2006;3(3):103-115. http://dx.doi.org/10.1111/j.1741-6787.2006.00059.x 

  19. Burns HK, Foley SM. Building a foundation for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practice: Teaching basic concepts to undergraduate freshman student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05;21(6): 351-357. http://dx.doi.org/10.1016/j.profnurs.2005.10.001 

  20. Kim JS, Gu MO, Jo SY. Factors influencing evidence-based practice readiness for tertiary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6): 2945-2957. http://dx.doi.org/10.5762/KAIS.2013.14.6.2945 

  21. Oh EG, Kim S, Kim SS, Kim S, Cho EY, Yoo JS, et al. Integrating evidence-based practice into RN-to-BSN clinical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0;49(7):387-392. http://dx.doi.org/10.3928/01484834-20100331-02 

  22. Park M. Effects of evidence based practice integrated critical care clinical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1;17(3):346-354. 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3.346 

  23. Park M. Implementation of evidence based nursing education into nursing management clinical practicum: Outcome evaluation and diffusion strateg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1):39-47.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1.39 

  24. Yoo JY, Oh EG. Level of beliefs, knowledge and performance for evidence-based practice among nurses experienced in preceptor ro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 18(2):202-212.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2.202 

  25. Melnyk BM, Fineout-Overholt E, Fischbeck Feinstein N, Li H, Small L, Wilcox L, et al. Nurses' perceived knowledge, beliefs, skills, and needs regarding evidence-based practice: Implications for accelerating the paradigm shift.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2004;1(3):185-193. http://dx.doi.org/10.1111/j.1524-475X.2004.04024.x 

  26. Creswell JW, Clark VLP. Designing and conducting mixed methods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2011. p. 1-488. 

  27. Downe-Wamboldt B. Content analysis: Method, applications, and issues.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1992;13(3):313-321. http://dx.doi.org/10.1080/07399339209516006 

  28. Zhang Q, Zeng T, Chen Y, Li X. Assisti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o learn evidence-based practice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and workshop strategies during clinical practicum. Nurse Education Today. 2012;32(5):570-575. http://dx.doi.org/10.1016/j.nedt.2011.05.018 

  29. McDaniel J, Drew T, Gueldenzopf S, Yang MZ, Davids K, Moch SD. Trying to promote EBP in your school of nursing? Don’t overlook non-nursing students. Reflections on Nursing Leadership. 2002;28(2):8-9. 

  30. Hwang JI. Hospital nurses' uses of evidence, and barriers to and enablers of evidenced-based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2):292-303.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2.29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